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8836024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8-02-26
책 소개
목차
제1장 행정의 이해
제1절 행정이란 무엇인가?
1. 행정의 개념
2. 행정학의 주요 분야
제2절 정부의 구성과 행정이 하는 일
1. 정부의 구성
2. 정부의 역할과 기능
3. 행정이 하는 일: 공적 사무
제3절 행정에 참여하는 사람들
1. 행정의 참여자
2. 내부 참여자
3. 외부 참여자
제2장 행정과 환경: 행정학의 접근틀
제1절 행정을 둘러싼 환경
1. 행정환경의 시스템적 접근
2. 행정환경의 구성 요소
제2절 행정환경의 변화
1. 사회 구조의 변화와 행정: 저출산 및 고령화사회
2. 미래의 혁명 : 4차 산업혁명
제3장 행정학의 발달: 행정이론
제1절 행정과 이론의 이해
1. 행정에 대한 이해
2. 이론에 대한 이해
제2절 행정이론의 변화 과정
1. 건국부터 개발 초기까지의 행정이론
2. 개발 연대 중기부터 민주화 이전까지의 행정이론
3. 민주화 이후의 행정이론
4. 2010년 이후의 행정이론
제3절 행정이론의 주요 내용
1. 역사적 측면의 행정이론
2. 분석적 측면의 행정이론
제4장 행정과 가치
제1절 행정가치의 개념과 의의
1. 행정가치의 개념과 특징
2. 행정가치의 특징과 의의
제2절 행정가치의 유형
1. 민간 부문의 가치와 행정가치의 비교
2. 커나한의 분류
3. 본질적 가치와 수단적 가치
제3절 행정가치의 적용
1. 행정가치와 조직 개편
2. 행정가치와 정부 평가
제5장 행정과 정책
제1절 정책이론의 기초
1. 정책의 개념과 정책 연구의 특징
2. 정책의 유형 분류
3. 국가와 정책, 그리고 권력 관계
제2절 정책 과정의 이해
1. 정책 과정에 대한 견해
2. 정책 과정의 참여자
3. 정책 과정과 정책 네트워크
제3절 정책의제
1. 정책 문제와 정책의 창
2. 정책의제의 의미와 영향 요인
3. 정책의제 형성에 관한 이론모형
제4절 정책 결정과 분석
1. 합리적 의사 결정과 정책 결정
2. 정책 결정 과정과 정책 결정의 기준
3. 정책 결정에 관한 이론모형
4. 정책분석
제5절 정책 집행
1. 정책 집행의 의의와 영향 요인
2. 정책 집행의 이론모형과 정책 집행 유형
제6절 정책 평가
1. 정책 평가의 의미와 기준
2. 우리나라의 평가 제도 : 정부업무평가 기본법
제6장 행정과 조직
제1절 조직이론
1. 조직의 의의
2 조직의 유형
3. 조직이론의 변천과 발달
제2절 조직 구조와 환경
1. 조직의 원리와 구조
2. 조직 구조의 설계
3. 조직환경
4. 조직과 환경과의 상호 작용
제3절 조직관리
1. 동기부여
2. 조직과정관리
3. 조직문화
제4절 조직혁신
1. 조직혁신
2. 조직발전
3. 지식관리
제7장 행정과 인사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1. 인사행정의 의의와 특성
2. 인사행정 제도의 변천과 발달
3. 인사기관
제2절 공직 분류
1.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2. 공무원의 종류
제3절 인적 자원관리
1. 임용관리
2. 역량관리
3. 성과관리
4. 보수관리
제4절 공무원의 윤리
1. 공직윤리
2. 공직부패
3. 공무원노동조합
제8장 행정과 예산
제1절 재정의 이론적 논의
1. 공공재정의 역할
2. 공공재정의 기능
제2절 예산의 개념과 원칙
1. 예산의 개념
2. 예산의 원칙
3. 예산의 구성과 규모
4. 예산의 종류와 분류
제3절 예산이론과 예산 제도의 변천
1. 예산이론
2. 예산 제도
3. 새로운 성과주의 예산 제도
제4절 예산 과정과 개혁
1. 예산 과정
2. 예산개혁
제9장 행정과 지방자치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
1. 지방자치의 개념과 목적
2. 지방자치의 두 가지 계보
3. 지방자치와 민주성, 그리고 효율성
4. 지방자치의 계층과 구역
5. 지방자치의 기관 구성
제2절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1. 지방자치와 주민의 권한과 의무
2. 주민 참여
3. 지방자치단체의 권력 형성
제3절 지방자치단체와 자치권
1. 자치권의 개념과 관점
2. 자치권의 유형과 한계
3. 지방사무의 구분과 사무의 배분
제4절 지방자치단체와 재정
1. 지방재정의 개념과 구분
2. 지방수입의 유형과 구조, 그리고 현황
3. 지출 구조와 현황
4.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
제5절 정부 간 관계와 광역행정
1. 정부간 관계의 개념과 의의
2. 정부간 관계에 관한 이론적 모형
3. 광역행정
제10장 행정과 공기업
제1절 공기업의 의의
1. 공기업과 사기업의 구분
2. 공기업의 장단점
3. 공기업의 특징
4. 공기업의 범위
제2절 공기업의 분류와 기능
1. 공기업의 분류
2. 공기업의 기능
3. 공기업 설립 동기
4. 공기업의 공공성과 기업성
제3절 공기업 민영화 논쟁
1. 민영화 찬성 논리
2. 민영화 반대 논리
제4절 공기업의 채용(NCS)
제11장 행정과 미래
제1절 미래의 행정가치
제2절 미래의 정책
제3절 미래의 조직
제4절 미래의 인사행정
제5절 미래의 재정
제6절 미래의 지방자치
제7절 미래의 공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