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겨울나무

겨울나무

(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겨울나기)

김태영, 이웅, 윤연순 (지은이)
돌베개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겨울나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겨울나무 (우리 땅에 사는 나무들의 겨울나기)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꽃과 나무
· ISBN : 9791191438987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2-12-19

책 소개

겨울 숲을 누비는 나무 애호가들이 나뭇잎이나 열매가 없는 한겨울에 나무를 동정同定하는 데 참고할 만한 그저 평범한 ‘겨울눈’ 도감이 아니다. 물론 낙엽수 436종과 상록수 108종의 겨울눈 사진을 상세히 담기는 하였으나, 『겨울나무』는 ‘겨울나무 쉽게 찾기’ 그 너머를 바라본다.

목차

책머리에
감사의 말
식물 기재 용어
일러두기
-----------------------------
<나자식물문 PINOPHYTA>

● 은행나무강 GINKGOPSIDA
은행나무과 GINKGOACEAE

● 소나무강 PINOPSIDA
소나무과 PINACEAE
측백나무과 CUPRESSACEAE

<피자식물문 MAGNOLIOPHYTA>

● 목련강 MAGNOLIOPSIDA
- 목련아강 MAGNOLIIDAE
목련과 MAGNOLIACEAE
녹나무과 LAURACEAE
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CEAE
오미자과 SCHISANDRACEAE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
새모래덩굴과 MENISPERMACEAE

- 조록나무아강 HAMAMELIDAE
나도밤나무과 SABIACEAE
계수나무과 CERCIDIPHYLLACEAE
버즘나무과 PLATANACEAE
조록나무과 HAMAMELIDACEAE
두충과 EUCOMMIACEAE
느릅나무과 ULMACEAE
팽나무과 CELTIDACEAE
뽕나무과 MORACEAE
쐐기풀과 URTICACEAE
가래나무과 JUGLANDACEAE
참나무과 FAGACEAE
자작나무과 BETULACEAE

- 오아과아강 DILLENIIDAE
차나무과 THEACEAE
다래과 ACTINIDIACEAE
피나무과 TILIACEAE
벽오동과 STERCULIACEAE
아욱과 MALVACEAE
산유자나무과 FLACOURTIACEAE
위성류과 TAMARICACEAE
버드나무과 SALICACEAE
진달래과 ERICACEAE
감나무과 EBENACEAE
때죽나무과 STYRACACEAE
노린재나무과 SYMPLOCACEAE

- 장미아강 ROSIDAE
수국과 HYDRANGEACEAE
까치밥나무과 GROSSULARIACEAE
장미과 ROSACEAE
콩과 FABACEAE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
부처꽃과 LYTHRACEAE
팥꽃나무과 THYMELAEACEAE
박쥐나무과 ALANGIACEAE
층층나무과 CORNACEAE
꼬리겨우살이과 LORANTHACEAE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감탕나무과 AQUIFOLIACEAE
대극과 EUPHORBIACEAE
갈매나무과 RHAMNACEAE
포도과 VITACEAE
고추나무과 STAPHYLEACEAE
무환자나무과 SAPINDACEAE
칠엽수과 HIPPOCASTANACEAE
단풍나무과 ACERACEAE
옻나무과 ANACARDIACEAE
소태나무과 SIMAROUBACEAE
멀구슬나무과 MELIACEAE
운향과 RUTACEAE
두릅나무과 ARALIACEAE

- 국화아강 ASTERIDAE
지치과 BORAGINACEAE
마편초과 VERBENACEAE
꿀풀과 LAMIACEAE
물푸레나무과 OLEACEAE
현삼과 SCROPHULARIACEAE
능소화과 BIGNONIACEAE
꼭두서니과 RUBIACEAE
린네풀과 LINNAEACEAE
병꽃나무과 DIERVILLACEAE
인동과 CAPRIFOLIACEAE
산분꽃나무과 VIBURNACEAE
국화과 ASTERACEAE

