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주 섬 공간 가로지르기

제주 섬 공간 가로지르기

(트드멍, 도투멍, 쿰으멍)

김치완 (지은이)
온샘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36,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600원
32,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주 섬 공간 가로지르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주 섬 공간 가로지르기 (트드멍, 도투멍, 쿰으멍)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2062389
· 쪽수 : 414쪽
· 출판일 : 2024-06-13

책 소개

‘트드멍, 도투멍, 쿰으멍’ 납뜬(날뛴) 몽생이의 일기다. ‘헐뜯고, 다투면서, 품는 것’은 쿰다난민연구단이 주목한 ‘제주 섬에서 사는 방식’이기도 하다. ‘제주 섬 공간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이론의 여정’으로 12편의 연구 논문을 ‘제주 섬 공간과 모빌리티’, ‘동아시아 세계관과 제주 공간’, ‘제주 섬 가로지르기’, ‘제주 모빌리티의 주체와 정체성’의 4부로 엮었다.

목차

간행사 … 4

서문: ‘제주 섬’ 공간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이론의 여정 15

제1부 제주 섬 공간과 모빌리티 33

제1장 섬[島]-공간의 개념적 접근 35
Ⅰ. 펼치지 않은 육지, 섬[島] 35
Ⅱ. 비어-있음 38
Ⅲ. 잘라-깁기 42
Ⅳ. 덜어-내줌 46
Ⅴ. 일상적 공간 50

제2장 한라산 인문학 공간의 개념적 검토 55
Ⅰ. 부재 공간, 한라산 55
Ⅱ. 자연-경관 58
Ⅲ. 문화-유산 62
Ⅳ. 실천-현장 67
Ⅴ. 포개진 공간 71

제3장 섬 이동 설화의 모빌리티 75
Ⅰ. 흐르는 섬, 노마드적 이상 75
Ⅱ. 생성-변화 77
Ⅲ. 언표-질서 82
Ⅳ. 경계-넘기 87
Ⅴ. 동적인 세계 92

제2부 동아시아 세계관과 제주 공간 95

제4장 유학의 공간 담론과 문화 공간 97
Ⅰ. 참여하는 정치 97
Ⅱ. 일상성의 긍정 99
Ⅲ. 관계성의 긍정 103
Ⅳ. 공공성의 회복 108
Ⅴ. 재생의 공간 112

제5장 화엄의 공간 담론과 문화 공간 117
Ⅰ. 연기하는 법계 117
Ⅱ. 중앙의 변방 120
Ⅲ. 주변의 중심 126
Ⅳ. 공간의 원융 132
Ⅴ. 희망의 공간 140

제6장 동학과 근현대 담론 공간 145
Ⅰ. 혼종된 모던 145
Ⅱ. 근대 공간에서의 동학 148
Ⅲ. 지금[現]-여기[場] 153
Ⅳ. 함께[共]-공변[公] 157
Ⅴ. 대안의 공간 162

제3부 제주 섬 가로지르기 165

제7장 제주 여성 연구의 시선 가로지르기 167
Ⅰ. 교차하는 과거 167
Ⅱ. 여성-타자 170
Ⅲ. 일상-주체 177
Ⅳ. 기억-응시 184
Ⅴ. 대항하는 공간 191

제8장 여신신앙의 변용 양상 가로지르기 195
Ⅰ. 변용되는 현재 195
Ⅱ. 관음신앙의 변용 198
Ⅲ. 성모신앙의 변용 206
Ⅳ. 마리아 신심의 변용 214
Ⅴ. 보살피는 공간 221

제9장 문화적 재현 가로지르기 225
Ⅰ. 발굴되는 미래 225
Ⅱ. 1991년의 재현 228
Ⅲ. 1948년의 재현 235
Ⅳ. 1996년의 재현 243
Ⅴ. 가로지르는 공간 251

제4부 제주 모빌리티의 주체와 정체성 257

제10장 사유의 교섭, 보유론 259
Ⅰ. 뉴노멀, 이동의 제한 259
Ⅱ. 보유론적 서학의 등장 262
Ⅲ. 천주교회의 탄생과 교안 267
Ⅳ. 환황해권 천주교 교안 272
Ⅴ. 무너지는 경계 278

제11장 로컬의 교섭, 이중정체성 283
Ⅰ. 이주지, 이동의 현장 283
Ⅱ. 출신지 문화 거리두기 286
Ⅲ. 정착지 문화 이해하기 292
Ⅳ. 이중문화 정체성 297
Ⅴ. 뿌리내리는 터전 304

제12장 주체의 교섭, 섬 정체성 309
Ⅰ. 정체성, 이동의 결과 309
Ⅱ. 잃어버린 기억 311
Ⅲ. 경계인의 시선 317
Ⅳ. 근대인의 욕망 323
Ⅴ. 경계 너머 경계 329

주 석 … 335
참고문헌 … 395
찾아보기 … 415
초출일람 … 418

저자소개

김치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철학과장, 제주대학교 기초교양교육원장, 제주대학교 신문방송사 주간, 제주대학교 교육혁신본부장을 거쳐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제주대학교 총장추천관리위원장,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편집위원회 위원장, 전국국공립대학 주간협의회 회장, 언론중재위원 제주지부 위원을 역임했다.<제주의 로컬리티 담론 공간과 철학>(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5)을 비롯한 다수의 단독저서와 <섬, 위기의 바람과 변화의 물결>(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민속원, 2023)을 비롯한 공저를 펴냈다. 「모빌리티로 본 근현대 도시공간 제주의 지형 변동」(<도서인문학연구> 16권 1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문학연구소, 2024)를 비롯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2023년 9월부터 ‘쿰다’로 푸는 제주 섬의 역사와 난민사업단 연구책임을 맡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