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3584903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4-12-0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4년 차 직장인의 자산 배분 투자 입문 및 성공기 4
프롤로그 모든 세대를 위한 재테크 해답 11
Part 1 나의 투자 10년
시작은 예·적금과 펀드 23
2천만 원으로 주식투자를 시작하다 28
배당주 투자에 정착하다 32
연금계좌에 ‘저축’을 시작하다 36
▶ 72의 법칙이 자산 배분 투자자에게 시사하는 것 39
Part 2 자산 배분 투자 전 갖춰야 할 마인드 셋
포트폴리오 이론 45
자산 배분 투자의 6 법칙 46
결국은 ‘나’를 위한 것 50
자산 배분 투자 최적의 나이 54
우스운 금액 30억? 57
▶ 세액공제 한도 이상의 금액을 연금 계좌에 넣고자 한다면? 62
Part 3 세제 혜택 계좌로 안전하게 투자하기
계좌, 이제 더 이상 헷갈리지 말자 67
연금저축은 무조건 연금저축펀드 71
연금저축 vs IRP 75
연금저축 vs ISA 77
어떤 계좌에 얼마씩 납입할 것인가? 80
▶ DB가 유리할까? DC가 유리할까? 82
Part 4 내 자산을 늘리는 자산 배분의 원칙
포트폴리오 구성의 기본 단위: 자산(군) 89
근본 조합, 채권과 주식 95
전통적 자산 배분 100
자산 배분의 5대 원칙 106
리밸런싱이란? 119
▶ 계좌가 파란색인데도 리밸런싱을 해야 하나요? 124
Part 5 상장지수펀드(ETF) 투자 전략
ETF는 펀드의 손자뻘 129
거래 대상 ETF 알기 139
자산 배분 투자자에게 ETF가 축복인 이유 153
자산 배분 투자자에게 꼭 필요한 ETF의 조건 154
ETF의 비교 160
▶ 워런 버핏과 헤지펀드의 10년에 걸친 수익률 내기 171
Part 6 현실적으로 얼마를 손에 쥘 수 있을까
내 자산을 바라보는 시선 177
연금이 필요한 이유 179
돈을 납입하고 불려 나갈 때 180
돈을 연금으로 인출할 때 183
에필로그 초저금리 시대의 단상 188
부록 투자 자문 서비스를 통한 자산 배분 간접투자 19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제가 막 입사했던 2011년을 돌아보면, 3년 만기 적금의 이자율은 5% 중반대였습니다. 당시에는 만족스럽지 않은 이자율이었습니다. 거기에 3년을 유지할 수 있을까 하는 노파심 탓에 주로 1년짜리 적금만 했습니다. 물론 지금 와서는 매우 후회합니다. 시간이 더 흘러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2022년에는 초저금리를 경험했습니다. 0%에 가깝다는 의미로 ‘제로금리’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습니다. 유럽이나 일본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마이너스금리’가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이자율이 매년 점차 내려가는 국면에서 저축을 하다 보니 이자가 많이 붙지는 않았지만, 저도 처음에는 적금으로 종잣돈(시드 머니)을 모았습니다.
_ 시작은 예·적금과 펀드
자산 배분 투자는 이미 이론과 실증이 충분히 있고, 미국에서는 학문의 한 분야로 자리 잡기까지 했습니다. 그러니 의심하지 않고 내가 고른 어떤 전략을 꾸준히 따라만 한다면, 결국에는 일정 정도의 성과를 충분히 거둘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그런데 제가 자산 배분 투자를 다른 누군가에게 권한다면, 가장 먼저 전하고 싶은 포인트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모두가 해야 하는 투자법’이자 ‘모두가 할 수 있는 투자는 아니다’라는 것입니다.
_ 포트폴리오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