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청소년활동론

청소년활동론

(지역사회 청소년운동 관점의)

정건희 (지은이)
어가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000원 -10% 1100원 18,700원 >

책 이미지

청소년활동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청소년활동론 (지역사회 청소년운동 관점의)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93005057
· 쪽수 : 430쪽
· 출판일 : 2023-03-08

목차

PART 1 청소년활동의 개념 및 지향

Chapter 01 청소년관
1. 청소년의 정의 16
1) 청소년기의 등장 16
2) 청소년 호칭의 의미 17
2. 청소년의 관점 22
1) 심리이론과 법리에서의 청소년관 22
2) 역사·어원적 청소년관 25
3) 현대사회 통제와 상업화된 청소년관 26
4) 성인중심주의와 시민청소년관 29
5) 주류 청소년관과 시민청소년관의 충돌 30
3. 요약 및 제언

Chapter 02 청소년 인권 관점의 활동 36
1. 인권의 의미와 담론
1) 인권의 의미: 36
2) 현대 인권의 담론 | 39
2. 청소년 인권의 개념 및 특성 40
1) 청소년 인권의 개념 및 의의 40
2) 청소년 인권의 특징 42
3) 청소년 인권의 국제규범 발전 과정 44
3. 청소년참여의 개념 및 단계·유형 46
1) 청소년참여 개념의 다양한 접근 46
2) 청소년참여 개념의 핵심 요소 49
3) 청소년 시민참여와 시민적 관여 51
4) 청소년참여 수준의 단계 및 유형 53
4. 청소년 인권활동의 동향 56
1) 시기별 청소년 인권활동의 특성 56
2) 청소년정책 변화과정에서의 초기 인권 동향 57
3) 사이버 공간을 통한 청소년 인권운동의 확산 60
4) 두발자율화운동의 저항적 참여 62
5) 18세 참정권활동 | 65
6) 청소년 인권활동의 정치사회참여로의 확산 68
7) 청소년 주도 시민참여의 등장 70
8) 청소년 인권운동, 교육정책으로의 확대 72
9) 청소년인권 지역사회 참여로 확대 74
5. 인권 중심의 청소년활동 제언 77

Chapter 03 청소년활동의 개념 및 방향
1. 청소년활동의 법적·포괄적 개념 81
1) 청소년활동의 법적 개념 81
2) 청소년활동의 다양한 개념들 | 82
2. 청소년활동 개념의 특수성 85
1) 청소년활동의 특수성 85
2) 청소년체험활동의 교육에서의 의미 87
3. 청소년활동과 역량의 관계 88
1) 청소년역량의 의미 88
2) 청소년역량과 활동의 관계 91
4. 청소년활동의 운동으로서의 관점 93
1) 청소년운동의 개념 93
2) 청소년운동의 시기 구분 99
3) 청소년운동으로서의 활동 방향 100
5. 요약 및 소결: Being의 존재로서의 청소년활동 106

Chapter 04 코로나19 이후 청소년활동 현장의 변화
1. 코로나19를 만난 청소년활동 현장 108
2. 코로나19 이후 청소년활동 현장의 대응 110
3. 코로나19 환경 변화에 따른 청소년 실태 및 부처의 정책 113
4. 코로나19 상황에서 대응 문제 115
5. 제언 118

PART 2 청소년활동 기관 및 조직

Chapter 05 청소년단체
1. 청소년단체의 역사 128
2. 청소년단체의 개념 및 문제 131
1) 청소년단체의 개념 131
2)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의 설립 132
3) 청소년단체활동의 문제 133
3. 청소년단체와 관련 시설의 관계 135
4.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성 및 학교 연계 137
1)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성 137
2) 청소년단체와 학교 연계 139
5. 학교와 청소년단체의 참여활동 142
6. 제언 143

Chapter 06 청소년활동시설
1. 청소년활동시설의 개념 149
1) 청소년수련시설 149
2) 청소년이용시설 151
3) 기타 청소년활동시설 152
2. 청소년활동시설의 운영 유형 154
1) 직접운영 방식 155
2) 민간위탁(contracting out) 운영 방식 156
3) 공사·공단 위탁운영 방식 160
4) 청소년재단법인 설립·운영 방식 162
3. 청소년활동시설의 권리기반 접근과 PANEL 원칙 165
1) 권리기반 접근(right based approach) 165
2) PANEL 원칙 166
4. 제언 168

Chapter 07 청소년 자치활동 기구
1. 청소년자치활동의 개념 및 의의 174
2. 청소년자치활동의 영역 176
1) 학생자치활동 177
2) 청소년참여기구 181
3) 청소년의회 186
4) 청소년동아리 189
5)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자치조직 195

Chapter 08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기획과 평가
1.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및 기획의 개념 198
1)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개념 198
2)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기획 200
2.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평가 203
1)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과 원리 203
2) 청소년 프로그램 평가의 요소 및 접근 방법 205
3) 청소년 프로그램 평가의 접근 방법 209
3.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역량평가 방법론 211
1) 청소년활동 핵심역량 및 역량 도출 방법 211
2) 프로그램별 역량 정의 213
3) 설계 단계: 프로그램 체계 계획 218
4) 개발 단계: 프로그램 및 내용 개발 220
5)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단계 222

