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91193305195
· 쪽수 : 132쪽
· 출판일 : 2025-07-01
책 소개
목차
제1장 사도 전통으로 재구성한 교리학 — 011
1. 들어가는 말
2. 왜 사도 전통인가?
3. 사도 전통으로 재구성한 교리의 특징
4. 맺음말
제2장 사도 전통과 성서 — 020
1. 들어가는 말
2. 성서론 논쟁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성서
4. 맺음말
제3장 아버지 하나님 — 030
1. 들어가는 말
2. 신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신론
4. 맺음말
제4장 기독론: 신인(神人)이신 예수 — 039
1. 들어가는 말
2. 기독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기독론
4. 맺음말
제5장 성령 하나님 — 048
1. 들어가는 말
2. 성령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성령론
4. 맺음말
제6장 신앙론: 신앙과 행위의 관계 — 058
1. 들어가는 말
2. 신앙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신앙론
4. 맺음말
제7장 교회론: 에클레시아 교회론 — 068
1. 들어가는 말
2. 교회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교회론
4. 맺음말
제8장 인간론: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인간 — 078
1. 들어가는 말
2. 인간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인간론 …
4. 맺음말
제9장 구원론(1): 구원이란 무엇인가 — 088
1. 들어가는 말
2. 구원에 관한 쟁점들
3. 구원이란 무엇인가?
4. 맺음말
제10장 구원론(2):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믿음 — 098
1. 들어가는 말
2. 구원의 수단에 대한 쟁점들
3.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믿음
4. 맺음말
제11장 종말론: 예수 중심의 세계관 — 107
1. 들어가는 말
2. 종말론에 대한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종말론 …
4. 맺음말
제12장 예배론: 예수를 재현하는 축제(祝祭) — 115
1. 들어가는 말
2. 예배론에 대한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예배론 …
4. 맺음말
제13장 삼위일체론: “왜 하나님이 인간이 되셨나?”… — 124
1. 들어가는 말
2. 삼위일체론에 대한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삼위일체론 …
4. 맺음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도 전통으로 성서를 바라볼 때의 초점은 예수 그리스도다. 사도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성서를 이해했다. 특히 첫 사람 아담과 둘째 사람 예수 그리스도를 비교하면서 성서 전체에 대한 통전적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도 전통으로 재구성한 성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역에 대한 예언이며 실천임을 보증하는 도구로써 온전한 하나님의 말씀이다.
성령을 단순하게 능력이나 힘으로 인식하는 것은 매우 슬픈 일이다. 특히, 한국교회의 목회 현장에서 매우 빈번하게 발견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성령을 성부, 성자의 부속물 혹은 하나의 힘으로 인식하는 경향이다. 물론, 교리적 고백은 인격적인 성령과 함께 삼위일체로서의 성령을 고백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목회 현장에서 나타난 사실은 하나의 힘으로 인식하는 경향들을 보인다. 이것은 사도 전통이 아니다. 사도 전통에서의 성령은 철저하게 목회 현장에서 증거되는 실증적인 하나님이며 동시에 인격적인 영이다. 그리고 치유와 생명의 영이다.
사도 전통에서 성령론은 이론적인 탐구 대상이 아니라 삶과 목회 현장에서 언제나 경험할 수 있는 아버지와 아들의 영이다. 아마도 이것이 성령론에 관한 이론적 연구가 빈약하게 된 동기라고 생각한다.
사도 전통으로 성령론을 재구성할 때 중요한 것은 이론적으로 논리를 전개하기보다 삶의 현장에서 경험하는 것이 사도 전통으로 재구성한 성령론의 참된 의미다.
영국의 시인 존 밀턴의 장편 서사시 실낙원(Paradise Lost)과 복낙원(Paradise Regained)에 나타난 것처럼 잃어버린 낙원을 회복하고자 하는 구원은 그리스도인의 영원한 지향점이다. 그러나 사도들에게 있어서 복낙원은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개념으로 승화되어 나타난다. 이렇듯 사도들에게 있어서 구원 개념은 죄의 결과로 인한 세 가지 갈등이 치유되는 것으로 이해되며 다차원적 구조를 지니게 된다.
생명과의 갈등이 치유된 상태로써의 영생과 사람과의 갈등이 치유된 상태로써의 서로 사랑 그리고 자연과의 갈등이 치유된 상태로써의 자연과의 조화라는 다차원적 구조가 사도들이 제시한 구원 개념이다. 물론, 이 개념은 현재적이면서 동시에 미래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