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9084751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4-07-10
책 소개
목차
미리보기
글을 시작하며
1부 민주화운동과 주사파
민주화운동이란 무엇인가? 27
주사파의 정의 39
선행 주사파 42
주사파의 특징 67
한민전과 위장 79
충성맹세 84
범민련 87
2부 21대 국회와 운동권
21대 국회, 운동권 출신 민주당 의원 110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119
21대 운동권 출신 민주당 국회의원의 특징 126
청년과 군대 134
운동권 청산론 평가 140
왜 86운동권 정치 청산을 요구하는가? 180
정치 그리고 법치주의 202
3부 운동권 평전
이학영 209
김윤덕 213
강위원 217
신희주 225
신영복 235
김순호 241
부록 공개질의서 248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는 84년부터 적어도 30년 이상 민주화운동을 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막상 민주화운동에 대해 정의해 보라면 말문이 막히곤 했다.
먼저 민주화운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가 그렇지 않은가를 따질 필요가 있었다. 보수진영 일부에서 주장하는 5·18 북한 개입설은 민주화운동 전체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려는 동기가 깔려 있는 것 같았다. 민주화운동 상당 부분이 518에서 영감을 받은 것인데 5·18에 북한이 개입한 것이라면 민주화운동 전체에 대한 정당성이 훼손되기 때문이다.
이건 말이 안 된다 싶었다. 그래서 민주화운동을 정의하는 과제 중 첫 번째는 민주화운동의 성과와 유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잡았다. 우리는 지난 수십 년간 민주화운동의 영향아래서 발전했다. 그것이 다소 무리하고 오버한 것일 수는 있어도 그것을 근본에서 부정하고 새로운 다른 무엇에서 출발하자는 견해에 동의할 수는 없다.
다음으로 문제가 된 것은 민주화운동과 결합되어 있는 사회주의, 폭력, 친북적 통일운동과 같은 것들이다. 한국 학생운동은 영미형 개인주의가 아니라 러시아형 사회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따라서 민주화운동에서 사회주의와 폭력적 성향이 많이 담겨 있었다.
민주화운동을 서구형 민주주의로 엄격히 제한하면 너무 많은 것들이 사라지고 사회주의형 민주주의까지 확대하면 너무 넓었다. 적절한 균형이 필요했다. 이에 주로 71~87년 대통령 직선제였던 시기에 일어났던 다수의 운동을 설사 사회주의적 색채가 있다고 하더라도 민주주의 운동으로 포괄하고 87년 이후 일어난 운동 중 친북적 색채.폭력이 가미된 운동 등은 민주화운동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5·18에서 벌어진 폭력사태는 일종의 저항권으로 볼 수 있다.
- 민주화운동이란 무엇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