● 백합강 LILIOPSIDA
- 백합아강 LILIIDAE
청미래덩굴과 SMILACACEAE

● 부록
상록수의 겨울눈
-----------------------------
참고문헌
찾아보기 | 학명
찾아보기 | 국명

저자소개

김태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생애 대부분을 국내외의 숲을 순례하며, 다양한 생명 현상을 탐구하며 살아왔다. 대학에서 인간의 역사를 전공했으나 지금은 자연의 역사가 주요 관심사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자연 생태 콘텐츠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와 교육 용역 사업에 참여했으며 <녹색동물>(EBS, 2016)을 비롯한 여러 자연 다큐멘터리 제작에도 참여했다. 또한 전국 각지의 숲해설가 양성 기관에서 식물 담당 강사로 활동 해 왔다. 저서로는 『한국의 나무』(공저, 돌베개, 2011년 초판; 2018 개정신판)가 있으며, 『양치식물의 자연사』(지오북, 2010)를 번역해 국내에 최초로 소개했다.
펼치기
윤연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숲과 나무, 풀과 꽃에 관한 넘치는 호기심과 탐구열로 지난 20여 년, 전국의 산야를 누비며 식물의 사계를 관찰해 왔다. 강원대학교 대학원에서 식물분류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8년부터 (사)숲연구소 숲해설가 양성 과정의 강사로서 10여 년 동안 강의와 연구를 병행했다. 이외에도 각지 교육청 및 학교 교사 연수 등을 진행해 왔으며, 지금도 자연 애호가와 숲해설가 지망생, 숲 연구자 등 수많은 후학을 경이로운 숲의 세계로 인도하는 길잡이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이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린 시절부터 나무를 가꾸고 관찰하는 일을 매우 좋아하여 자연스럽게 식물 연구가 천직이 되었다. 전북대학교 산림자원학과를 졸업하였고 천리포수목원에서 식물전문가 과정을 수료했다. 다년간 산과 숲을 다니며 국내 자생수목의 형태와 생태를 사진으로 담아 기록해 왔으며, 특히 식물의 성 체계에 큰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물향기수목원, 삼성물산(주) 에버랜드리조트에서 식물 DB 구축 업무를 하였으며, 현재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조선식물향명집」 주해서』(공저, 심플라이프, 2021)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은 국내에 자생하는 거의 모든 낙엽수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수종마다 일일이 정확한 겨울눈의 모습을 상세한 사진으로 소개하였다. 방대한 데이터를 수록한 만큼, 이 책이 국내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수목을 식별하는 데 신뢰할 수 있는 참고서가 되리라 기대하지만, 저자들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한 걸음 더 앞으로 나아가고자 노력했다. 겨울눈의 외양뿐만 아니라 겨울눈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는지도 기술하고자 시도한 것이 이 책의 주안점이다. 이것은 지금껏 국내외에서 출간된 유사한 성격의 겨울눈 도감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나무의 세부 형태뿐만 아니라 생태에까지 초점을 확장함으로써 나무가 종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생장하여 개성적인 수관을 형성하게 되는지, 또 나무의 어느 부위에 생식기관이 형성되고 그것이 어떻게 각각의 수분 전략과 결부되는지를 독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_‘책머리에’ 중에서


형태적으로 목본식물의 종(種)을 식별하고자 한다면 나무의 다양한 측면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생식기관 또는 열매-종자의 속성이나 형태가 중요하지만, 유감스럽게도 대부
분 나무는 개화기[수분기]가 그다지 길지 않으므로 관찰 시점을 놓치면 생식기관의 확인이 어려워진다. 열매나 종자도 1년 중 특정 시기에만 볼 수 있는 경우가 보통이다. 하물며 나무의 잎이나 여타 부위의 변화무쌍함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런 이유로 목본식물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나무의 눈(bud)에 각별한 관심을 보인다. 왜냐하면 목본식물의 겨울눈은 종마다 근연종과 구별되는 특색을 갖춘 경우가 많으며, 종의 특징이 상당한 일관성을 띠면서 드러나기 때문이다. 또한 겨울눈은 겨우내 관찰할 수 있으므로 생식기관이나 잎이 전혀 없는 나목을 보거나 어린나무와 마주할 때도 종을 식별하는 데 요긴한 단서가 되어준다. 요컨대 나무의 겨울눈은 목본식물의 종을 식별하는 데 있어 아주 강력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을 입증하듯 나무의 겨우살이를 다룬 기존의 국내외 출판물은 예외 없이 겨울눈의 형태적 특징을 세세히 기술하면서 그것을 통해 식물의 종을 식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나무의 겨울눈을 어떻게 유용한 지식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가를 실증하는 인간 본위의 실용적인 접근법일 뿐, 애초에 나무가 겨울눈이라는 조직을 생성하는 의미가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에는 답을 제시하기 어렵다. 그저 겨울눈이나 소지를 놓고 외양의 특징이나 털의 유무를 따지는 것만으로는 나무의 생태를 좀 더 깊이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정말로 나무의 삶을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면 무엇보다도 먼저 인간 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나무의 입장에 서서 생명 현상을 관찰하고 그 삶에 공감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사실 나무의 겨울눈을 세심하게 들여다보는 것이야말로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말하고 싶다._‘책머리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