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91192292038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2-03-31
책 소개
목차
1부 문화기술지 연구의 전통과 경향
01. 사회과학으로서 문화인류학
1. 사회과학은 과학인가?
2. 문화인류학과 사회과학의 접점
3. 사회과학의 탐구대상과 관점
4.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방법
02. 문화인류학의 이론 발달과 공헌
1. 문화인류학의 특성
2. 문화인류학의 정체성과 이론의 탄생
3. 현대 문화인류학의 주요 이론
4. 인류를 위한 문화인류학의 공헌
03. 현지조사와 문화기술지 연구
1. 현지조사의 개념과 관점
2. 문화기술지 연구자의 태도와 관점
3. 현지조사의 방법과 절차 ·
4. 현지조사 마무리와 결과 해석
04. 질적연구로서 문화기술지 작성
1. 문화기술지 개요
2. 문화기술지의 전통과 연구경향
3. 문화기술지의 유형과 수행절차
4. 문화기술지의 자료수집과 자료분석
2부 문화기술지 연구의 형식과 실제
05. 문화기술지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1. 문화기술지의 전개와 흐름
2. 문화기술지 선행연구 분석
3. 문화기술지 논문 분석 대상 개요
06. 연구방법 및 연구참여자 선정 기술방식
1. 연구방법 선정과 연구참여자 선정의 의미
2. 연구방법 선정 이유 기술방식
3. 연구참여자 선정 및 특성 기술방식
07. 자료수집 방법과 과정 기술방식
1. 자료수집의 의미와 방법 유형
2. 참여관찰 과정 기술방식
3. 심층면담 과정 기술방식
08. 자료분석 및 연구윤리 기술방식
1. 자료분석과 연구윤리의 의미
2. 자료분석 과정 기술방식
3. 연구윤리 확보의 기술방식
3부 이주민 문화기술지 프로젝트의 실제
09. 이주민 문화기술지 프로젝트의 연구설계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연구방법의 설계와 활용
10. 이주민 문화기술지 연구수행 내용
1. 1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2. 2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3. 3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11. 이주민 문화기술지 연구성과와 활용
1. 연구결과 활용계획
2. 참여연구진의 연구성과
3. 다문화융합연구소의 연구성과
12. 이주여성 문화기술지의 형식과 내용
1. 이주여성 문화기술지 연구개요
2. 연구방법의 형식과 내용
3. 연구결과의 형식과 내용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1. 사회과학은 과학인가?
왜 사회·문화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인 ‘사회과학’에 ‘과학’이라는 단어가 붙는가?
필자는 먼저 위의 질문을 시작을 본서를 열고자 한다. 중세에서 계몽주의 시대까지 과학은 모든 종류의 체계적이거나 정확하게 기록된 지식을 가리키는 것으로 철학의 넓은 의미였다. 과학은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보편적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지식이다. 다시 말해 자연형상과 사회·문화 현상을 1) 체계적으로 관찰하여, 그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보편적인 법칙 및 원리를 발견하고 발전시키는 행위가 과학이며, 2) 이에 대한 방법론을 과학이라 한다. 또한 과학은 3) 이러한 결과로 이루어진 체계적인 지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은 넓은 의미에서의 모든 ‘학문’이며 좁은 의미에서는 자연과학을 칭한다.
1990년대를 전후로 포스트 구조주의와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문화기술지 연구는 식민주의, 젠더, 인종, 계급적 차원의 권력 문제 등을 다루었고, 비판적 문화 기술지 탐색으로 귀결되었다(오은정, 2020).
또한 영국의 사회학과 북미의 시카고학파를 중심으로 사회학 분야에서 문화기술지의 특성을 발전시켜나가며 현지조사(field work)에 참여관찰 기법을 적용하여 자기 문화 내 집단들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다문화 관련 사회적 이슈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다문화 구성원들(결혼이민자, 외국인 글론자, 외국인 유학생, 제외동포 등)과 내국인들과의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구성원들의 에스노그래피(Ethnography)를 활용한 생활세계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과 이들의 사회통합을 위한 총서를 발간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