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AI기반 행정을 위한 입법방안 연구

AI기반 행정을 위한 입법방안 연구

(연구보고 22-01)

이유봉 (지은이)
한국법제연구원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AI기반 행정을 위한 입법방안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AI기반 행정을 위한 입법방안 연구 (연구보고 22-01)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91192875309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2-10-31

책 소개

이 연구는 AI 행정이 공공행정 영역에서 확대될 경우 AI 행정의 근거, 행위기준, 절차, 권리구제 방안 등 다양한 법적 쟁점을 발굴하고, 개별 행정법제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목차

요약문 5

Abstract 27

제1장 서 론 / 6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69
1. 연구 배경 69
2. 연구 목적 72
3. 기대 효과 72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73
1. 연구 내용 73
2. 연구 방법 74

제2장 국내․외 AI 행정 현황 / 77
제1절 AI 공공 활용 사례 79
1. 국외 공공 활용 79
2. 국내 공공 활용 88
제2절 언론 이슈 빅데이터 분석 90
1. 개요 90
2. SNA 분석 93
3. 토픽분석 102
제3절 시사점 104

제3장 AI 행정 관련 정책 및 법제 / 107
제1절 관련 정책 109
1. 인공지능(AI) 국가전략 109
2. 인공지능 법・제도・규제 정비 로드맵 119
3. 규제정비단 입법과제 126
4.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실현전략 128
제2절 법률상 계획 130
1.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130
2.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기본계획 131
3.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기본계획 132
4. 데이터산업 진흥 기본계획 133
5. 개인정보 보호 기본계획 134
제3절 관련 법제 136
1. 「행정기본법」 136
2. 「행정절차법」 138
3. 「지능정보화 기본법」 140
4. 「전자정부법」 146
5.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 151
6.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153
7.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 156
8. 「개인정보 보호법」 158
제4절 관련 가이드라인 161
1. 「사람이 중심이 되는 인공지능(AI) 윤리기준」 161
2. 「인공지능 개발과 활용에 관한 인권 가이드라인」 161
3. 「교육분야 인공지능 윤리원칙」 163
4.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165
5. 「금융분야 AI 가이드라인」 166
6. 「인공지능(AI) 의료기기 국제 공통 가이드라인인」 168
7. 「인공지능(AI) 공공성 확보를 위한 현장 가이드라인」 170
제5절 관련 법률안 171
1. 인공지능 기본법 관련 171
2. 인공지능 행정·안전 관련 법 176
3. 인공지능 산업·기술·연구 육성 관련 법 178
4. 인공지능 인재·교육 육성 관련 법 183

제4장 외국 AI 행정 정책 및 입법사례 / 187
제1절 서 론 189
1. 국가전략 189
2. 정책방향 190
3. 가이드라인 193
제2절 국가별 정책 및 입법 사례 194
1. 미국 194
2. EU 209
3. 영국 226
4. 캐나다 238
5. 독일 250
6. 일본 257
7. 호주 264
8. 중국 267
제3절 시사점 274

제5장 AI 행정 관련 입법의견조사 / 277
제1절 AI의 순기능과 역기능 279
1. 순기능 270
2. 역기능 282
제2절 AI행정에 대한 입법의견조사 개요 282
1. 조사 개요 282
2. 조사 내용 284
3. 결과 처리 289
제3절 AI행정에 대한 입법의견조사 결과 292
1. AI에 대한 일반 인식 292
2. 공공/행정 분야 AI 도입에 대한 인식 301
3. 공공/행정 분야 AI 도입 관련 과제 312
제4절 AI에 대한 국민인식 비교 : 한국과 캐나다 320
1. 인공지능에 관한 캐나다인의 인식 320
2. 한국와 캐나다의 국민의식 비교 321
제5절 시사점 328

제6장 AI 행정 관련 법적 쟁점 분석 / 331
제1절 AI행정 관련 기초적 논의 333
1. 디지털 민주주의 333
2. AI행정과 데이터 기반행정 334
3. AI행정의 법적 쟁점 335
제2절 AI 행정의 기본원칙 336
1. 인간중심주의 336
2. 투명성(설명가능성) 337
3. 책임성 339
4. 공정성 340
5. 입법안 341
제3절 AI의 관련 정의 및 유형 351
1. 정의 351
2. 유형 359
제4절 AI 행정 조직 · 작용 및 절차 364
1. 행정조직 364
2. 행정작용 366
3. 행정절차 370
제5절 AI 행정의 권리구제 384
1. 권리구제 절차 384
2. 손해 전보 389
제6절 기타 391
1. 지적재산권 391
2. 개인정보 392

제7장 AI 행정을 위한 입법 방안 제시 / 395
제1절 AI행정을 위한 입법 방안 397
1. 새로운 법 제정 397
2. 일반법 개정 399
3. 분야별 법 개정 401
제2절 AI행정 기본법 제안 406
1. 제정의 필요성 406
2. 다른 법과의 관계 406
3. 체계 및 주요 내용 409

참고문헌 413

부록 별책
부록1. 인공지능 인용 현행 법령 별책
부록2. 인공지능 관련 법안 별책
부록3. AI 행정 관련 언론텍스트 분석 별책
부록4. AI 행정 관련 국민 입법의견조사 별책
부록5. AI 행정 관련 법적 쟁점별 관련 EU입법 별책
부록6. EU 행정에서 사용하는 알고리즘 의사결정 시스템 영향평가에 관한 표준규칙 별책

저자소개

이유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다양한 주제의 입법현안에 대하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입법대안을 제시하는 데이터 기반 입법평가 연구를 하고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데이터 기반 입법연구방법론 외에도 개별 법영역의 환경법, 재생에너지법, 공직윤리?반부패법이 있으며, 다양한 입법사례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법안을 제안하는 연구를 시도해 왔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공법과 사법의 갈등에 대한 분석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환경법을 강의하면서 학제 간 연구방법론에도 관심을 기울여 왔다. 최근의 주요 연구로는 “데이터기반 입법평가연구방법론”(한국법제연구원, 2019)과 “미래예견적 국정관리지원: 입법 네트워크 부문 모델링 연구”(에너지법 시범 연구)(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