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실기
· ISBN : 9791192756677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5-04-11
책 소개
목차
저자소개 _ 6
고구려의 옻칠화를 되찾다 _ 8
책머리에 _ 10
⸻
1. 옻칠화漆畵란 무엇인가 _ 14
1) 옻칠화의 정의 _ 16
2) 옻칠화와 칠공예의 관계 _ 18
3) 옻칠 주요용어 _ 20
⸻
2. 옻칠화는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 _ 22
1) 한반도의 고대 옻칠화 _ 24
2) 한국의 현대 옻칠화 _ 38
3) 중국의 칠화 _ 42
4) 베트남의 칠화 _ 48
⸻
3. 옻漆이란 무엇인가 _ 54
1) 옻의 정의 _ 56
2) 옻나무 재배 및 채취 _ 60
3) 옻칠의 경화 및 정제 _ 64
4) 옻칠의 품질감별 _ 70
5) 옻 오름 _ 74
⸻
4. 옻칠화 창작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_ 76
1) 작업공간 준비 _ 78
2) 작업도구 준비 _ 82
3) 작품재료 준비 _ 90
4) 마음가짐 _ 110
⸻
5. 옻칠화는 어떻게 창작하는가 _ 114
1) 바탕이 되는 태판 제작: 질법質法 _ 116
2) 바르는 기법: 단색휴도單色髹塗 _ 128
- 연마휴도 / 후료휴도 / 박료휴도 / 조색휴도 / 목문조명
3) 긋는 기법: 묘회描繪 _ 136
- 칠식 / 채회 / 묘금 / 조금 / 금은채회
4) 붙이는 기법: 양감鑲嵌 _ 148
- 나전양감 / 금속양감 / 난각양감 / 한지양감
5) 파내는 기법: 각전刻塡 _ 162
- 창획 / 조전 / 각칠
6) 뿌리는 기법: 마회磨繪 _ 168
- 채칠마회 / 시회 / 연박분마회
7) 무늬를 만드는 기법: 변도變塗 _ 174
- 도구 / 자연물 / 입자 / 칠 / 희석제
8) 쌓는 기법: 퇴칠堆漆 _ 184
- 선퇴 / 면퇴 / 박퇴 / 고퇴 / 퇴금 / 조칠
9) 마무리하기(광내기) _ 190
10) 전시 및 보관하기 _ 192
⸻
6. 현대 옻칠화 작품은 얼마나 다양한가 _ 194
• 한국 현대 옻칠화 _ 196
⸻
참고자료 _ 218
책속에서
옻칠화에 대한 입문서가 발간된다니, 정말 반가운 일입니다. 책을 펼쳐보니 옻칠은 다양하게 쓰였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이 옻나무에서 채취한 수액으로 목공예품의 품위를 높여주는 기능에만 머물지 않음을 먼저 발견하게 됩니다. 옻칠은 항균이나 방습 효과, 그리고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목공예뿐만 아니라 금속공예나 도자기에도 사용했습니다. 또 창이나 화살촉, 화살대, 방패 등에 칠해서 단단함을 돋우는 데 사용해 왔답니다.
옻칠 그림이 고구려 후기 고분벽화 '통구오회분'과 '통구사신총', '강서대묘'와 '강서중묘'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은 나도 생각지 못한 기법입니다. 이들 고분벽화의 사신도나 화려한 장식무늬들은 화강암 석벽에 직접 채색한 벽화입니다. 나는 2006년 강서대묘와 중묘의 벽화실태조사에 참여해 자세히 살펴본 적이 있습니다. 그 화려한 채색과 웅혼한 형상미가 지금도 눈앞에 아른거릴 정도로 선연합니다. 단순히 접착제의 사용만 살폈지, 옻칠은 잘 몰랐습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 회화 중 유일무이한 옻칠 벽화라니 기가 막힙니다. 이런 옻칠화의 전통을 20년 전 중국에서 옻칠화를 공부한 이종헌 같은 작가들이 귀국하면서 발견한 것입니다. 낯설기만 했던 옻칠화가 벌써 이들 작가에 의해 우리 회화의 한 장르로 당당히 뿌리를 내렸다고 봅니다.
옻칠화는 우리 민족 고유의 예술이었지만, 그 명맥은 어느 사이에 끊겼습니다. 현대로 올수록 옻칠이 지닌 고유의 아름다움보다는 자개나 금박 은박 등의 배경이 되어버렸습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시연된 옻칠화의 아름다움과 그 전통이 처연할 뿐입니다.
『옻칠화 처음 보기』는 우리 민족 예술의 한 장르였지만, 그 맥이 완전히 끊어졌던 것을 회복하는 첫 이론서 격입니다. 또 이 책은 실전 경험과 이론을 겸비한, 사제 간인 이종헌 작가와 조해리 작가의 20년 경륜을 쏟은 결과물입니다. 옻칠화 전통을 되살림, 그것만으로도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진심으로 큰 박수를 보냅니다. 이를 공부한 우리 시대의 옻칠화가들이 대거 배출되기를 기대합니다. ● 이태호 / 미술사가, 명지대학교 초빙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