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296633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3-09-0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비즈니스 디지털 레볼루션은 IT, 경영, 혁신의 융합에서 출발한다
1장 비즈니스 디지털 레볼루션이 시작됐다
1. 전사업에 신기술을 적용하라
2. 정보화에서 지능화 사회로 변화한다
2장 인공지능이 세상을 바꾼다
1. 검색이 아니라 질문이 중요해졌다
2. 플러그인 서비스 시대가 온다
3. 인공지능과 함께 일하게 된다
4. 각국의 인공지능 개발 전쟁이 치열하다
5. 한국형 인공지능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6. 인공지능 윤리를 고민해야 한다
3장 빅데이터 수집과 활용이 경쟁력이다
1. 데이터 문해력을 키우자
2. 숫자 데이터만 데이터가 아니다
3. 데이터 수집뿐 아니라 활용이 중요하다
4. 빅데이터 활용 방법은 무궁무진하다
4장 기술 혁신이 산업을 재편한다
1. 지금이 산업 재편의 변곡점이다
2. 디지털 방식으로 과감하게 전환하자
3. IT 기술이 스마트 라이프를 이끈다
4. 새로운 비즈니스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5. 비즈니스 모델을 계속 수정하고 보완하라
5장 누가 미래의 지배자가 될 것인가
1. IT 기반 기술을 갖고 있어야 한다
2. 원천기술 없이 IT 강국이 될 수 없다
3. 왜 나트륨 전지 개발 전쟁이 치열한가
4. 부동산 산업은 프롭테크로 어떻게 변화하는가
5. 바이오메트릭스는 IT 보안을 어떻게 바꾸는가
6. 가상세계가 현실세계만큼 중요해진다
7. 어떻게 로봇을 활용하고 공존할 것인가
8. 메타버스는 3차원 플랫폼이 된다
9. 디지털 코인이 화폐를 대체할 수 있다
10.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시대가 온다
11. NFT 시장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6장 앞으로 10년이 미래를 결정한다
1. 미래를 예측하고 준비해야 한다
2. 경영 환경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가치 주도 경영 | 데이터 주도 경영 | 스마트 주도 경영
7장 플랫폼이 세상을 지배한다
1. 플랫폼 비즈니스의 기회를 찾자
2. 플랫폼이 되지 않으면 성장할 수 없다
3. 플랫폼에서 산업 간 경계가 무너진다
4. 플랫폼 사업에 영원한 1등은 없다
5. 콘텐츠는 플랫폼을 강력하게 만든다
8장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1. 4M 전략으로 생존을 모색하라
2. 4C와 4M 마케팅을 실전에 적용해보자
3. M세대와 Z세대를 다르게 공략해보자
4. 마케팅의 목적과 방법이 바뀌고 있다
5. 디지털 마케팅을 잘 활용하라
6. 퍼포먼스 마케팅은 프로그래밍 방식 광고다
9장 모든 것을 디지털로 전환하자
1. 더 과감하게 더 빨리 디지털 전환하라
2. 스마트팩토리는 산업 지형을 변화시킨다
10장 디지털 전환 수준을 측정하자
1. 기업 DNA를 디지털로 바꿔라
2. 디지털 시대에 디지털 전환은 필수다
3. 디지털 전환으로 성장 동력을 창출하라
4. 디지털 전환 수준 자가 진단을 해보자
11장 기업 시스템을 디지털로 고도화하자
1. 기업 경쟁력은 디지털 시스템에서 나온다
2. 시스템 경영의 기본은 전사적 자원관리다
3. 시스템 경영의 최종 목표는 공급망 관리다
4. 반복적 사무 업무는 로봇 처리 자동화하라
5. 근무환경이 하이브리드 워크로 바뀐다
에필로그 이제 비즈니스 디지털 레볼루션을 실천해 보자!
미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장 비즈니스 디지털 레볼루션이 시작됐다
전통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전환이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면 이제는 사업 그 자체에 신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새롭고 경쟁력 있는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비즈니스 디지털 레볼루션BDR으로 명명한다.
2장 인공지능이 세상을 바꾼다
챗GPT에게 질문을 잘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질문하려는 것을 구체적인 문장으로 작성하는 역량을 키우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챗GPT가 미국에서 만든 생성형이다 보니 언어가 영어 중심으로 되어 있고, 특히 영어로 된 전 세계 데이터를 학습했기 때문에 구글 번역기와 챗GPT를 번갈아 가며 활용하는 것이다.
3장 빅데이터 수집과 활용이 경쟁력이다
데이터를 읽고, 데이터로 일하고, 데이터로 의사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 소통 능력data literacy을 ‘데이터 문해력’이라고 한다. 데이터 문해력이 없다면 ‘데이터 문맹’이다. 기업 의사결정자의 데이터 문맹률은 약 70%에 달한다는 조사가 있다.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겠다는 의지는 있지만 데이터를 누가, 언제,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서는 고민의 수준이 너무 낮다. 매일 마주치는 각종 통계에는 어떤 오류가 있을까? 통계 오류와 착각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표본 모집단이 작거나 편향되거나 교란되어 있음으로써 발생하는 허위 상관 오류, 과적합이나 과소적합으로 표본과 실제에서 발생하는 오류,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측정 오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