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부산지역 노동운동사](/img_thumb2/9791192647517.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노동운동
· ISBN : 9791192647517
· 쪽수 : 462쪽
· 출판일 : 2024-11-29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머리말
I 유신 말기에서 87 노동자대투쟁 전까지
유신 말기 노동운동
자유주의 교회의 노동운동
부산 노동운동의 시작
실–반실 노선 논쟁과 파업투쟁
II 87 노동자대투쟁
87년 부산 지역 노동자대투쟁의 전개
87년 노동자대투쟁을 통한 노동조합 결성
87년 부산 지역 노동자대투쟁의 역사적 의의
88년과 89년의 부산 지역 노동운동
연대 조직의 결성
87년 이후 국가와 자본의 새로운 전략
III 전노협과 부산노련
전노협 건설 과정
전노협 건설과 탄압의 시작
90년대 초 부산 지역 민주노조 투쟁
부산노련의 과제와 다양한 탄압 방식
노동조합운동의 노선 논쟁
노동자 정당을 통한 노동자 정치세력화
전노협-부산/부양노련 해산으로 가는 길
IV 민주노총의 건설
민주노총의 성격과 의미
민주노총 부양지부 창립과 96년 임단투
부산양산 지역 노동법개악저지 총파업투쟁
맺음말
저자 후기
참고문헌
구술자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동안 헤게모니를 행사해 온 자유주의 노동운동에서 벗어나 더 급진적인 운동이 전면에 등장했다. 그러면서 정치운동과 대중운동의 결합을 적극적으로 모색했다. 무엇보다 구로동맹파업은 조직적인 차원에서 기존의 소그룹운동으로는 정치적으로 성장하는 노동 대중의 투쟁을 온전히 담아낼 수 없다는 인식을 심화시켰고, 그 결과 지역노동운동론을 더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성안교회 야학을 다니면서 대학생 강학들을 만났고, 자연스럽게 노동에 대해 배우게 되었는데, 1기로 들어갔다가 2년 뒤 3기에는 제가 강학이 되어 한문을 가르쳤습니다. 거기에서 노동자 정체성을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그때 태화고무에서 일을 열심히 하는 바람에 조장도 되고, 남들보다 좀 더 좋은 조건으로 일을 했는데, 우연히 구미에 있는 공장들의 여공들이 처한 상황에 대해 들어보니 거기가 너무 열악해서 태화고무를 퇴사하고 퇴직금 가지고 그곳으로 가서 노동운동을 하려 했습니다.
87년 노동자대투쟁은 부산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제조업 노동자가 중심을 이루었지만, 서비스업과 사무직, 전문기술직 노동자들도 본격적으로 노동운동 대열에 합류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부산의 경우, 87년 7월 이전에는 부산 지역에 병원 노조가 하나도 없었다. 그러다가 87년 8월 28일 부산 백병원 노조를 필두로, 88년 9월 말 1년 남짓한 기간에 25개의 노조가 새로 결성되어 최종적으로 23개가 활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