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91191432749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2-07-25
책 소개
목차
서론: 1950년대와 ‘문학소녀’라는 독자집단
1장 해방 후 문예교육과 문학소녀의 탄생
1. 해방 후 문맹퇴치와 읽고 쓰는 행위의 보편화
2. 문학작품을 활용한 국어과 교육과정
3. 문학을 탐독하는 (여)학생들
4. 문인 교사와 문예교육
5. 남학생과 여학생의 문학관 차이
6. 문학소녀들의 잡지 《女學生》
2장 소녀문학과 문학소녀의 망탈리테
1. 여고생 작가에서 소녀소설 작가로: 《하얀 길》, 《감이 익을 무렵》
2. 문학소녀의 베스트셀러: 《돌아온 미소》, 《소라의 꿈》
3. ‘비애’와 ‘번민’이라는 문학소녀의 망탈리테
3장 출판시장과 여성 독서공동체 형성
1. 대중지의 성공과 새로운 독자집단의 창출
2. 잡지시장의 격변과 문학의 대중화·통속화 문제
3. 잡지시장의 부침 속 여성지의 성공전략
4. 가정주부라는 독자집단
4장 여성지의 연재소설 속 여성서사
1. 여성 가장의 파경과 재혼
2. 정조 잃은 여성의 배우자 찾기
3. 전후 지식인 여성의 성장서사
5장 여성지의 문인 에세이와 지상문예강좌
1. 여성지의 문인 에세이: 글쓰기를 통한 ‘생활의 발견’
2. 여성지의 문인 에세이: 낭만적 과거를 향한 노스탤지어
3. 독자선후평과 문예교실: 센티멘털리즘의 경계
4. 〈독자문예〉를 매개로 한 센티멘털리즘의 공유
6장 여성지의 인생 상담과 여성 독자의 글쓰기 욕망
1. 실화양식의 유행과 여성의 글쓰기 욕망
2. 신여성이 쓴 애욕의 자서, 〈일즉이妾되얏든몸으로〉
3. 주부 독자가 쓴 애욕의 자서, 〈인생십자로: 朴과 美子와 나〉
4. 비극적 자서의 공유, 전후 여성들의 글쓰기
7장 ‘자기구성의 기획’을 향한 문학소녀들의 글쓰기
1. 글 쓰는 여성의 문학적 표상: 《실낙원의 별》
2. 불온한 여대생의 자전적 글쓰기: 《슬픔은 강물처럼》
결론을 대신하여
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장 해방 후 문예교육과 문학소녀의 탄생
미군정기부터 한글전용교육을 받아온 학생들에게 문학작품은 철학서나 사상서, 기타 전문서적보다 쉽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고, 문학을 통한 정서교육과 교양교육의 효과가 강조되면서 정규교과 외에도 독서활동 등을 통해 학교현장에서 문학은 더욱 광범위하게 활용됐다. 이처럼 문학작품은 가장 유용한 국어교육교재이자 교양교육과 정서교육의 수단으로 간주됐고, 전쟁으로 피폐해진 사회 분위기를 극복하고 민족정신의 앙양을 통한 국민적 도의를 실천하기 위해 국민 일반의 교양교육 방법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됐다.
2장 소녀문학과 문학소녀의 망탈리테
이러한 ‘비애’와 ‘번민’이라는 망탈리테는 1950년대 문학소녀들이 처해 있던 공통의 감정구조였다. 1950년대의 ‘문학소녀’들은 해방 후 한글교육을 통해 문학을 교양으로 접한 최초의 독자이자, 문학을 통해 세상을 배우고 자신의 감수성을 쏟아내며 ‘문학’이 무엇인지 질문하는 독자였다. 이들 대다수는 중등과정 이상의 학교교육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문학소녀’와 ‘여학생’은 같은 의미로 이해됐다. 그러나 이들의 문학 애호는 센티멘탈리즘적 경향이 두드러지며 쉽게 감정 과잉에 빠지는 미성숙한 태도로 간주되어 ‘10대’, ‘청소년’, ‘사춘기 소녀’ 등 생애주기의 특정 시기에 나타나는 일시적 현상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3장 출판시장과 여성 독서공동체 형성
주목할 것은 이 시기 여성지의 성공인데, 여성지는 대중지의 흥미본위의 오락지적 성격이나 종합사상지의 학술교양지적 성격과도 차별화된 성공전략으로 여성 고정 독자를 확보하고 있었다. 1950년대 대표적 여성지인 《여원》과 《주부생활》의 경우 여학생, 여대생, 직장여성, 가정주부 등의 독자 중 특정 독자집단을 선택적으로 공략하려는 경향은 있었지만 대체로 여성 독자 일반의 공통된 관심사를 편집체제에 반영하고 있었다. 여성지의 편집체제에는 연애·결혼·성·경제활동 등 여성의 관심사를 반영한 특집기사, 교육·육아·요리·미용·양재·의학·법률상식 등 실생활 정보, 영화 관련 화보와 기사, 시·소설 등의 문예면, 국제질서·정치와 관련한 시사상식, 문학·예술·고전에 대한 교양강좌 등이 공통적으로 반영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