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트토크 머니토크

아트토크 머니토크

(갤러리에서 아트페어까지 미술 시장에서 만난 그림값의 비밀)

이지혜 (지은이)
미래의창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600원 -10% 630원 10,710원 >

책 이미지

아트토크 머니토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트토크 머니토크 (갤러리에서 아트페어까지 미술 시장에서 만난 그림값의 비밀)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2519609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3-05-31

책 소개

인터넷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저자만의 시선과 안목이 녹아든 미술 시장 리뷰이다. 직접 미술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입장에 있는 아트 컬렉터가 말하는 미술 시장은 다른 미술 전문가들이 풀어놓는 것과는 또 다른 매력을 갖는다. 돈의 감각과 예술의 숨결을 가득 담은 이번 책을 통해 독자들은 미술 시장의 현황과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시작하며

CHAPTER 1 변화하는 미술 시장
위기 후에 열린 새로운 미술 시장
MZ세대가 재정렬한 미술 시장의 새 판도
스몰토크|이지현 널 위한 문화예술 COO|MZ세대의 미술을 말하다
시장이 나빠졌을 때 비로소 드러나는 민낯?
스몰토크|디디에 그리프 프랑스 공인 미술품 감정사|100년 후에도 안전한 미술품의 비밀
부동산 vs. 미술품,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는 자산

CHAPTER 2 미술과 돈이 공존하는 갤러리
작가의 성공은 곧 갤러리의 성공: 마더 갤러리
무한 경쟁, 확장하는 미술 시장: 서울에 상륙한 메가 갤러리
새로운 시장을 열어갈 한국의 크고 작은 갤러리
스몰토크|이대희 서정아트 대표|갤러리에 필요한 우아하고 지적인 선순환 구조

CHAPTER 3 갤러리 밖의 갤러리
미술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된 브랜드들
스몰토크|모리스 레노마 레노마 파리 설립자|브랜드와 미술의 만남. 단, 재미있을 것!
갤러리지만 갤러리가 아닙니다
온라인에도 갤러리가 있다

CHAPTER 4 서울을 주목하는 갤러리들
‘로컬’ 키아프 vs. ‘글로벌’ 프리즈
스몰토크|아멜리 뒤 샬라르 아멜리 메종 다르 대표|불황과 호황 사이, 수작을 기다리는 컬렉터
아트바젤 vs. 피악 그리고 파리
스몰토크|장피에르 비쥬 변호사&컬렉터|좋은 미술을 소유하기 위해 거쳐야 할 시간
미술 시장을 집어삼키는 아시아의 용
스몰토크|케이티 틸리 갤러리스트|서울은 이미 하나의 큰 아트시티

CHAPTER 5 돈이 되는 미술 키워드
인종과 젠더를 품은 미술, 다양성
완전히 새로운 예술, 아트 브뤼
스몰토크|크리스티앙 버스트 갤러리스트|아트 브뤼는 최후에 남겨진 ‘새로운’ 예술
미술품도 자산이다, 세금
스몰토크|강익중 미술가|공공 미술이라는 유산에서 진짜로 얻는 것
영앤리치 작가들, 레드칩

토크 후에
참고 문헌
작품 목록

저자소개

이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동산 시행 및 마케팅사 대표 겸 아트 컬렉터로, 미술품과 부동산이라는 양대 시장의 교차점에 서 있는 MZ세대의 대표 표본이다. 대학 시절, 은신처 삼아 들렀던 미술관에서 뭔가에 꽂히면 끝을 봐야 직성이 풀리는 ‘슈퍼덕후 DNA’에 발동이 제대로 걸렸다. 그 길로 미국 종·횡단 로드트립 1만 마일을 일주하며 ‘미국 미술관에 깃발 꽂기 프로젝트’를 스스로 기획, 실행했다. 그 후 15년이 넘는 시간 동안 차츰 시야를 넓히고 견문을 쌓으며 미술품에도 부동산처럼 트렌드와 비전이 존재한다는 것을 터득했다. 슈퍼 컬렉터들이 전용기를 타고 오는 네덜란드의 테파프 아트페어나 매년 3월의 포문을 여는 홍콩 아트바젤, 치열한 경합 끝에 거장의 작품을 낙찰받는 소더비 경매장의 세련된 고객들에게는 시장을 읽어내는 영민한 눈이 있다. 그 ‘눈’은 결국 경험을 통해 트이고 성장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에 오늘도 운동화를 신고 캔버스백을 맨 채 국내외 아트페어와 경매장, 갤러리, 미술관을 찾는다. 한국 미술 시장이 그 어느 때보다 활기로 가득 찬 요즘, 그 우아하고 역동적인 현장에서 얻은 정보와 지식들을 SNS ‘#제이니의미술관’을 통해 공유하며 신입 컬렉터들의 ‘랜선 아트테크 가이드’ 역할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나는 미술관에서 투자를 배웠다》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미술’이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공간 및 시각의 미를 표현하는 예술’이라는 정의가 나온다. 여기에 수요와 공급에 따라 사람과 돈이 몰리고 시장이 만들어지면서 미술은 본래의 사전적 의미를 그대로 간직한 채 점점 더 넓은 범위를 포괄하는 단어로 확장되고 있다. 그렇다면 오늘날의 미술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나는 미술을 금융과 부동산, 정치와 행정, 엔터테인먼트와 셀러브리티의 산물이라고 새롭게 정의하고 싶다. 미술품은 양도차익을 통해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자산이며, 동시에 가장 궁극적인 향유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미술품을 다루는 세금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은 미술품이라는 자산이 이미 제도권 안에 편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2022년 아트시 플랫폼에 새롭게 유입된 한국인 컬렉터의 비율은 2021년 대비 230% 증가하여 성장률 1위에 등극했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컬렉터들이 생각보다 모바일을 더욱 자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아트시 앱을 미국 다음으로 많이 다운로드한 나라가 한국이었다. 이는 모든 유통 채널이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동안에도 미술 시장이 여전히 오프라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던 이유를 ‘화질’ 때문이라고 생각했던 미술계의 선입견을 보란 듯이 깨부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2519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