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1638189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4-0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종합예술로서의 활동, 영화제작 교육
1장 교육영화의 모든 것
1. 교육영화란 무엇인가
2. 한눈에 보는 영화제작 과정
3. 꼭 알아야 할 영화 용어들
4. 학생들과 함께하는 영화제작
초등 영화제작 과정 훑어보기
중등 영화제작 과정 훑어보기
: 기획하기•시나리오 작성•배우 모집과 장소 섭외•대본 리딩과 리허설•장비 점검과 소품, 의상 준비•신 리스트 재구성, 촬영 일정표 작성•촬영•편집•영화음악•시사회와 평가회•영화제 출품•제작비의 조달
2장 학교에서 영화 만들기
1. 학급 중심 교육영화
첫 영상 제작은 뮤직비디오로
목소리로 감정을 전하는 그림책 오디오북
제한된 시간에 완성할 수 있는 공익광고
인터뷰를 활용한 영상 만들기
우리 학급만의 이야기, 학급영화
학급에서 본격적으로 극영화 만들기
어떤 주제도 담을 수 있는 학급다큐멘터리
영화와는 또 다른 생명력을 지닌 OST
아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 영화제
포스터 만들기로 영화 요약하기
2. 동아리 중심 교육영화
심훈의 상록수 정신을 기리다_<그날이 오면>(2019)
폐교를 앞둔 아이들을 상상하다_<학교는 오늘도 안녕하다>(2020)
김대건 신부의 삶을 통해 지금 우리의 삶을 돌아보다_<고행>(2021)
청소년 도박 문제의 실상을 말하다_<처음으로 되감기>(2022)
통합교육에 대해 이야기하다_<학교 다녀오겠습니다>(2023)
에필로그
우리들의 영화가 탄생했어요
리뷰
책속에서
학교에서의 영화제작은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 마치 교육연극의 목적이 연극을 무대에 올리는 것이 아닌 것처럼 말이다. 영화제작을 통한 교육 또는 영화제작을 수단으로 삼는 교육이 목적이다. 그래서 영화제작 과정을 통해 어떤 배움과 성장이 일어났는지가 가장 중요하다. 그런데 영화는 작품으로 완성되어야만 배울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영화는 종합예술이지만 각 부분의 참여가 잘 보이지 않는데, 부분들의 참여가 전체 안에서 크고 작은 역할들을 하며 얼마나 중요한지는 관객들의 관람 후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영화를 제작하는 과정뿐 아니라, 관객이 완성된 영화를 만나면서 생겨나는 배움은 또 다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작하는 영화는 상업영화 등과 구분하기 위해 다른 명칭이 필요하다. 특성상 교육연극과 비슷하기 때문에 ‘교육영화’로 지칭할 수 있을 것이다.
― 1장「교육영화의 모든 것」 중에서
대부분의 영화가 그렇겠지만 특히 청소년영화의 시나리오 완성도가 전체 제작 완성도의 절반 이상을 좌우한다. 소재의 참신성이나 표현의 독창성, 그 세대만의 시각으로 풀어낼 수 있는 사건 전개의 구성력으로 청소년영화의 기술적 취약성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나리오 작성을 지도할 때 교사의 역할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나리오 작성 단계에서 교사는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에서 이야기한 ‘산파’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교사는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작성하는 아이들에게 “그래서?”와 “왜?”라는 질문을 지속적으로 던져 주어야 한다. 그렇게 해야 아이들은 스스로 고민하며 그 질문에 답을 하는 과정 속에서 참신성과 독창성을 발현할 수 있고, 사건 전개의 논리성도 확보할 수 있다.
― 1장「교육영화의 모든 것」 중에서
‘학급영화’란 표현은 학생들이 영화 작업을 자신들의 것으로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뿐만 아니라 학급 전체가 함께 만들어 간다는 목표를 이룰 수도 있다. 학급영화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된 까닭과 함께 고민해 봐야 할 유의점들이 있다. 기본적으로 영화는 만드는 순간에는 감독의 예술이지만, 만들어진 다음에는 관객의 것이 된다. 그래서 비평으로 난도질을 당하기도 하고, 의도치 않은 효과를 거두기도 한다.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이야기를 다뤄야 하지만, 동시에 그 안에 담긴 세부적인 이야기는 지극히 개인적일 필요도 있다. 이렇게 근사하게 말하지 않더라도 아이들은 잘 알고 있다.
- 2장 「학교에서 영화 만들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