PART 3 지역사회 및 정책 기반 청소년활동

Chapter 09 지역사회 청소년활동 네트워크
1. 청소년활동 네트워크의 이유 232
1) 지역 네트워크의 필요성 및 중요성 232
2) 청소년활동 지역 네트워크의 실제232
2. 지역사회와 청소년 235
3. 지역사회 청소년 네트워트의 개념과 영역 237
1) 네트워크의 개념과 관점 237
2)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개념 241
4. 청소년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구조 242
5. 제언 244

Chapter 10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1. 청소년의 환경과 행복지표 250
1) 청소년의 행복도 250
2) 청소년 행복지표 252
2. 청소년 친화적인 지역 공동체 운영 사례 257
1)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257
2) 지역사회 마을공동체 운영 사례 261
3. 시사점 및 제언 269

Chapter 11 지역사회 청소년진로활동
1. 청소년진로활동의 문제와 관련된 개념 273
1) 청소년진로활동의 문제 273
2) 청소년진로와 관련된 개념 275
2. 청소년진로활동의 비형식교육 특성 및 장(場)으로서의 지역사회 283
1) 청소년활동의 진로활동적 접근 283
2) 청소년진로활동의 비형식교육적 접근 284
3) 청소년진로활동의 장(場)으로서의 지역사회 288
3. 제언 291

Chapter 12 정책 기반 청소년활동
1. 청소년프로그램 공모사업 297
2. 청소년문화활동: 동아리활동과 어울림마당 298
1) 청소년동아리활동 지원사업 299
2) 청소년어울림마당 299
3. 청소년수련활동 인증제 및 신고제 300
1)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 300
2) 청소년수련활동 신고제도 305
4.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와 자기도전포상제 308
1)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308
2)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310
5. 청소년활동진흥센터 312
6. 청소년자원봉사활동 313
1)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도입 배경 및 문제 313
2)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추진 현황 316
7. 청소년 교류활동 318
1) 청소년 국제교류 318
2) 청소년 해외체험 프로그램| 320
3) 2023 새만금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개최 지원 320

PART 4 청소년활동가와 지역활동 사례

Chapter 13 청소년지도자와 활동가의 관점 및 역량
1. 청소년지도자의 개념 및 유형 326
1) 청소년지도자의 개념326
2) 청소년지도사의 개념 및 자격 328
2. 청소년지도사의 역할 및 직무 330
1) 청소년지도사의 역할 330
2) 청소년지도사의 직무 332
3. 청소년활동가의 정의 339
4. 청소년활동가의 역량 342
1) 역량의 개념 342
2) 사회적 가치실현과 운동성 344
3) 역량의 구성 347
5. 청소년활동가의 문제 352
6. 제언 354

Chapter 14 청소년친화마을 활동가 육성
1. 마을 만들기 운동의 개념과 청소년 358
2. 청소년친화마을 만들기 사례 361
1) 지자체의 아동청소년친화마을 이유 361
2) 청소년활동기관의 청소년친화마을 만들기 사례 363
3. 청소년행복마을 만들기 절차 및 주체별 역할 366
1) 추진계획 수립 절차 366
2) 단계별 추진전략 368
3) 청소년친화마을을 위한 각 주체별 역할 369
2) 주체별 전문 인력 양성방안 374

Chapter 15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활동 사례
1. 활동 취지 376
2. 활동의 배경 380
3. 주요 조직 활동 383
1) 청소년자치조직 구성 383
2) 청소년위원회 등 지원조직 활동 385
4.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주요 활동 387
5. 청소년정책 참여를 통한 지역사회변화활동 390
6. 국제 청소년사회개발자(S.D Maker) 활동 394
7. 제언 397

참고문헌 403

저자소개

정건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소년의 삶을 중심으로 참여와 자치, 마을공동체에 관심이 많다. YMCA에서 청소년활동을 시작했고, 공공 청소년 활동시설을 운영하다가 현재는 ‘(사)들꽃청소년세상’의 공동 대표로서 ‘청소년자치공간 달그락달그락’과 ‘길위의청년 학교’를기획운영중이다. ‘청소년자치연구소’는 청소년활동을 하면서 만든민간연구소다. 현장에서 청소년활동을 하면서 관련 연구와 강연을 꾸준히 하고 있다. 《청소년 자 치 이야기》와 지역사회 운동 관점의 《청소년활동론》을 썼고, 연구자들과 함께 《청소년지도방법론》 등다수의 이론서를 펴냈다.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위원과 학교밖청소년지 원위원, 국가인권위원회 아동인권전문위원을 지냈으며, 중앙대학교, 전북대학교, 방송통신대학교등에서강의했고현재는 한일장신대학교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중앙대학교대학원에서‘청소년학’을전공해서박사학위를받았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075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