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1724882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5-06-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수업, 나를 찾아 떠나는 다섯 갈래의 길
1장. 자존: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다
01 멈춤, 길을 멈추고 나를 바라보는 의지
02 내면, 마음이 내게 던지는 소리
03 번아웃, 내가 나를 품어주는 시간
04 완벽, 잘하고 싶은 마음을 이해하는 공감
05 균열, 흔들리는 나를 받아들이는 포용
06 지성, 수업을 탐색하는 아름다운 호기심
07 감성, 삶을 아름답게 느끼는 심미안
08 신체, 몸을 돌보며 마음을 가꾸는 일상
09 영성, 고요한 내면을 마주하는 호흡
10 사랑, 나를 일으키는 가장 따뜻한 힘
2장. 디자인: 나만의 수업을 예술로 그려가다
01 창조, 수업의 공간을 세워가는 능력
02 빈틈, 틈 속에서 새로운 길을 찾는 발걸음
03 리듬, 수업의 흐름을 만들어내는 기획
04 질문, 살아 있는 수업을 여는 문
05 이야기, 작은 세계를 수업 속에 펼치는 장면
06 단순함, 덜어내며 깊어지는 방법
07 디지털, 기술 속에서도 본질을 지켜내는 태도
08 성장, 점수가 아닌 변화를 바라보는 시선
09 루브릭, 성장을 구조화하는 지도
10 서사, 수업에 나의 이야기를 새겨 넣는 손길
3장. 실행: 흔들리면서도 수업을 지켜가다
01 용기, 흔들려도 수업을 이어가는 끈기
02 경계, 무너짐을 막고 흐름을 지키는 울타리
03 존중, 마음과 마음 사이에 다리를 놓는 길
04 연결, 끊어진 흐름을 다시 잇는 유연함
05 실패, 흔들릴수록 더욱 단단해지는 심지
06 감각, 작은 신호를 읽어내는 섬세함
07 관계, 긴장을 부드럽게 풀어내는 감각
08 대화, 서로를 향해 놓는 작은 다리
09 몰입, 공기를 바꾸고 집중을 일으키는 순간
10 연극, 학생과 호흡하며 희망을 그리는 무대
4장. 성찰: 수업과 나를 다시 세워가다
01 거울, 내 수업을 다시 바라보는 창
02 보기, 수업에 거리를 두고 들여다보는 풍경
03 시선, 배움과 내면을 함께 바라보는 온기
04 나눔, 이야기를 열고 마음을 건네는 선물
05 격려, 작은 빛을 발견하고 지지하는 마음
06 도전, 두려움을 넘어 한 걸음 내딛는 비상
07 쓰기, 수업을 마음에 새기는 기록
08 코칭, 함께 성장하는 길을 열어가는 여정
09 동행, 곁을 지키며 함께 걸어가는 친구
10 여정, 끝나지 않는 배움을 함께하는 모험
『수업의 본질』과 함께하는 교사 수업 돌봄 안내서
에필로그
공동체, 함께 걷는 길 위에서 우리는 숲이 된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자존감은 화려한 교수법이나 남다른 지식에서 비롯되지 않는다. 그것은 ‘내가 왜 교사가 되었는지’, ‘내가 정말 하고 싶은 수업은 무엇인지’를 스스로에게 묻는 데서 시작된다. 하지만 그런 질문은 바쁜 일상에서 좀처럼 들리지 않는다. 숨 가쁘게 달려가는 삶의 한가운데서는, 마음속 울림조차 미처 귀 기울이지 못한 채 흘러가 버리기 일쑤다. 그래서 ‘자존’은 멈춤에서 시작된다. 의식적으로 걸음을 멈추고, 조용히 내면에 귀 기울이는 시간. 수업과 삶 사이에서 지친 마음을 잠시 내려놓고, 진심으로 나를 바라보는 시간. 그 시간이 있어야만 진짜 물음이 들려온다.
교사는 어떤 존재인가? 나는 예전에는 교사가 ‘잘 가르치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제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교사는 ‘잘 흔들리는’ 사람이라고. 여기서 ‘잘 흔들린다’라는 것은 쉽게 휘청이며 쓰러진다는 뜻이 아니다. 오히려 그 흔들림 속에서 자신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그 안에서 배우며 성장해 가는 존재라는 의미다. 흔들리지 않으려 애쓰다 보면 오히려 감정을 억누르게 되고, 결국 타인의 아픔에도 연민을 느끼지 못하게 될 때가 있다. 실제로 학교 안에서 고압적인 리더들을 보면, 교사였음에도 사람의 내면을 읽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어느 순간부터 자신의 감정을 들여다보는 연습을 멈추고, 강한 자신만을 앞세우려 하다가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는 능력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좋은 수업은 언제나 좋은 질문에서 시작된다. 질문은 학생들의 생각을 움직이게 하고, 그 흐름 속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며, 더 깊은 사유로 나아가게 한다. 기술은 이 과정을 촉진시켜 줄 수도 있고, 반대로 방해가 될 수도 있다. 결국 그 방향은 교사의 선택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