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8836888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1-02-05
책 소개
목차
제1장 행정의 이해
제1절 행정이란 무엇인가?
1. 행정의 개념 /
2. 행정학의 주요 분야 /
제2절 정부의 구성과 행정이 하는 일
1. 정부의 구성 /
1) 정부 구성의 의의 /
2) 중앙행정기관의 구성 /
3) 청와대의 조직 구성 /
2. 정부의 역할과 기능 /
1) 작은 정부와 큰 정부 /
2) 작은 정부의 역할과 기능 /
3) 큰 정부의 역할과 기능 /
3. 행정이 하는 일 : 공적 사무 /
1) 국가가 하는 일과 지방이 하는 일 /
2) 지출을 통해 본 행정이 하는 일 /
제3절 행정에 참여하는 사람들
1. 행정 참여자 /
1) 행정 참여자의 개념 /
2) 행정 참여자의 역할 /
2. 내부 참여자 /
1) 내부 참여자의 의의 /
2) 우리나라 공무원의 역할 /
3. 외부 참여자 /
1) 외부 참여자의 의의 /
2) 비영리 민간단체 현황 /
3) 비영리 민간단체 활성화의 조건 /
제2장 행정과 환경
제1절 행정환경의 변동
1. 포스트코로나 시대 : 펜데믹 /
2. 기후 변화 : 지속 가능한 발전 /
3. 저출산 및 고령화시대 /
4. 미래의 혁명 : 4차 산업혁명 /
제2절 행정환경의 구성 요소 : 행정과 정치, 경제, 법, 시민
1. 행정과 정치 /
1) 정치와 행정의 기능적 관계 : 규범과 실제 /
2) 행정부와 입법부 및 정당의 관계 /
2. 행정과 경제 : 정부와 시장 /
1) 전통적인 관계 /
2)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관계 /
3. 행정과 법 /
4. 행정과 시민 /
제3장 행정학의 발달 : 행정이론
제1절 이론과 행정
제2절 한국 행정이론의 변화 과정
1. 1950년에서 1970년까지의 행정이론 /
2. 1971년에서 1990년까지의 행정이론 /
3. 1990년에서 2010년까지의 행정이론 /
4. 2010년 이후의 행정이론 /
제3절 행정이론의 주요 내용
1. 정치행정이원론 /
2. 과학적 관리론 /
3. 행정관리론 /
4. 정치행정일원론 /
5. 관료제론 /
6. 행정행태론 /
7. 체제이론 /
8. 비교행정론 /
9. 발전행정론 /
10. 신행정론 /
11. 공공선택론 /
12. 신제도론 /
13. 신공공관리론 /
14. 사회자본론 /
15. 신공공서비스론 /
16. 뉴거버넌스론 /
제4장 행정과 가치
제1절 행정가치의 의의
1. 행정가치의 개념 /
2. 행정가치의 특징 /
3. 행정가치의 분류 /
제2절 본질적 가치와 수단적 가치
1. 본질적 행정가치 /
1) 공익 /
2) 정의 /
3) 형평성 /
4) 자유와 평등 /
2. 수단적 행정가치 /
1) 능률성과 효과성 /
2) 민주성 /
3) 합리성 /
4) 가외성 /
제3절 행정가치의 현대적 적용
1. 민간 부문의 가치와 행정가치 /
2. 행정가치와 조직 개편 /
1) 질병관리본부의 청 승격과 행정가치 /
2) 고위공직자범죄 수사처(공수처) 설치와 행정가치 /
제5장 행정과 정책
제1절 정책이론의 기초
1. 정책의 개념과 정책 연구의 특징 /
1) 정책의 개념과 필요성 /
2) 정책학의 등장 배경 /
3) 정책 연구의 특징 /
2. 정책의 유형 분류 /
1) 로위의 정책 유형 분류 /
2) 앨먼드와 파월의 정책 유형 분류 /
3) 리플리와 프랭클린의 정책 유형 분류 /
3. 국가 권력과 정책의 관계 /
1) 국가의 필요성과 권위 /
2) 국가 권력과 권위의 정당성 /
3) 국가에 대한 관점 /
4) 권력의 유형 /
제2절 정책 과정의 이해
1. 정책 과정의 개념 /
1) 라스웰의 정책 과정 /
2) 앤더슨의 정책 과정 /
3) 존슨의 정책 과정 /
2. 정책 과정의 참여자 /
1) 공식적 참여자 /
2) 비공식적 참여자 /
3. 정책 네트워크 /
1) 정책 네트워크의 의미와 요소 /
2) 정책 네트워크의 유형과 특성 /
제3절 정책의제
1. 정책 문제와 정책의 창 /
1) 사회 문제와 정책 제 /
2) 정책의 창 /
2. 정책의제의 의미와 영향 요인 /
1) 정책의제의 의미와 성격 /
2) 정책의제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
3. 정책의제 형성모형 /
1) 콥과 엘더의 체제의제와 제도의제 /
2) 콥과 로스의 주도 집단에 따른 의제형성모형 /
제4절 정책결정과 분석
1. 합리적 의사결정과 정책결정 /
1) 합리적 의사결정과 전략적 의사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