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92374871
· 쪽수 : 132쪽
· 출판일 : 2025-07-30
목차
■ 차례
1부 물항아리
연등
따뜻한 세수
물항아리
이기대 갈맷길
고샅길
펜치가 필요한 시점
오후
섬사내
청사포
백조
봄날
색종이 하늘
고갈비
2부 도서관 앞 가을
겨울나무
빈집
버스 정류장
초콜릿
정화수
무제
가지산 정상에 시계가 걸렸다
죽비소리
도서관 앞 가을
가을은
반조
책갈피 낙엽
눈 안에서 잠들다
금쪽같은 내 편
황학대 구 선생님
3부 용접공
얼레지 꽃
용접공
오후 2시
참새
하루
나무와 나무
치얼스
못
장맛비
보고싶은 얼굴
봄밤
대패
윷놀이
공감이란
4부 기억의 지속
버킷 리스트
민들레
벽화
손전등과 시집
우산과 물컵
기억의 지속
숫돌
볼트와 너트 사이
자연의 신비
해설
저자소개
책속에서
[해 설]
시인은 부산일보 신춘문예 당선 소감에서 다음과 같이 피력했다.
“낯선 프랫폼에서 공구로 생계를 이어온 지 33년이란 시간이 갔다. 새벽녘 봉고를 타고 나온 용접공들과 커피 한 잔을 나누면서 일과가 시작되었고 휴가란 저 멀리 동떨어져 있는 세계인 줄 알고 살았다. 저마다 자란 키만큼 한 발짝씩 하늘에 다가서는 나무들처럼 이 공간에서 시가 나오고 삶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요즘 크게 깨닫는다”라고 적었다.
물론 이 소감은 당선작 「펜치가 필요한 시점」의 시를 염두에 두고 쓴 것이므로 시집 전편에 해당하는 말은 아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공구와 생계라는 울타리를 치고 사는 현실이 바로 시 「용접공」에서 드러나고 있다.
시를 포괄적으로 읽는다면 화자는 연장(공구)이 되느냐 마느냐, 이쪽으로 가느냐, 저쪽으로 가느냐 하는 선택에 따라 유불리를 따지는 태도를 보이지만, 화자는 결국 그 상황을 펜치를 잡고 노동하는 시점으로 판단하고 있다. 자아 성찰이다. 그 공간에서 시가 나오고 삶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당선시에 비해 그 뒤에 씌어진 것으로 보이는 「용접공」은 오히려 노동의 현재성이 더 강하다.
김 시인은 토포필리아의 진정성이 화려함 뒤에 숨겨진 칠흑의 절제와 들끓는 밝은 빛에서보다는 소란을 다 보낸 뒤의 적막에서 그 진수를 보아내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청사포의 진경을 진경답게 보고자 하는 김해인 시인! 그 시인의 시인다움에 경의를 표하고자 한다.
강희근 교수, 시인 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