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91360981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4-01-1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기: 소설쓰기를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Q1. 왜 소설일까?
-이야기에 매료된 사람들
-왜 하필 소설일까?
-소설가가 된 이유
Q2. 소설, 어디까지 알고 있니?
-대체 소설이 뭔데?
-분량에 따라 나뉘는 소설
-장르에 따라 나뉘는 소설
-짧은 소설 쓰기 시작해 보자
Q3. 소설 쓰기와 친해지는 법?
-재능보다 중요한 것
-소설 쓰기와 친해지기 1: 습관과 습작
-소설 쓰기와 친해지기 2: 독서
승: 어떤 이야기를 써야 할까?
Q4. 아이디어나 소재가 떠오르지 않아요
-글쓰기의 첫걸음, 소재 찾기
-소재들의 보물 창고, 뉴스/기사
-오래된 기사, 작은 광고도 살펴보기
Q5. 어떤 인물이 등장하면 좋을까요?
-잘 키운 캐릭터 하나, 열 장편 안 부럽다
-주인공 캐릭터, 이렇게 만들자
-소설의 숨은 감초, 빌런
Q6. 세계관과 배경은 어떻게 구상하죠?
-세계관, 꼭 필요할까?
-매력적인 세계관의 시작은
Q7. 어떤 사건이 재밌을까요?
-여기가 바로 사건 맛집
-사건, 만들지 말고 찾아라!
-장르별 사건 규칙
전: 어떻게 풀어내야 할까?
Q8. 아이디어는 있는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아이디어와 작품 사이, 시놉시스
-시놉시스, 별거 아니네
Q9. 첫 문장은 어떻게 적어요?
-첫인상을 결정하는 첫 문장
-첫 문장의 함정 벗어나기
Q10. 갑자기 사건이 발생하니까 어색한 것 같아요
-이제부터 본격 시작, 빌드업
-시작이 막막할 땐, 클리셰를!
-빌드업의 또 다른 방법들
Q11. 재미만 있으면 됐지, 주제가 꼭 있어야 하나요?
-이 글은 왜 쓰셨어요?
-주제,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
Q12. 나는 재밌는데 친구는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대요
-내 글이 어렵다고?
-중간 점검 1: 묘사를 제대로 했나?
-중간 점검 2: 대사와 지문을 잘 활용했나?
Q13. 대사와 지문까지 확인했는데도 글이 어딘가 이상해요
-여전히 내 소설이 어색하다면 시점 체크
-한 작품 두 시점, 괜찮을까?
결: 어떻게 마무리할까?
Q14. 쓰다가 자꾸 포기해요
-중간에 포기하고 싶어질 때면
-효과 빠른 치료제 ‘반드시 마감’
Q15. 결론을 못 짓겠어요
-시작은 창대했으나 그 끝은?
-해피 엔딩? 새드 엔딩? 그 전에 주인공 서사 매듭짓기
Q16. 퇴고가 뭐예요?
-초고는 쓰레기다
-퇴고, 이렇게 해보세요
Q17. 제목은 어떻게 정하면 좋을까요?
-내 글에 이름 붙여주기
-이런 이름은 피하자
부록1 작가라는 직업이 궁금해요!
부록2 책 출간, 이렇게 하세요!
부록3 선생님을 위한 책 쓰기 활동 지도법 A-Z
부록4 사서 선생님이 알려주는 글쓰기 십계명
리뷰
책속에서
아쉽게도 제 몸은 하나이고, 시간은 부족하고…. 그래서 책으로라도 여러분과 만나려고 청소년을 위한 글쓰기(소설 쓰기) 첫걸음 안내서를 준비해 보았습니다. 최대한 현장감 있게 내용을 전하고 싶어서 강의할 때 학생들이 자주 질문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목차를 구성했어요. 이 책을 통해 제가 소설을 쓰면서 쌓은 노하우와 경험을 최대한 많이 알려줄 테니 편하고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한 가지 알아둘 점은 서사를 만들고 완성하는 힘은 소설 쓰기에만 필요한 게 아니라는 거예요. 웹소설과 웹툰을 비롯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려면 서사가 있는 글을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아울러, 유튜브를 기획하거나 짧은 영상을 찍을 때도 반드시 서사가 담겨야죠.
주인공이 매력적이지 않으면 독자들은 이야기를 더 읽을 이유가 없습니다. 또 서사의 ‘주인’이라고 할 수 있는 인물이 독자의 흥미를 끌지 못하면, 다른 등장인물과 사건의 흐름 속에 매몰되어 버립니다. 그렇게 되면 아무리 이야기를 견고하고 재미있게 창조해 내도 독자들은 그 이야기에 대해서 좋게 평가하지 않습니다. 누가 이야기를 이끌어가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