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창업정보
· ISBN : 9791191157109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3-05-0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창업에 관한 교과서 같은 핵심 이론과 성공사례를 알리고 싶었습니다.
Part 1. 창업프로세스 ABC
1장. 사업아이템 발굴방법
사업아이템 발굴은 창업자의 역량과 의지에 좌우
글로벌 시장분석을 통한 사업아이템 발굴
용도의 재발견 : 신기술 확산과 실패한 사업아이템의 재활용
창조적 모방(Copycat)
사업아이템을 한 줄(OSP: One-Sentence-Proposal)로 작성
1장 요약 문제와 실습 Worksheet 1
2장. 비즈니스 모델 분석
비즈니스 모델 분석 1 : '최소변수' 비즈니스 모델 분석
비즈니스 모델 분석 2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비즈니스 모델 분석 3 : '린 캔버스'
창업자에게 필요한 핵심개념
비즈니스 모델 분석의 한계
2장 요약 문제와 실습 Worksheet 2
3장. 팀 구성과 자금조달
팀 구성
3-1장 요약 문제와 실습 Worksheet 3
자금조달
3-2장 요약 문제와 실습 Worksheet 4
Part 2. 마케팅 배우기 : 사업계획서의 기초
4장. 제품 콘셉트 : 문제와 해결책
제품 콘셉트의 정의 : BC(Benefit-Competitor) 분석
제품 콘셉트의 점검 : NA(Needs-Approach) 분석
4-1장 요약 문제와 실습 Worksheet 5
창업아이템의 차별화
제품 콘셉트와 수익모델과의 관계
4-2장 요약 문제와 실습 Worksheet 6, 7
5장. 시장조사 : 가설과 검증
목표고객은 누구일까? : 목표고객 결정과 시장규모 추정
가설 검증을 위한 고객반응조사 : 구매의사, 지불의사, 추천의사
실습 Worksheet 8
고객구매과정 분석
5장 요약 문제와 실습 Worksheet 9
6장. 채널(유통·판매) : 중간상의 역할
중간상의 역할 이해
직접 판매의 실패 요인 : D2C(Direct to Customer)모델의 한계
홍보마케팅 전략
6장 요약 문제와 실습 Worksheet 10
Part 3. 경쟁력 있는 사업계획서 쓰기
7장. 사업계획서의 이해
사업계획서 방정식
정부지원 사업계획서 목차 분석
7장 요약 문제
8장. 성공하는 사업계획서 쓰는 방법
정부지원 사업계획서 작성 원칙
정부지원 사업계획서 작성 방법
8장 요약 문제
9장. 성공한 사업계획서 사례분석
합격한 창업자금 사업계획서(예시)
합격한 기술개발(R&D) 사업계획서(예시)
실습 Worksheet 11, 12
투자유치에 필요한 IR 자료 만들기
Part 4. 성공한 스타트업 이야기
10장. 창업자 이야기 1 : 환경 설비업체 제이플에너지
창업 동기 : 시니어 기술창업은 불가능한 일인가?
정부지원자금 활용
현재의 고민은?
11장. 창업자 이야기 2. : 전기차 충전업체 에바
에바 창업자들과 인터뷰
예상되는 어려움과 난관
CES 연속수상과 매출 기대
12장. 창업자 이야기 3 : 의료기 전문업체 메디퓨처
메디퓨처 대표와의 인터뷰
전화위복 : 새로운 주인과의 만남
창업 전문가의 객관적 조언들
13장. 창업자 이야기 4 : 농업회사법인 홉앤호프
사업아이템 찾기
쇠기둥이 휠 정도로 꽃이 피다
귀농의 성공 창업사례를 만들다
결론과 시사점
최근 동향
에필로그 마케팅은 모든 길로 통하는 기초개념입니다.
요약 문제 정답
책속에서
자, 이제 글로벌 시장분석을 공부해 봅시다. 전 세계 국가들은 경제 발전 단계가 다릅니다. 선진국, 개도국, 저개발국 등으로 구분됩니다. 경제 발전 단계에 시차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40년 사이에 3가지 경제 발전 단계를 압축 성장한 유일한 나라입니다. 전후에 경제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성장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고 합니다. 한강의 기적이 사실입니다. 우리나라는 농업 중심의 일차 산업, 제조업, 서비스업, 그리고 정보산업과 인터넷 발전 경험을 가졌습니다.
이런 압축 성장의 결과, 우리나라는 다양한 사업아이템이 존재하는 국가가 되었습니다. 첨단 정보통신 제품의 테스트 베드 역할도 합니다. 영화 개봉도 한국에서 처음으로 합니다. 한류의 열풍으로 엔터테인먼트 산업도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런 다양한 사업아이템과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동남아시아나 중앙아시아 등 개도국이나 저개발국으로 나가서 사업을 해야 합니다.
이처럼 시장을 보는 관점을 넓히면 사업아이템을 발굴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첨단 사업아이템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선진국의 기술 동향이나 연구 동향 등을 자세히 조사해야 합니다. 일본이나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 무엇이 호황인지 관심 있게 모니터링하는 것도 사업아이템 발굴에 도움이 됩니다. 반면에 현재 성공한 사업아이템의 경우에는 개도국이나 후진국의 실정에 맞게 수정할 수 있다면 좋은 사업아이템으로 탈바꿈됩니다.
사업아이템을 머릿속으로 가지고 있는 것보다 한 줄로 써보아야 합니다. 그래야 창업의 초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글의 제목 달기와 같은 것입니다. 창업의 방향성과 내용을 정해 줍니다. 한 줄 사업아이템에 포함되는 것은 어디(Where)에서, 누구(Who)에게, 어떤 제품(What)을 제공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야 합니다. 예를 들어 “광주에서 여성용 의류장사를 해보겠습니다.”가 그렇습니다. 여기서 ‘어디’는 장사할 위치를, ‘누구’는 목표고객을 의미하며, 마지막 ‘무엇을’은 제품 콘셉트를 말합니다. 창업프로세스 단계인 사업아이템 발굴은 한 줄 사업아이템(OneSentence-Proposal)을 작성함으로 마무리됩니다. 보통 줄여서 ‘OSP’라고 합니다. 이 OSP는 구체적이고 간단해야 합니다.
창업자들은 제품 콘셉트의 차별화된 내용을 고객들에게 인식시켜 잘 전달해야 합니다. 그 방법은 언어를 통한 이해와 감각적으로 경험한 것이 합쳐서 일어납니다. 고객이 차별화된 제품인지 아닌지를 아는 방법은 언어를 통해서, 또는 오감(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으로 느껴야만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필터 세척장치’가 성능이 좋은지는 ‘성능 3배’라든가 ‘세척시간 50% 단축’된다는 언어를 통해서 고객들은 알게 됩니다. 제품 콘셉트를 설명한 단어를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광고 카피라이터들이 대우받는 것도 그런 이유입니다. 제품 콘셉트를 정제된 한 단어로 찾는 직업입니다. “남편은 여자하기 나름입니다.”라는 광고 카피가 생각납니다. 아직 기억하는 것으로 보아 고객의 인식 차별화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말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오감 활용도 중요합니다. 차별화를 전달하는 중요한 통로입니다. 아마 모든 회사는 제품 디자인에 신경 씁니다. 디자인이 촌스러우면 품질도 별로일 것 같고, 디자인이 세련되면 제품의 품질이나 성능도 좋을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시각이라는 감각기관을 통해서 그 제품을 인식하고 경험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