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옻칠화 처음 보기

옻칠화 처음 보기

이종헌, 조해리 (지은이)
헥사곤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옻칠화 처음 보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옻칠화 처음 보기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실기
· ISBN : 9788998145972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8-08-17

책 소개

옻칠화에 대한 미술 이론서. 옻칠화를 처음 감상하는 일반인과 옻칠화에 입문하는 작가를 대상으로 옻칠화의 개념과 역사, 기법을 상세하게 소개한다. 한국의 전통 옻칠화가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과 독창성을 재조명하고 현대 미술에서 하나의 독자적 회화 영역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펴냈다고 말한다.

목차

8 저자소개
10 고구려의 옻칠화를 되찾다
12 책머리에

17 1. 옻칠화(漆畵)란 무엇인가

18 옻칠화의 정의
20 옻칠화와 칠공예의 관계
22 옻칠 주요용어

25 2. 옻칠화는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

26 한반도의 고대 옻칠화
36 한국의 현대 옻칠화
40 중국의 칠화
46 베트남의 칠화

53 3. 옻(漆)이란 무엇인가

54 옻의 정의
58 옻나무 재배 및 채취
62 옻칠의 경화 및 정제
68 옻칠의 품질감별
72 옻오름

75 4. 옻칠화 창작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76 작업공간 준비
80 작업도구 준비
90 작품재료 준비
110 마음가짐

115 5. 옻칠화는 어떻게 창작하는가

116 바탕이 되는 태판 제작: 질법(質法)

126 바르는 기법: 단색휴도 (單色髹塗)
126 ① 바르고 갈아내기: 연마휴도 硏磨髹塗
128 ② 두껍게 바르고 끝내기: 후료휴도 厚料髹塗
129 ③ 두드리면서 바르기: 박료휴도 薄料髹塗
131 ④ 색을 넣어 바르기: 조색휴도 罩色髹塗
132 ⑤ 투명하게 바르기: 목문조명 木紋罩明

134 긋는 기법: 묘회(描繪)
135 ① 단순한 색으로 긋기: 칠식 漆飾
136 ② 다양한 색으로 긋기: 채회 彩繪
138 ③ 금으로 긋고 끝내기: 묘금 描金
140 ④ 금으로 긋고 칠을 덮기: 조금 罩金
143 ⑤ 금과 은으로 긋기: 금은채회 金銀彩繪

144 붙이는 기법: 양감(镶嵌)
144 ① 나전 붙이기: 나전양감 螺鈿镶嵌
148 ② 금속 붙이기: 금속양감 金屬镶嵌
154 ③ 알껍데기 붙이기: 난각양감 卵殼镶嵌
155 ④ 한지 붙이기: 한지양감 韓紙镶嵌

158 파내는 기법: 각전(刻塡)
158 ① 세밀하게 파내고 금은 넣기: 창획 戧劃
159 ② 파내고 색 넣기: 조전 雕塡
160 ③ 파내고 여러 색 넣기: 각칠 刻漆

164 뿌리는 기법: 마회(磨繪)
164 ① 건칠분 뿌리고 칠 덮기: 채칠마회 彩漆磨繪
165 ② 금은분, 나전분 뿌리고 칠 덮기: 시회 蒔繪
167 ③ 알루미늄박 뿌리기: 연박분마회 鋁箔粉磨繪

170 무늬를 만드는 기법: 변도(變塗)
171 ① 도구(구슬, 빗, 붓, 솜, 주걱)를 이용한 무늬
173 ② 자연물(종이, 삼베, 콩, 담뱃잎, 측백나무 잎)을 이용한 무늬
175 ③ 입자(난각가루, 나전가루, 건칠분)를 이용한 무늬
176 ④ 칠을 이용한 무늬: 주름법 및 흡상법
177 ⑤ 희석제를 이용한 무늬: 마블링

180 쌓는 기법: 퇴칠(堆漆)
180 ① 선으로 쌓기: 선퇴 線堆
181 ② 면으로 쌓기: 면퇴 面堆
181 ③ 얇게 쌓기: 박퇴 薄堆
182 ④ 높게 쌓기: 고퇴 高堆
183 ⑤ 반죽해서 붙여 쌓기: 퇴금 堆錦
183 ⑥ 겹쳐 쌓아서 파내기: 조칠 彫漆

