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권과 정책

인권과 정책

전영평, 박정관, 이곤수, 서혁준, 한승주, 강선희, 서성아, 이병량, 장임숙 (지은이)
윤성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권과 정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권과 정책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150337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01-05

책 소개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삼아 주로 1990년 후반부터 현재까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소수자 인권운동의 전개 과정과 그에 따른 인권정책의 변화 과정을 소개하는 책이다. 특히 장애인, 비정규직 노동자,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등의 소수자 인권운동 사례를 제시했다.

목차

제1장 서론: 연구 의의와 개요· ··········································15

제2장 소수자의 인권운동과 정책·········································23
Ⅰ. 소수자 인권 담론의 등장·········································23
Ⅱ. 다문화 담론의 관점에서 본 소수자 인권·····························25
1. 다문화 담론의 확장 필요성 / 25
2. 다문화 담론에서 소수자와 소수자 유형의 발견 / 28
Ⅲ. 인권의 보편성·특수성 측면에서 본 소수자 인권· ······················33
Ⅳ. 소수자 인권정책 사례 연구의 분석틀· ·······························36

제3장 하버마스의 인권이론: 인도주의적 개입과 새로운 국제 질서·············45
Ⅰ. 들어가며·····················································45
1. 소수자 보호를 위한 국제적 연대의 필요성 / 45
2. 하버마스의 기획 / 46
Ⅱ. 칸트의 기획: 국가연맹···········································48
Ⅲ. 하버마스의 기획: 칸트 기획의 비판적 재구성··························49
Ⅳ. 하버마스의 기획· ···············································51
1. ‘국제법의 헌법화’ / 51
2. 세계정부 없는 세계 내정 / 53
Ⅴ. 인도적 무력 개입··············································59
1. 인도적 무력 개입(또는 간섭) / 60
2. 이라크전쟁 비판 / 60
3. 코소보전쟁 찬성 / 61
4. 비판 / 62
Ⅵ. 슈미트와의 논쟁···············································63
1. 자유주의적 패권론 / 64
2. 국제법 현실주의 / 65
3. 하버마스의 법제화(제도화) 모델 / 65
4. 광역이론 / 66
Ⅶ. 군사적 개입 이외의 인도적 개입: 평등한 자원 분배· ····················67
Ⅷ. 나가며 · ····················································70

제4장 장애인의 인권운동과 정책··········································71
Ⅰ. 들어가며····················································72
Ⅱ.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 ··········································73
1. 장애인 소수자집단모형 / 73
2. 장애인 인권운동과 분석틀 / 76
Ⅲ 장애인 인권운동의 진화와 정책 변화································79
1. 장애인 인권운동의 형성 / 79
2. 장애인 인권운동의 성장 / 81
3. 장애인 인권정책의 형성 / 86
Ⅳ. 나가며 · ·····················································91

제5장 비정규직의 인권운동과 정책·······································93
Ⅰ. 들어가며····················································93
Ⅱ. 비정규직과 그 실태·············································96
1. 비정규직의 개념 / 96
2. 비정규직 증가의 발생 원인 / 97
3. 비정규직 규모 / 100
4. 비정규직 관련 이해관계자 / 101
Ⅲ. 소수자인 비정규직 근로자········································104
1. 소수자의 분류 / 104
2. 소수자로서의 비정규직 근로자 / 105
Ⅳ. 비정규직과 인권···············································111
1. 국제인권조약과 비정규직 인권 / 111
2. 소수자인 비정규직 인권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 / 113
Ⅴ. 비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보호법· ·······························115
1. 법·제도 구축 과정과 비정규직 보호법 / 115
2. 비정규직 보호법 재개정 / 117
Ⅵ. 나가며: 향후 과제··············································118

제6장 외국인노동자의 인권운동과 정책· ··································121
Ⅰ. 들어가며: 소수자로서 외국인노동자· ·······························121
Ⅱ. 외국인노동자 문제의 근본적 속성· ·································123
1. 비국적자 차별에 대한 정당성 인식 / 124
2. 제한적이며 불안정한 법적 권리 / 125
3. 배타적 순혈의식 존재 / 127
Ⅲ. 옹호연합 간 갈등을 통한 고용허가제로의 정책 변동·····················128
1. 옹호연합모형 적용의 타당성 / 128
2. 옹호연합의 주요 행위자 활동과 신념 체계 / 131
3. 옹호연합의 상호작용: 듣지 못하는 자들의 대화 / 140
4. 외부적 사건의 발생과 정책 변동: 정권 교체와 고용허가제의 도입 / 143
Ⅳ. 고용허가제 도입 이후 갈등의 전개·································144
1. 외국인노동자의 노동권 인정 범위를 둘러싼 갈등 / 145
2. 외국인노동자 문제에 대한 정부의 역할과 대응 / 149
Ⅴ. 나가며 · ····················································154

제7장 결혼이주여성의 인권운동과 정책··································157
Ⅰ. 왜 결혼이주여성인가?··········································157
1. 결혼이주여성의 등장 / 157
2. 결혼이주여성의 증가 / 158
Ⅱ. 결혼이주여성과 인권···········································160
1. 결혼이주여성 인권보호 규정 / 160
2. 소수자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인권 / 162
Ⅲ. 결혼이주여성의 인권운동· ·······································163
1. 결혼이주여성 인권문제의 발생 / 163
2. 결혼이주여성의 인권운동 / 164
Ⅳ. 결혼이주여성정책··············································168
1. 정책의 형성 / 168
2. 정책의 집행 / 170
3. 결혼이주여성정책의 특징 / 174
Ⅴ. 다문화사회를 향한 새로운 패러다임· ·······························178

