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93396018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4-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감사의 글
들어가는 글
제1부 과학
1. 과학 이전의 기술
2. 과학의 발흥
3. 과학적 세계관
4. 핀홀을 통해
제2부 역사
1. 역사의 시작
2. 인류의 출현
3. 과거의 문제
4. 역사 ‘판독’
제3부 두뇌와 마음
1. 마음과 심장
2. 인지 두뇌
3. 신경과학과 의식
4. 마음과 자아
결론: 올림퍼스산에서 내려다본 풍경
부록Ⅰ: 그림
부록Ⅱ: 길가메시 서사시
부록Ⅲ: 함무라비 법전
주석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질량 사이에 있는 공간을 가로질러 힘을 전달하는 것은 무엇인가? 뉴턴은 그게 무엇인지 가정하기를 거부했다. 저서 『프린키피아』에 뉴턴은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중력 현상이 왜 이런 특성을 지니는지 그 이유를 아직 발견하지 못했고, 여기서 그 가설을 만들지 않으려 한다.’ 원문은 ‘hypotheses non fingo(나는 가설을 만들지 않는다)’이다. 하지만 그는 이 문제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 「2. 과학의 발흥」 중에서
‘다세계 이론(Many Worlds Theory)’에 따르면 한 세계에서 한 가능성이 결정되는 순간, 다른 세계가 새로 갈라져 나가면서 다른 모든 가능성이 현실화된다. 각각의 새로운 세계는 가능성에 따라 또다시 새로운 실제 세계들로 갈라진다. 갈라진 후에는 어떤 새로운 세계끼리도 서로 소통하지 못한다. ‘정합적 역사 이론(Consistent Histories Theory)’ 또는 ‘결어긋남 역사(Decoherent Histories)’는 본질적으로한 양자 사건의 환경이 관찰자로 작용해서, 그에 따른 모든 사건이 고전적으로 현실화된 상태라 가정하게 됨을 주장한다. 코펜하겐 해석 자체는 도구주의(instrumentalism)의 일종이다. ‘이론이 현실을 묘사하지는 않지만, 어쨌든 작동하므로 그냥 받아들이고 사용하자’라는 뜻이다. 파인먼과 다른 여러 물리학자들의 격언처럼, ‘닥치고 계산하라!’는 투다.
- 「3. 과학적 세계관」 중에서
카터는 인류 원리의 두 가지 버전을 정의했다. 첫째, ‘약한’ 버전은 우주 역사에서 인류의 존재를 허락하는 한 시점이자 공간인 ‘지금 여기’를 정의하는 몇 가지 자연의 상수들 사이의 두드러진 관계를 설명한다. 둘째, ‘강한’ 버전은 우리 같은 탄소 기반 생명체에 관한 사실들로부터 우주의 상수가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추론할 수 있거나, 아니면 우리가 수많은 우주 가운데 상수들이 지금의 관측 값을 가지는 하나의 우주를 차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4. 핀홀을 통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