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1651003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1-04-26
책 소개
목차
제 1 부. 사랑이 정말 이런 건줄 알았더라면
1. 페미니스트지만 섹스는 하고 싶어
에리카 종 『비행공포』 - 16
2. 포도는 발효되면 포도주가 되는데, 사랑은 발효되면 무엇이 될까?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콜레라 시대의 사랑』 - 32
3. 찰나의 사랑, 칼끝의 행복
필립 로스 『죽어가는 짐승』 - 54
4. 사랑은 달콤한 환희 속에서 파멸하는 것?
산도르 마라이 『결혼의 변화』&『열정』 - 66
5. 나의성적취향은어느부위?
다니자키 준이치로 『미친 노인의 일기』 - 78
제 2 부. 고독하고 은밀한 몸의 속사정
1. 연애를 책으로만 배웠을 때 벌어지는 참사
귀스타브 플로베르 『마담 보바리』 - 90
2. 21세기 안나 카레니나는 어떤 모습일까?
질 알렉산더 에스바움 『하우스프라우』 - 102
3. 비낭만적 사랑과 사회
미셸 우엘벡 『투쟁 영역의 확장』 & 정이현 『낭만적 사랑과 사회』 - 118
4. 몸으로 살아가는 괴로움
록산 게이 『헝거』 - 134
5. ‘내가 생각하는 나’는 과연 나 그대로일까?
주나 반스 『나이트우드』 - 150
제 3 부. 어쨌든 우리는 행복을 갈망한다
1. 빨간 알약과 파란 알약, 그리고 쾌락의 묘약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 『금지된 섬』 - 176
2. 러셀 선생님, 우린 정말 행복할 수 있을까요?
버트런드 러셀 『행복의 정복』 - 194
3. 더 나은 세상을 꿈꿀 권리
마지 피어시 『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 & 슐라미스 파이어스톤 『성의 변증법』 - 208
4. 좆브라냐 젖브라냐, 그것이 문제로다?
게르드 브란튼베르그 『이갈리아의 딸들』 - 224
제 4 부. 깨달음은 늘 한 박자 늦지만
1. 인간은 태어나서, 고생하다, 죽는다
에리카 종 『죽음의 공포』 & 필립 로스 『에브리맨』 - 238
2. 예술가로 산다는 것은
서머싯 몸 『달과 6펜스』 - 260
3. 단 한 번, 그리고 웃픈 블랙 코미디
밀란 쿤데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276
4. 내 속엔 나도 모르는 내가 아직도 많아
루크 라인하트 『다이스맨』 - 288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비행공포』를 한 줄 요약하자면 아마 이 문장이 되리라. "페미니스트지만 섹스는 하고 싶어." 눈치채셨듯 몇 해 전 베스트셀러 제목 패러디다. 혹은 "보지와 굶주림과 머리의 굶주림 사랑의 평화를 유지하는 법에 관한 고민 기록서"라 해도 좋겠다. 과연 무슨 수로 여성의 욕망과 사랑, 독립적인 삶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1973년이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로 지속되는 고민 말이다. 미국 성해방 운동을 이끌었던 68혁명 세대 페미니스트 작가는 이사도라의 목소리를 빌어 고백한다.
"나는 평생 페미니스트로 살았다. (중략) 그러나 문제는, 페미니즘의 구호들과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남자 몸에 대한 갈망을 어떻게 조화시키느냐였다. 쉬운 일이 아니었다.
(<페미니스트지만 섹스는 하고 싶어>, 에리카 종 『비행공포』
페르미나와 플로렌티노는 처음 만난지 무려 53년 만에, 드디어 첫 섹스 기회를 맞았다. 게다가 낭만적이게도 선상의 로맨스다. 과연 어떤 자세로? 어떻게? 나는 궁금해서 책을 열심히 넘겼다.
"죽었소."
아, 그랬다. 그랬던 것이었다. 80대의 섹스란 마음 먹는다고 되는 게 아니었다. "그녀는 아무런 힘도 없는 그의 육체를 비아냥거리는 애무로 자극하기 시작했고, 그는 수난을 견디지 못하고 선실로 돌아가 버렸다. (중략) 새벽까지 그를 생각하던 그녀는 마침내 그를 사랑한다는 확신을 갖는다." 우와, 프로렌티노는 진정한 선수였다! 계획된 발기부전이라니!
(<포도는 발효되면 포도주가 되는데, 사랑은 발효되면 무엇이 될까?>,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콜레라 시대의 사랑』
책 마지막에서 러셀은 이렇게 설명했다.
"모든 불행은 의식이 분열되거나 통합을 이루지 못한 데서 생긴다. 의식과 무의식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자아 내부에 분열이 생기고, 객관적인 관심과 사랑의 힘에 의해 자아와 사회가 결합되어 있지 않으면 자아와 사회는 통합될 수 없다. 행복한 사람은 자아의 내적인 통합이나 자아와 사회가 이루는 통합의 실패로 고통받지 않는 사람이다. 행복한 사람의 인격은 분열되어 있지 않으며, 세상에 대항하여 맞서고 있지도 않다."
그렇다. 먹고살 만한데도 사람들이 행복하지 않는 이유는 바로 사회가 요구하는 자아와 내가 욕망하는 자아가 같지 않기 때문이다.
(<러셀 선샌님, 우린 정말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버트런드 러셀 『행복의 정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