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1056532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1-04-1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성실히 일하면 부자가 될까? 부의 공식이 바뀌었다
1부 앞으로 10년, 당신의 돈은 어디를 향하는가
1장 왜 멀리 내다보는 투자를 해야 하는가
고령사회,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근로소득만으로 돈을 벌기 어려운 이유
당장 투자하지 않는다면 돈을 잃고 있는 것이다
예측 불가능한 시기, 투자자의 자세
2장 금융 패러다임의 전환, 당신의 선택은?
포스트 코로나,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화
효율성에 주목한 디지털 금융 트렌드
일상에 스며든 금융 플랫폼의 가능성
잠자는 돈을 깨워 스스로 일하게 하라
3장 매일 자산이 늘어나는 6가지 원칙
원칙1 현금을 쌓아두지 마라
원칙2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라
원칙3 변동성을 관리하라
원칙4 경기 흐름을 파악하라
원칙5 글로벌 시장에 투자하라
원칙6 주기적으로 리밸런싱하라
2부 어떠한 상황에도 흔들림 없는 투자 전략
4장 잃지 않는 자산 시나리오 만들기
월급을 자산으로 바꿔라
전 재산을 걸고 투자해야 하는 이유
절대적으로 지키는 투자를 하라
급격한 변동성에 흔들림 없이 투자하는 방법
5장 멀리 보는 투자 시나리오 만들기
투자에 신념이 필요한 이유
투자에 대한 잘못된 편견들
자신의 투자 성향을 파악해야 하는 이유
투자에 대한 발상을 전환하라
6장 안정적인 수익 시나리오 만들기
하루 커피값으로 부자가 될 수 있다
왜 ETF가 대세가 되고 있을까?
직접투자 vs. 간접투자
직장인에게 효율적인 수익 시나리오는?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한국의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와 국가의 부족한 노후준비 시스템이 시사하는 바는 명확하다. 은퇴 후의 삶을 위해서는 국가가 아닌 ‘나 스스로’ 자산관리를 해야 한다. 이제는 열심히 사는 것을 넘어 전략적으로 살아야 한다. 부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삼을 게 아니라, 스스로 노후를 ‘살아 내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열심히 일해 돈을 모으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근로소득의 증가 속도가 자산가치의 증가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식이나 부동산과 같은 자산을 늘려나가는 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렇다고 무조건 따라 하기 식의 ‘묻지 마 투자’는 위험천만하다. 경제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산업 환경은 어떻게 구조적으로 변화할지를 충분히 공부하고 이해한 뒤에 나의 성향에 맞는 방법으로 투자해야 한다.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스스로 그릴 수 있어야 한다.
- ‘고령사회,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중에서
그동안 자산관리는 부자들의 전유물이었다. 고액자산가들은 전문적인 금융 지식을 보유한 자산관리 전문가에게 높은 수수료를 지불하고 투자자문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제 일반 국민들도 ‘돈이 돈을 벌게 해야 한다’는 진리를 깨우쳤다. 자산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자산관리의 필요성을 깨닫는 것과는 별개로 일반 국민들은 자산관리 서비스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자산관리 전문가들에게 투자 상담을 받기 위해서는 상당한 자금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세상은 변했다. 적은 금액으로도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쉽게 투자자문을 받고 다양한 자산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 바로 로보어드바이저가 이러한 세상의 문을 활짝 열어젖히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인해 월급쟁이 근로소득자들도 복잡한 절차 없이 적은 금액이라도 꾸준히 투자하며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로보어드바이저로 우리는 잠을 자는 시간에도 열심히 돈을 벌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도 나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거부하고 있지는 않은가?
- ‘잠자는 돈을 깨워 스스로 일하게 하라’중에서
코로나19 이후 주식시장이 한동안 강세를 보이며 단기적으로 큰돈을 번 이들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처럼 어떠한 투자 원칙이나 아무런 전략이 없이 단기간에 높은 수익률을 경험한 투자자들이 만약 이후에 높아진 변동성으로 수익률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한다면, 이를 견디고 투자를 지속할 수 있을까?
장기적으로 꾸준히 투자를 지속하고 싶다면 다양한 자산들을 묶어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을 정의해 분리하고, 서로 간에 상관관계를 통해 적은 변동성으로 꾸준한 수익률을 만들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방식은 단기적으로는 큰 수익을 보기는 힘들다. 주식이나 채권과 같이 서로 속성이 다른 자산을 하나의 포트폴리오에 담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꾸준함이다. 자산을 빠르게 두 배로 불리는 것보다 장기적으로 원금을 지키면서도 일정한 수익률을 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바로 포트폴리오가 지향하는 목적이다. 이렇게 변동성을 관리해 위험을 회피하는 방식은 부자들의 금융 투자 방법 중 하나이다. 또한 막대한 자금을 운용하는 골드만삭스와 같은 기관들이 지향하는 투자 방식이기도 하다.
- ‘원칙3 변동성을 관리하라’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