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92628561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11-05
책 소개
『청명 임창순 한문 강좌 1 : 한자와 한문의 기초』에는 10년간의 강의 중, 한자의 자체(字體)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 한자의 글자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한문의 문장 구성은 어떻게 되고 각 품사들은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한 강의, 그리고 많이 쓰이는 성어에 대한 강의의 내용을 담았습니다.
* ‘청명 임창순 한문 강좌’ 시리즈는 1권 ‘한자와 한문의 기초’를 시작으로, 총 네 권의 시리즈로 출간될 예정입니다. 2권은 ‘한국과 중국의 고사’, 3권은 ‘사서(四書) 강의’, 4권은 ‘한시 강의’입니다.
대가의 육성으로 듣는 한자와 한문의 기초
청명 임창순 선생의 TV 강의를 책으로 옮기다
청명 임창순 선생은 금석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긴 한문학의 대가이며, 태동고전연구소(지곡서당)를 세워 학문 후속 세대를 길러내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다. 태동고전연구소는 1976년부터 한학 연수생을 선발하여 학비와 생활비를 지원하며 한학을 교육했는데, 사서삼경을 통째로 외우게 하는 지도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주로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런 전문적인 한학 교육을 행하는 한편으로, 선생은 대중적인 강의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는데, 현 EBS의 전신인 KBS 3TV에서 1980년대 내내 진행했던 ‘한문 강좌’가 대표적이다. 선생은 이 강좌 프로그램을 통해, ‘한자의 기초’, ‘한문기본문법’, ‘한자의 성어’, ‘중국 고사’, ‘한국 고사’, ‘사서’(四書), ‘한시’ 등을 주제로 한문을 전공하지 않은 이들도 쉽게 듣고 익힐 수 있도록 풍부한 예문과 함께 평이하게 풀어 설명한 바 있다.
‘임창순의 한문 강좌’ 시리즈는 이 TV 강의를 책으로 옮겨서 오늘날의 독자들에게 전하고자 한다. 이번에 출간된 1권 『청명 임창순 한문 강좌 1 : 한자와 한문의 기초』에는 10년간의 강의 중, 한자의 자체(字體)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 한자의 글자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한문의 문장 구성은 어떻게 되고 각 품사들은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한 강의, 그리고 많이 쓰이는 성어에 대한 강의를 담았다. 이 책에 담긴 풍부한 예문과 배경에 대한 흥미로운 설명을 통해서 독자들은 즐겁게 한문 공부의 기초를 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한문 연구와 고전 해석에 힘을 기울여 온 대가의 학문적 통찰과, 한문을 지금 여기의 언어로 옮기고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교육철학을 육성으로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발간사 _ 청명 선생님의 ‘한문 강좌’ 시리즈를 펴내며(성태용, 청명문화재단 이사장)
1부 한자의 기초
1장 _ 자체의 변천
갑골문(甲骨文) • 고금문(古金文) • 소전(小篆) • 예서(隷書) • 초서(草書) • 해서(楷書) • 행서(行書)
2장 _ 한자의 구성 원리 : 육서(六書)
지사(指事) • 상형(象形) • 형성(形聲) • 회의(會意) • 전주(轉注) • 가차(假借)
3장 _ 자획 및 부위의 명칭
자획(字畫)의 명칭 • 부위의 구성과 명칭
4장 _ 주요 부수 연습
머리 혈(頁) • 말 마(馬) • 뼈 골(骨) • 싸울 투(鬥) • 물고기 어(魚)
2부 문장의 구성
1장 _ 사(詞)
단음절사와 복음절사 • 단순사 • 복합사
2장 _ 구(句)의 구성
동위관계로 연합된 것 • 접속관계로 연합된 것 • 수식관계로 연합된 것 • 부속관계로 연합된 것
3장 _ 한문의 기본구조
술어성분 • 보조성분
3부 품사
1장 _ 명사
2장 _ 대사
3장 _ 동사
보통동사 • 특별동사 • 동사구
4장 _ 형용사
보통형용사 • 특별형용사
5장 _ 부사
특별부사 • 보통부사
6장 _ 개사
한정어로도 사용하고 보어로도 사용하는 개사 • 객어의 생략
7장 _ 연사
병렬연사 • 접속연사 • 관계연사 • 전절연사 • 선택연사 • 모두연사 • 연사구
8장 _ 어기사
제시와 정돈을 나타냄 • 종결과 긍정을 나타냄 • 결정적 사태를 나타냄 • 제한된 사태를 나타냄 • 의문을 나타냄 • 감탄을 나타냄 • 어기사의 연용(連用)
9장 의성사
10장 소품사
소품사 ‘소’(所)의 용법 • 소품사 ‘자’(者)의 용법 • 소품사 ‘연’(然)의 용법
4부 한자의 성어
•금슬(琴瑟) •안항(雁行) •구경(具慶), 영감(永感), 시하(侍下) •지란옥수(芝蘭玉樹) •모순(矛盾) •과기(瓜期) •옥백(玉帛) •청사(靑史), 한간(汗簡), 쇄청(殺靑) •옥쇄와전(玉碎瓦全) •계옥지수(桂玉之愁) •증진부어(甑塵釜魚) •과전납리(瓜田納履) •주랑반대(酒囊飯袋) •금심수구(錦心繡口), 투필성자(投筆成字), 토사성장(吐辭成章) •몽필생화(夢筆生花) •옥석구분(玉石俱焚) •앙급지어(殃及池魚) •일자천금(一字千金) •기호지세(騎虎之勢) •침류수석(枕流漱石) •호가호위(狐假虎威) •관포지교(管鮑之交) •조강지처(糟糠之妻) •금석지교(金石之交) •보거순치(輔車脣齒) •잠영세족(簪纓世族), 교목세신(喬木世臣) •관개상망(冠蓋相望) •금지옥엽(金枝玉葉) •한문고종(寒門孤蹤) •고추부서(孤雛腐鼠), 고루과문(孤陋寡聞) •육식자무모(肉食者無謀), 만식당육(晩食當肉) •동시낙양인(同是洛陽人), 병주고향(幷州故鄕) •망년지교(忘年之交) •경개여구(傾蓋如舊) •해후상봉(邂逅相逢), 교위(巧違) •마중지봉(麻中之蓬) •당동벌이(黨同伐異), 부화뇌동(附和雷同), 포장화심(包藏禍心), 의론기이(議論岐貳) •계륵(鷄肋) •계란유골(鷄卵有骨) •득농망촉(得隴望蜀), 계학지욕(谿壑之慾), 진지구무이(秦之求無已) •당랑거철(螳螂拒轍) •기각지세(掎角之勢), 견아상제(犬牙相制) •견원지간(犬猿之間), 일석이조(一石二鳥) •공성신퇴(功成身退), 급류용퇴(急流勇退) •수의야행(繡衣夜行) •함구인치(含垢忍恥) •송양지인(宋襄之仁) •와신상담(臥薪嘗膽)•오월동주(吳越同舟)•임갈굴정(臨渴掘井), 교토삼굴(狡免三窟) •부앙무괴(俯仰無愧), 불파천불외지(不怕天不畏地)•새옹실마(塞翁失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