제8장 일본군 위안부의 인권운동과 정책··································181
Ⅰ. 들어가며····················································181
1. 연구 배경 및 목적 / 181
2. 연구 방법 / 182
3. 분석틀 / 183
Ⅱ.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소수자 인권운동의 전개·····················184
1. 인권의식 형성 / 184
2. 집단정체성 추구 및 저항운동 / 185
3. 이슈 확산 / 186
4. 정부정책 획득 / 187
5. 감시 및 피드백 / 188
Ⅲ.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소수자 인권운동과 정부정책의 주요 내용· ·····192
1. 소수자 인권운동의 주요 내용 / 192
2. 정부정책 / 196
Ⅳ.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소수자 인권운동과 정부정책의 적합성· ········200
1. 소수자 인권운동의 적합성 / 200
2. 정부정책 / 204
Ⅴ. 나가며: 정책적 시사점· ········································206

제9장 탈북자의 인권운동과 정책········································209
Ⅰ. 들어가며···················································209
Ⅱ. 탈북자의 정체성 변동· ··········································210
Ⅲ. 인권적 관점에서 본 탈북자의 실태·································212
Ⅳ. 탈북자 인권운동의 성격과 범주: 개량주의·후견주의적 운동··············218
Ⅴ. 탈북자운동에 대한 정부의 대응 평가: 관리주의적 대응 양식· ············223
Ⅵ. 나가며 · ····················································228

제10장 성 소수자의 인권운동과 정책· ···································229
Ⅰ. 들어가며···················································229
Ⅱ. 성 소수자 문제의 정책적 성격·····································231
1. 성 소수자 문제의 정책 유형화를 위한 시도 / 231
2. 성 소수자 문제의 성격: 인권의 문제? 정책의 문제? / 233
3. 성 소수자 문제의 정책적 성격 / 237
Ⅲ. 성 소수자 인권운동에 대한 정책 대응: 회피와 제도화· ·················240
1. “논쟁하고 싶지도 대응하고 싶지도 않지만, 논쟁하고 대응해야 하는 문제”의 정책 논리 / 241
2. 성 소수자 인권운동의 성장과 정책적 대응으로서 회피 / 243
3. 성 소수자 인권운동에 대한 정책적 대응으로서 제도화 / 250
Ⅳ. 나가며 · ···················································253

제11장 해외 유입 소수자의 인권운동과 국가인권위원회의 정책· ··············255
Ⅰ. 들어가며···················································255
Ⅱ. 해외 유입 소수자의 유형과 소수자성 검토···························257
1. 해외 유입 소수자의 종류와 소수자성 / 257
2. 해외 유입 소수자에 대한 인권 침해 양태 / 260
Ⅲ. 해외 유입 소수자의 인권 보장 기제로서 국가인권위원회· ···············262
1. 소수자 인권 보호의 보루로서 국가인권위원회 / 262
2. 국가인권위원회의 이주인권 정책 / 265
Ⅳ. 나가며: 평가················································270

저자소개

서성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한국행정연구원 책임연구원
펼치기
전영평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의 소수자 정책 담론과 사례>
펼치기
이곤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행정학과 졸업(행정학사) 대구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대구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 현,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정책개발실장
펼치기
이병량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순천대학교 법정학부 전임강사, 조교수를 거쳐 현재 경기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자로서는 문화정책, 행정이론 등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의 고나료와 관료제의 병리 현상에 주목하여 「관료의 침묵과 자기 정당화」(2017), 「관료 나르시시즘의 원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2015), 「관료의 나르시시즘 연구」(2014)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가르치는 사람으로서는 학생들과 소통하면서 즐겁게 서로 배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그와 같은 경험의 결과를 「대학 수업에서 토론 활용 사례 연구: 행정학 수업을 중심으로」(2015)라는 논문으로 발표하기도 하였다.
펼치기
박정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마인츠 대학원 수료 고려사이버대학교 법학부 교수 역임
펼치기
서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울산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펼치기
한승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0년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논문제목: 성과급에 대한 공무원의 정서적 대응: 근거이론과 Q방법론의 적용), 2015년부터 현재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인사관리, 공공윤리, 행정책임 등이다. 한국인사행정학회 연구위원장, 한국행정이론학회 총무위원장, 한국행정학회 연구이사 및 편집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최근 주요 논문 및 저서로는 “정책형성에서 행정부처의 자율성과 대통령의 정책추진력: 상보적 관계의 가능성과 의미탐색”(「행정논총」, 2023), “정책결과에 관한 공직자의 책임인식”(「한국행정학보」, 2022), 「인권과 정책」(윤성사, 2022), 「행정의 책임과 통제」(법문사, 2019) 등이 있다(sngjoo@mju.ac.kr).
펼치기
강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계명대학교 외래교수, 대구광역시 행복위원회 위원장 역임
펼치기
장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부산광역시 거점형 양성평등센터 센터장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