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9186857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4-2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1부_전통을 딛고 근대로 향하다
01. 이능화, 한국 불교 연구의 초석을 다진 선구자
02. 박한영, 한국 근대 불교계의 종장이자 교육자
03. 권상로, 근대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승려 학자
04. 안진호, 『석문의범』을 편찬한 의례와 사지의 대가
05. 김영수, 한국 불교 교단사 체계를 정립한 학자
06. 김태흡, 방송 등으로 불교의 대중화 모색
07. 최남선, 조선학의 개척과 통불교론 주창
08. 김경주, 한국 불교의 정체성을 고민한 지식인
09. 강유문, 『포교법개설』을 펴낸 불교 청년운동가
2부_타자의 시각, 애정과 편향
01. 누카리야 가이텐, 선학 연구의 대가, 한국 불교사상 조형
02. 다카하시 도루, 식민사관과 조선시대 불교사 정립
03. 오야 도쿠조, 대각국사 의천과 고려대장경 연구
04. 구로다 료, 한국 불교문헌 서지학 연구의 공로자
05. 에다 도시오, 조선시대 불서와 한국 불교 특성 연구
06. 가와무라 도키, 일생의 노작 『조선불교사』 저술
07. 나카기리 이사오, 한국 불교미술 연구의 조력자
3부_근대 학문의 지평에 서서
01. 백성욱, 전통과 근대를 겪은 교육자이자 정치인
02. 김법린, 프랑스 유학 학자이자 정계의 명망가
03. 김잉석, 한국 화엄학 연구의 초석을 다진 학인
04. 허영호, 식민지 불교 지식인의 굴곡진 삶과 업적
05. 박종홍, 한국 철학의 주체적 길을 모색한 철학자
06. 고유섭, 탑파 연구의 금자탑을 세운 한국 미술 연구자
07. 고형곤, 선과 서양철학을 접목한 한국 철학자
08. 최범술, 경계를 넘나든 불교계의 올라운드 플레이어
09. 이종익, 조계종 보조종조론을 내세운 원칙주의자
10. 이재열, 보조종조론을 끝까지 견지한 재야 불교학자
4부_한국 불교학의 틀을 만들다
01. 김동화, 현대 한국 불교학의 기반을 닦은 학자
02. 조명기, 현대 한국 불교사학의 밑그림을 그리다
03. 우정상, 전통과 근대식 교육의 병행과 조선불교 연구
04. 이영무, 출가와 재가를 넘나든 승려 학자의 삶
05. 이기영, 경성제대에서 루뱅대학까지 동서양을 엮은 원효 학자
06. 안계현, 동국대 불교사학의 전통을 연 역사학자
07. 김지견, 일본에서 불교학 박사학위를 받은 첫 한국인
08. 이지관, 학술 연구에 매진한 현대 한국의 대표 학승
09. 고익진, 한국 불교사상사 정립에 일생을 바치다
10. 심재룡, 철학자의 눈으로 불교를 바라보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능화) 『조선불교통사』는 고대부터 근대까지 한국 불교사 전체의 흐름을 시기별·주제별로 나누어 서술한 책이다. 이능화는 책의 출간을 앞두고 쓴 글에서 “조선의 승려조차도 조선 불교의 역사를 알지 못하고 계통적 역사 서술이 없다.”라고 비판하며, 이는 족보와 계보를 몰라 상놈이 되는 것과 같은 것이라 비유했다. 그러면서 한국 불교사에 대한 계통적 이해를 도모하고 참고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오래도록 노력을 기울인 결과, 이 책을 내게 되었다고 밝혔다.
(권상로) 권상로가 쌓아 올린 학문 연구의 업적과 경향에 대해 살펴보자. 그는 1912년 자신이 발행을 맡은 《조선불교월보》에 인도와중국, 한국과 일본의 불교사를 간략히 개관했고, 일본 근대 불교사학의 개척자 무라카미 센쇼(村上專精)의 『불교통일론』 일부를번역·수록했다. 무라카미가 제시한 연구방법론은 ‘주석(경전 강독), 달의(교리와 조직법), 비평(진위 판명), 역사(교단의 변천), 비교(다른 종교와 비교)’였는데, 이를 위해서는 교리, 논리, 역사, 비교, 비평의 안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강유문) 강유문은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과 불교 근대화 및 대중화라는 지상 명제 사이에서 고뇌하며 현실의 당면 과제와 불교의 나아갈 길을 스스로 찾고 헤쳐 나가려 한 선각적 지식인이었다. 일본에 유학 가서 사학을 전공한 그였기에 한국 불교의 역사에 큰 관심을 가졌고 관련 글을 쓰기도 했다. 또한 불교 잡지를 직접 발행하고 사지 편찬을 주도했다. 무엇보다 『포교법 개설』을 저술하여 불교가 사회와 민중 속으로 더 깊이 들어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