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30318532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0-01-20
책 소개
목차
제1부 다문화주의와 교육적 쟁점
제1장 다문화주의 실천과 시민의 다문화 역량
1. 다문화 역량이 필요한 이유
2. 한국사회의 인구 다양성과 대응 정책
3. 시민교육 담론과 다문화 시민 역량
4. 다문화 역량과 협동학습
5. 마무리
제2장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의 대안적 논쟁
1.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
2. 다문화 학교의 의미와 개념
3. 다문화성과 상호문화성의 대립
4. 상호문화교육과 상호문화역량
5. 마무리
제3장 다문화주의와 ‘통합적’ 다문화교육의 실제
1. 통합적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2. 다문화주의의 개념과 정의
3. 독일의 다문화 정책과 상호문화교육의 흐름
4. 독일 일반 학교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5. 베를린 국립 유럽학교
6. 마무리
제4장 다민족·다문화 사회에서의 종교교육
1. 다문화 사회의 종교교육
2. 유럽의 이슬람 논쟁
3. 독일의 종교교육
4. 모두 함께하는 종교수업의 관점
5. 학생 관점에서의 조화와 갈등
6. 마무리
제2부 다문화 사회의 교육과 복지
제5장 지속가능한 다문화 도시와 다문화가족지원 정책
1. 초국적 이주와 ‘지속가능한’ 다문화 도시
2. 다문화 정책을 위한 타자 철학
3. 인천시 이주민의 다양성
4. 사회통합정책의 현실과 개선방안
5. 마무리
제6장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향
1. 들어가는 말
2. 이주여성과 한국어교육
3. 이주여성의 어휘사용 특성
4. 의사소통과 의사소통 전략
5. 마무리
제7장 이주여성의 자녀 대상 모국어 교육 경험
1. 이주여성의 자녀를 위한 모국어 교육
2. 모국어에 대한 이해
3. 국외 이중언어 교육정책
4.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모국어 교육 경험
5. 마무리
제8장 중도입국자녀를 둔 이주여성의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
1. 중도입국자녀의 문제
2. 중도입국자녀의 현황
3. 중도입국자녀의 특성과 복지서비스
4. 중도입국자녀를 둔 이주여성의 복지경험
5. 마무리
제3부 다문화 학교와 다문화 학습자
제9장 다문화 가정 학생의 교육연극과 협동학습
1. 교육연극과 협동학습의 필요성
2. 다문화 가정 학생과 교육
3. 교육연극과 협동학습
4. 교육연극과 협동학습의 실제
5. 마무리
제10장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1.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언어교육 문제
2. 다문화 가정 자녀와 한국어
3.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특성
4.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어휘
5. 마무리
제11장 탈북학생 현황과 탈북학생 교육 실태
1. 들어가는 말
2. 탈북학생의 개념 및 정의
3. 탈북학생 현황 및 특성
4. 탈북학생 교육 지원 정책 현황
5. 마무리
제12장 초등교사의 탈북학생 교육 경험의 의미
1. 탈북학생 교육의 문제
2. 탈북학생 교육 사례
3. 탈북학생 교육활동 양상: 생활 멘토링
4. 탈북학생 교육실천 양상: 돌봄의 교육
5. 마무리
제13장 다문화 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의 사회적 실천과정
1. 대학생 다문화 멘토링의 필요성
2. 다문화 가정 학생의 특성과 다문화 멘토링
3. 다문화 멘토링과 사회적 실천
4. 대학생의 사회적 실천 자료수집 과정
5. 대학생의 사회적 실천과정
6. 마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