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좋은 정책의 조건

좋은 정책의 조건

(현장에서 찾은 정책 성공의 열두 가지 해법)

배관표, 김기만, 김동민, 김명진, 박종석, 박후근, 박후근, 배지영, 백석원, 양준모 (지은이)
윤성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200원 -5% 0원
8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좋은 정책의 조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좋은 정책의 조건 (현장에서 찾은 정책 성공의 열두 가지 해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3058732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5-04-30

책 소개

열두 개의 사례를 통해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성공한 정책 혹은 실패한 정책에 대해 설명하는 책이다. 실제로 정책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목차

제1장 정치적 의제는 조심하자: 교통규제정책 사례
제2장 문제를 다르게 정의하라: 교권보호정책 사례
제3장 다양한 대안을 인정하라: 중화학공업정책 사례
제4장 결정은 절차가 중요하다: SSM규제정책 사례
제5장 집행은 재량이 중요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사례
제6장 정책도구는 다양해야 한다: 한지진흥정책 사례
제7장 집행은 협력이 중요하다: 해양재난구조대 사례
제8장 정책을 수용하게 만들라: 연구소기업정책 사례
제9장 정책은 현장에서 보완하라: 육아휴직정책 사례
제10장 평가는 목표 설정이 중요하다: 연구업적평가 사례
제11장 정책 종결이 정책의 시작이다: 공공주택정책 사례
제12장 경로의존성 극복을 기대한다: 병역 제도 사례

저자소개

배관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삼성전자 무선사업부(現 MX 사업부)에서 상품기획자 등으로 일했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공공기관 통제의 선행 요인과 성과 영향’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국회입법조사처 사회문화실에서 입법조사관으로 일했다. 현재는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부교수로 근무하며, 성과관리, 규제정책, 문화정책 등을 연구·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Antecedents of Governmental Control over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South Korea’s Annual State Inspection, Double-Edged Sword”,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 정책의 형성과정 연구”가 있으며, 역서로는 달(Robert A. Dahl)의 『경제민주주의에 관하여』가 있다(kwanpyo@cnu.ac.kr).
펼치기
박후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행정학과(학사)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석사)을 거쳐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에서 ‘전통한지 진흥정책 연구 : 정책도구 이론의 적용’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행정안전부 상훈담당관, 경상북도 인재개발원장 등 총 32년간 공무원으로 재직했고 현재는 경북 상주 소재 한국한복진흥원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한국정책학회, 문화관광체육정책연구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복과 한지를 비롯한 전통문화정책 연구자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한국의 전통한지,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었던 한지는 한지가 아니다』(2019년, 공저)와 『세계 최고의 종이 한지, 정책이 필요하다』(2023년)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전통한지정책의 현황과 문제분석: 입법 방안 도출을 위해”(2022,공저)가 있다(phg1@naver.com).
펼치기
김기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세무대학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하고 한남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에서 “규제개혁정책에 관한 연구: 규제의 적정성 관점”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까지 40여년간 공직생활을 했으며 관세청,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국민대통합위원회에서 근무했고, 사단법인 좋은규제시민포럼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국무조정실에서 규제개혁을 직접 담당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 규제개혁정책의 역사와 전망”, “도로속도 제한의 규제효과 분석”, “자체평가가 정부업무평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등이 있다(kcsgkm@gmail.com).
펼치기
김동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메이지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충남대학교에서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병력 대체 효과 및 정책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국방부에서 근무하며 국방 및 안보정책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A study of the replacement rate of military job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scie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2024)”, “대한민국 병역제도의 경로의존성에 관한 고찰(2022)” 등이 있으며, 미래 다가올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국방 및 안보정책에 주요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dongmin.david.kim@gmail.com).
펼치기
김명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산대학교 수학과에서 학석사 연계과정 학위를 취득한 후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한국연구재단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과학기술 관련 ‘R&D 정책’, ‘인력양성정책’이며, 최근 연구로는 “과학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지원정책 영향(2023)”, “대학원 재정지원 사업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2022)” 등이 있다(mjkim@nrf.re.kr).
펼치기
박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와 유럽지역학 연계전공 학사학위과정을 졸업했고, 같은 대학교의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과정을 중퇴했으며,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는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의 박사학위과정을 수료하고 나서 같은 대학교의 아시아여론연구소에서 위촉연구원으서 활동 중이다. 기존 발표 학술연구 논문들은 “1970년대 한국 중화학공업화 정책의 형성과정 연구”, “OECD 회원국들의 문화행정체계 비교”, “한국 공공임대주택 공급 유형들의 분절화 연구: 노태우 행정부부터 박근혜 행정부까지”이고, 세부 주요 관심 연구 영역은 비교정책과 비교행정·정책사와 행정사·주거복지정책들 위주의 사회복지정책들이다(historicaldynamics@naver.com).
펼치기
박후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에서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에 대한 인식 차이와 성과 영향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근무하며 과학기술 기반의 기술사업화 정책을 수립하고, 다양한 기술사업화 지원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The Road to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Park』(2021, 공저),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2023),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에 대한 정책공급자와 수요자의 인식 차이 분석”(2021)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기술혁신, 혁신생태계, 기술창업 등이다(hgpark01@innopolis.or.kr).
펼치기
배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에서 행정학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책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현재 해양경찰교육원에서 교수요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관심 분야는 재난대응 분야로 기후 변화와 사회의 복잡화로 대형화되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부와 사회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jiyoung0610@gmail.com).
펼치기
백석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피아니스트이자 정책연구자로,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에서 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아시아여론연구소 부소장 및 국제교류문화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SCOPUS급 저널 『AJPOR』 발간에 참여하며, 공공정책 및 여론 연구의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인터넷게임의 강제적 셧다운제 폐지 정책 결정과정 연구’(규제연구, 2023), ‘내재적 일자리 질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예술·체육계를 중심으로’(문화정책논총, 2022), 등이 있다. 또한, 문화언론사 ㈜컬처타임즈의 기획이사로 활동하며, 정책 연구와 언론 활동을 결합해 공공정책 및 문화예술정책의 대중적 접근성을 확대하는 데 힘쓰고 있다(sukwon0301@gmail.com).
펼치기
양준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에서 정책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통계정보원에서 재직하고 있다. 최근 연구로 “특성화고등학교 진로상담의 영향에 관한 연구”, “육아휴직 급여 인상이 남성 육아휴직 사용에 미치는 영향: 2017년 9월 개정을 중심으로”, “개인 성과급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내재적·외재적 동기 수준에 따른 집단 비교”가 있다(junmo3596@naver.com).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