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91625790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2-09-0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 경제 성장과 삶의 질
새롭게 떠오르는 행복과 불평등 / 우리의 국가경쟁력은 충분한가 / 행복으로 가는 길을 고민하다
2장 | 우리는 얼마나 행복한가
행복과 인간의 습성 /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3장 | 행복지수로 읽는 삶의 질
행복을 수치화할 수 있을까 / 우리나라의 삶의 질은 어디일까 / 우리를 뭉쳐주는 사회자본 / 사회 안정과 정치 신뢰도 / 공정한 나눔과 소득 격차 / 소득불평등 현황
4장 | 우리 안에 숨어 있는 우리
집단은 수평이 될 수 없을까 / 누구나 편하게 쉴 자유가 있다 /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 규제 성향과 남성향 사회
5장 | 그들에게 무엇을 남길 것인가
세대별 차이와 사회 변화 / 세대 간의 갈등, 어떻게 풀어야 할까 / 나라 곳간을 함부로 열지 마라 / 변해도 변하지 말아야 할 것
6장 | 외교 유산으로의 한·일 관계
우리나라와 일본의 간극 / 취업시장 회복과 인구 감소 예상 / 한·일 관계, 해법은 없을까
7장 |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
국민의 삶의 질과 복지 / 포용적 복지, 어떻게 구현할까 / 보편복지의 길목에서 / 국민 스스로가 주인이다
8장 | 계영배 정신으로 돌아가라
국가는 얼마나 건전한가 / 미디어, 눈을 가리지 않은 정의의 여신 / 국가권력 집중의 견제와 균형 / 정부가 커지면 혜택도 커질까 / 규제의 적정선은 어디까지일까 / 규제를 규제하라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행복은 포괄적인 개념이다. 좀 더 나은 집이나 차를 소유하려는 욕망에서 갈증이나 스트레스 해소와 같이 평소에는 고마움을 느끼지 못해도 모자라면 불편해져 메워야 하는 결핍 욕구, 목표와 이상을 향해 정진하며 얻는 희열과 얼마나 값진 인생을 살아왔나를 평가하는 인생 만족감, 나아가 타인의 안녕을 존중하는 가치·규범의 준수도 포함한다. WEF·IMD·ITU 등 공신력 있는 국제기관의 지수 평가로 보면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은 상당히 높은 것에 반해 행복·불평등 및 사회자본은 최하위권에 속한다. _ 프롤로그 중에서
많은 사람들이 ‘돈이 많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한다. 돈은 인간으로서 품위 있는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그런데 과연 돈이 많아지면 행복해질까? 1974년,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은 일부 주요 국가들의 1960년대 데이터를 분석한 후 결론 내린 ‘물질적으로 풍요롭다고 반드시 행복한 것은 아니다.’라는 이스털린의 역설을 발표했고, 이후 행복경제학이 탄생하는 모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