186 마무리하기 (광내기):
188 전시 및 보관하기

191 6. 현대 옻칠화 작품은 얼마나 다양한가

192 한국 현대 옻칠화

215 7. 참고자료

220 8. 미주색인

저자소개

이종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1994년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중국 북경 중앙미술학원 벽화과 석사과정을 졸업하였으며, 중국 남경사범대학 미술사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03년부터 현재까지 총 9회의 개인전과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다수의 단체전을 통해 작품을 선보였다. 더불어 2004년부터 15회의 이상의 전시기획과 동국대, 대불대, 군산대, 숙명여대, 동덕여대, 울산대 회화과 강사 및 동방대학원대학교 옻칠조형전공 겸임교수 역임 등의 교육경력이 있다. 이종헌은 귀국 후 한국 옻칠화의 시작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2004년 '한국옻칠화회'를 설립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옻칠 관련 벽화 제작과 심사 및 자문위원도 맡았으며, 2010~2014년까지 북촌의 옻칠공방 '칠원漆苑'을 운영하였다. 2007년 『고구려발해학회』에 발표한 「고구려벽화와 휴식기법의 관계에 관한 연구」 등 옻칠과 관련한 논문과 글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사) 민족미술인협회 회장, 사) 한국옻칠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옻칠화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다. 현재는 강원도 삼척시 도계에서 작품활동과 예술인마을을 만들기 위해 지역 활동을 하고 있다. 중국 유학시절 당시 직접 보았던 고구려 고분벽화 오회분은 지금까지 이종헌이 옻칠화를 하는 큰 원동력이 되었다. 고분 안에 들어가서 벽화를 직접 접했을 때의 그 희열은 아직도 잊을 수 없다고 한다. 사진으로만 봤을 때 막연히 옻칠화 아닐까 하고 생각했던 그 짐작이 맞아떨어졌던 것이다. 직접 그 공간에 들어가니 느껴지는 옻칠 특유의 향과 눈으로 보이는 옻칠만의 은은한 광택이 그 증거였다. 그리고 중국에서 휴식록이라는 명대 옻칠공예 전문서적의 원본을 구해 밤새도록 어루만지면서 읽었던 기억도 그가 옻칠화를 하는 당위성을 만들어 주었다. 전통성과 당위성을 바탕으로 하는 저자의 옻칠화 연구가 현대 한국미술의 발전에 보탬이 되리라 확신한다.
펼치기
조해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9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학사과정을 졸업하고, Chelsea College of Art and Design (U.K.)에서 MA Fine Art 석사를 2010년에 졸업하였으며, 201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과 동양화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06년부터 2025년 현재까지 총 16회의 개인전과 한국, 영국, 중국, 일본, 프랑스 등에서 85회 이상의 단체전을 통해 작품을 발표하였다. 현재는 서울대학교와 서울예술고등학교에 출강하여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으며, 한국옻칠협회 이사, 한국화회 회원, 이원전 회원, 오픈갤러리 소속 작가 등으로 활발하게 작가 생활을 하고 있다. 조해리는 2006년 서울대학교 '표현기법 1' 수업을 통해 옻칠화를 처음 배우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옻칠화에 강한 흥미를 느끼고, 담당 강사였던 송완근 선생님과의 지속적인 왕래와 청강을 통해 옻칠 작업을 이어 나갔다. 2008년에는 자발적으로 동료 작가들과 함께 ≪옻놀이≫라는 제목의 옻칠회화 단체전을 서울대 문화관 전시실에서 개최하기도 하였다. 2012년부터는 본격적으로 한국옻칠협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현재까지 매년 전시를 해오고 있다. 옻칠연구소 '칠원' 운영 보조를 하기도 하고, 2013년에는 ≪한ㆍ중 현대옻칠회화 교류전≫을 위해 중국 소주와 서울을 오가기도 하였다. 오랫동안 먹과 한지만을 다뤄온 조해리에게 옻칠은 매우 놀라운 재료였다. 우수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한지이지만, 습기와 먼지 및 강한 햇빛에는 취약하다는 보관상의 약점이 있다. 그리고 강렬한 발색과 거침없는 발상의 서양회화 작품 사이에 은은한 동양화는 상대적으로 눈길을 끌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우수한 예술성을 가졌지만, 재료의 약함으로 저평가되는 고서화들이 안타깝다고 느낄 때, 옻칠화는 저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옻칠은 공예에서 시작해서 회화로 확대되어 왔다. 동양화만큼 유구한 전통성을 지닌 옻칠은 현대미술에서도 충분히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역사적으로 보나, 재료적 우수성과 활용도로 보나, 심미적으로 보나 무엇 하나 빠지는 점이 없다. 저자의 옻칠회화 연구가 현대 한국미술의 지평을 넓히고, 창의적인 조형 감각을 일깨우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펼치기

책속에서

옻칠화는 ‘옻칠을 창작의 주요한 재료와 기법으로 사용하는 회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옻칠의 특징을 이해하고 숙련의 과정을 거치면, 옻칠 회화를 통해 본인의 생각과 주제를
조형화할 수 있다. 미술 창작활동에서 재료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옻칠처럼 예민한
천연 재료는 다루기에는 까다롭지만 독창적인 표현 효과를 준다.
옻을 ‘미디엄(medium)’이라고 생각하면 물감으로 응용하기 쉽다. 모든 물감은 색을
내는 안료에 접착제 역할을 하는 미디엄을 섞은 것이다. 동양화의 경우는 아교, 수채화는
아라비아고무액 등을 각각 사용하는데, 옻칠화는 색 안료에 옻을 미디엄으로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접근하기 쉽다. 이렇게 생각하면 물감으로써 옻칠은 무궁무진하게 활용 가능한
재료가 된다.

① 바르고 갈아내기: 연마휴도硏磨?塗
연마휴도는 건성유를 혼합하지 않은 무유無油의 정제칠로 상칠하고 연마한 후 광내는
기법을 가리킨다. 보통 중칠을 하고 마지막으로 올리는 상칠과정에서 연마휴도 기법을 사
용하게 된다. 흑칠을 하여 광을 낸 것과 색칠을 휴도한 후 광을 내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