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경영 사상가 20인] > 폴 크루그먼
· ISBN : 9791191215533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22-08-19
책 소개
목차
[지리의 이해]
머리말 : 지리를 넘어서
들어가며 : 지리의 이해 : 세계는 어떻게 다르고, 왜 비슷한가?
제1부. 세계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1장 해외지역연구 방법론
1. 개요
2. 일반성과 특수성
2장 특수성의 기저요인
1. 자연지리 요인
2. 인문지리 요인
3. 문화와 문화이론
제2부, 세계는 어떻게 다른가?
3장 자연지리 요인에서 비롯되는 특수성
1. 중국의 남방과 북방, 베트남과 한국의 지역 : 지형과 기후에서 비롯되는 지역 차이
2. 인도와 동남아의 수식문화 : 식생의 차이로 인한 먹는 방법의 차이
3. 한·중·일 젓가락의 재질과 길이 : 식생에서 비롯된 식탁문화 차이
4. 미국과 이탈리아 : 식생에서 비롯되는 비만도 차이
5. 미국에서 신발은 옷 : 지리와 기후에 맞춘 교통수단과 주거시설
6. 미국 여대생의 픽업트럭 : 지리에 대한 적응에서 비롯된 자동차 문화
7. 미국엔 인도가 없다 : 지리의 영향으로 인한 도로 구조
8. 8백만 신의 나라 일본 : 자연재앙에서 비롯된 종교
4장 역사와 제도에서 비롯된 특수성
1. 미국의 총기 소유 : 역사적 우연과 제도에서 정착된 안전 문화
2. 지중해의 망루와 미로길 : 누적된 역사적 우연의 결과로 형성된 도시 형태
3. 지중해의 인질 비즈니스 : 역사적 우연과 경제성이 만든 비즈니스
4. 좌측통행 대 우측통행 : 역사적 우연과 경로의존성에서 형성된 통행 문화
5. 미국의 홈리스와 자선 문화 : 주택금융·사회보장 제도와 기부문화
6. 미국의 입양문화 : 제도와 관습에서 비롯되는 보육문화
7. 카페 천지 한국 : 역사적 전통과 가옥 구조가 이끌어 낸 사교문화
8. 일본 자동차의 성공 비결 : 관습의 영향에서 비롯된 틈새
5장. 문화특성에서 비롯된 특수성
1. 유럽인은 운동화 신고 출근해 구두로 갈아 신는다 : 맥락문화와 직장의 의미
2. 일본의 혼네와 다테마에 : 단시일에 고치기 어려운 역사적 경험의 산물로서의 고맥락문화
3. 미국의 수평적 조직 구조와 CEO 위상 : 실용성을 중시하는 저맥락문화의 조직 구조
4. 미국의 높은 이혼율과 트로피 와이프 : 개인주의 문화와 결혼문화
5. 한국의 길거리 응원 : 집합주의 문화의 절정
6. 미국 식당의 팁 : 제도와 불확실성의 수용에서 비롯된 서비스문화
7. 카카오톡과 WeChat(微信) : 불확실성 수용 정도와 소셜미디어
8. 미국과 한국의 화장실 공간 구조 : 보여지는 것에 대한 수용성의 차이
제3부. 세계는 정말 다를까?
6장 상식 깨기 : 일반성으로 해석해 보기
1. 중국의 짝퉁 문화 : 지역의 특수한 문화인가, 경제발전 단계의 과정인가?
2. 인도 카스트제도
3. 중국의 ㅤㄲㅘㄴ시(关系) : 그들만의 비즈니스 관행?
4. 인도엔 화장실이 없다?
5. 미국에서나 한국에서나 개는 식구? : 같으면서 다른 역할
6. 한국에서 신뢰사회의 어제와 오늘
7. 일본, 한국, 중국의 올림픽 개최 : 한국의 20년 후 청사진과 20년 전 복사판
8 코리안 타임 : 어제의 한국
★잠깐만! 역사적인 사건에 적용해보기
- 임진왜란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광기의 산물일까?
제4부. 문화와 비즈니스, 그리고 한국은?
7장. 문화와 비즈니스의 조합
1. 문화가 유사하면 무역과 비즈니스는 잘될까?
2. 인도인은 모텔업, 한국인은 세탁업 : 동업문화 대 벤처문화
3. 일본이 사회주의, 중국이 자본주의 길을 갔다면?
4. 문화적 특성으로 본 일본 사회의 현재와 미래
5. 한국, 신뢰사회로의 여정은 자연스러운가?
6. 한국, 배고픈 것은 참아도 배 아픈 것은 못 참는다 : 공정사회로의 험난한 여정
나가며 : 특수성의 기저요인과 지역 차이의 유관성에 대해 생각해보기
참고문헌
[폴 크루그먼의 지리경제학]
주최자 서문
저자 서문
역해자 서문
역해자 해설
일러두기
1장 중심과 주변
1 지리 : 왜 그렇지 않은가 그리고 왜 그러해야 하나
2 미국 제조업 벨트 사례
3 지리적 집중 모형
4 변화 과정
5 우리는 어디에 서 있나
2장 지역화
1 산업 지역화의 원천
2 일부 경험적 증거들
3장 지역과 국가
1 국가란 무엇인가
2 지역화와 무역
3 다시, 중심과 주변
4 지리와 유럽의 주변
5 맺음말
부록
참고문헌
색인
책속에서
반도는 말 그대로 ‘반은 육지이고 반은 섬’이기에, 양자의 중간에 속하는 성향이 강해서 좋게 말하면 유연성이 뛰어나고 나쁘게 말하면 쉽게 돌변한다고 한다. 우리가 흔히 대륙 사람들은 선이 굵다든지, 섬나라 사람들은 얄팍하다든지, 혹은 한국과 이탈리아 같은 반도 국가들은 쉽게 변하는 성향이 있다든지 하는 얘기들은 이와 맥락이 닿아있다고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우연한 사건이 사회·경제 환경에서 누적적인 인과관계를 낳으면서 새로운 특수성을 낳는 경우도 종종 있다. 미주 대륙과 같은 신대륙의 경우, 이주민들은 갑자기 당면한 사회경제적 조건 속에서 새로운 삶을 꾸려나가야 했다.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는 사람들의 삶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고, 이런 것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누적적 인과관계를 만들어 하나의 문화로서 고착되면 다른 지역과는 확연히 다른 특수성을 낳을 수도 있게 된다.
인문지리 요인과 분리해서 문화와 문화이론을 따로 두는 이유는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명시적인 문화와 암묵적인 문화를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앞서 인문지리 요인으로 살펴보았던 역사와 제도 등은 넓은 의미의 문화의 한 부분인데, 명시적인 성격이 강하다. 제도가 잘 습득되었다면 의식하지 않고도 그 제도에 맞는 행동을 할 수도 있지만, 제도를 의식하며 행동을 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제도 등은 명시적인 문화라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우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암묵적인 문화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