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화학 > 쉽게 배우는 화학
· ISBN : 979119242127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3-10-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제1장 기본 중의 기본
01 화학의 ‘화’
02 우주를 구성하는 세 종류의 입자
03 원자의 구조, 크기, 질량
04 수헬리베붕탄질산
05 마법의 숫자 8
더 궁금한 화학 지식 아보가드로수
제2장 화학 물질의 구조와 결합 에너지
06 사이좋은 둘, 화학 구조 첫 번째
07 전자를 공유하는 원자, 화학 구조 두 번째
08 빛은 무엇일까?
09 화학 결합과 에너지
10 왜 밥을 전자레인지에 데우면 따뜻해질까?
11 왼손과 오른손의 모양은 같을까, 다를까? •050
더 궁금한 화학 지식 비대칭 분자
제3장 특이한 화합물
12 비정상적으로 높은 물의 끓는점
13 산소가 있어도 살 수 있다고?
14 드라이아이스와 얼음의 차이
15 가장 아름다운 금속, 금
더 궁금한 화학 지식 끓는점이 낮은 화학 물질
제4장 화학 구조와 성질
16 물과 기름 사이를 이어주는 매개
17 정말 신기한 설탕과 아스파탐의 맛과 구조
18 등 푸른 생선과 폴리페놀은 왜 몸에 좋을까?
19 대항해 시대 선원의 선물
20 예의 바른 분자? 액정
21 그을음과 다이아몬드의 공통점!
더 궁금한 화학 지식 미각과 분자 구조
제5장 생명을 지탱하는 자연
22 생명의 시작, 광합성
23 나뭇잎은 왜 초록색일까?
24 ‘잎열뿌’와 ‘질인포’
25 자외선은 왜 몸에 나쁠까?
26 생명의 은인, 오존
더 궁금한 화학 지식 제한 효소
제6장 생명체를 이루는 화합물
27 DNA 속 수수께끼의 암호: A, T, G, C
28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
29 당: 식물이 만드는 생명의 근원
30 당: 개는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고?
31 지질: 세포의 안과 밖을 나누는 경계
더 궁금한 화학 지식 DNA, RNA, 단백질 중 무엇이 먼저일까?
제7장 천연물에서 공장 생산으로
32 화학에서 말하는 ‘만들다’의 의미
33 암모니아: 인류를 구한 대발견
34 석탄의 선물: 빨간 드레스
35 아스피린: 버드나무 잎에서 발견한 항염증제
36 유리 회사가 만든 약: 마취제
더 궁금한 화학 지식 요소와 요소 분해 효소
제8장 플라스틱
37 탄소는 길어진다, 끝없이
38 다양한 중합체와 그 용도
39 나일론과 견직물
40 페트병과 와이셔츠는 같은 화학 물질
더 궁금한 화학 지식 접착제는 어떻게 물건을 붙일까?
제9장 생명의 힘을 이용한 생산 과정
41 발효와 부패
42 생명의 항상성은 효소 덕분
43 신의 선물: 과일로 포도주를 만들어라
44 살리지 않도록, 죽이지 않도록: 아미노산 발효
45 미생물을 공장으로
더 궁금한 화학 지식 석유의 대체재
제10장 무기 화합물
46 금속
47 철: 북극성에서 자석으로
48 보석: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49 파르테논 신전과 타지마할
50 유리
51 세라믹
더 궁금한 화학 지식 우리 몸에 들어 있는 금속 이온
제11장 건강과 화학
52 의약품의 원리
53 의약품의 생산
54 방해꾼: 항히스타민제
55 효소 저해제
56 미생물이 만든 살균제: 항생 물질
더 궁금한 화학 지식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와 백신
제12장 자연과 화학
57 생명을 키운 바다
58 이산화탄소가 대기를 따뜻하게 하는 원리는?
59 원래 생물이었던 석유와 석탄
60 반딧불이는 왜 빛날까?
61 빛나는 생물
62 오로라
더 궁금한 화학 지식 수국은 왜 색이 달라질까?
제13장 생명 유지와 활동
63 비타민: 생존에 필요한 조효소, 아민
64 미네랄: 효소 운반과 신경 전달
65 냄새와 분자: 구조와 관계있을까?
66 시각의 원리
67 내장 구이는 정말 몸에 좋을까?
68 페로몬을 내뿜는 인간이 있을까?
69 우리 몸을 지키는 면역 체계
더 궁금한 화학 지식 비타민의 발견: 각기병 논쟁
제14장 첨단 기술과 화학
70 지구와 지갑을 위한 빛: LED
71 빛나는 벽: 커브드 TV
72 리튬 이온 전지
73 백금 반지가 사라진다고? 친환경 전지: 연료 전지
74 자태가 화려한 플라스틱의 여왕, 정보 통신을 책임지다
75 덴드리머: 의약품 배달원
참고문헌
색인
책속에서
‘화학 물질’이라고 하면 더럽다, 위험하다, 기분 나쁜 냄새가 난다며 안 좋게 보는 사람도 많습니다. 예전에 올리브유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고급 올리브유는 좋은 향이 나지만, 저렴한 올리브유는 화학 물질 냄새가 난다는 말을 듣고 ‘화학 물질이 그런 이미지라니’ 하고 실망한 적이 있습니다. 사실 고급이든 저렴하든 똑같이 화학 물질 냄새가 납니다. 유기농은 쉽게 말하면 화학 비료를 쓰지 않고 농작물을 키우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식물이 영양분으로 흡수하는 물질은 암모늄염 또는 질산염이고, 유기농 비료도 땅속 미생물의 분해
작용으로 화학 비료와 같은 성분으로 바뀌고 나서야 식물의 영양이 됩니다.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으면, 이미지만으로 화학 비료를 나쁘게 취급할 수 없습니다.
지구를 물의 행성이라고도 부르지요. 지구 표면에는 방대한 양의 물이 있고 바다가 지구의 표면적 중 7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바닷속에서 최초로 생명이 탄생했으며 우리의 몸무게 중 약 60%는 물입니다. 물은 이처럼 생명체와 깊은 관련이 있는 데다 없어서는 안 될 화학 물질이지만, 사실 화학적으로는 여느 물질과 굉장히 다른 물질이기도 합니다. 일단 물은 끓는 온도(끓는점)가 굉장히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분자가 무거울수록 끓는점도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