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사와 헌법

역사와 헌법

(역사의 산물인 동시에 역사 자체인 헌법의 의미와 고찰)

이덕연 (지은이)
신조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960원
31,0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9,92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6,000원 -10% 1300원 22,100원 >

책 이미지

역사와 헌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와 헌법 (역사의 산물인 동시에 역사 자체인 헌법의 의미와 고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헌법
· ISBN : 9791193596043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24-02-15

책 소개

역사의 산물인 동시에 역사 자체이기도 한 진행형 동사로서 헌법 속에서 역사의 함의를 되새기고, 헌법해석자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역사맞이의 태도와 방법을 모색한 시론적 연구서.

목차

I. 서 론
Ⅱ. 왜 ‘역사와 헌법’인가?

1. 접근의 도움닫기 - 문제개관
2. 헌법적 상상과 역사적 대의
3. 역사의 개념과 ‘헌법=역사적 대화’
⑴ 정의(定義)와 해석
⑵ ‘헌법=역사적 대화’
4. 헌법적 상상과 구체적 성찰
⑴ 현상학적 상상으로서 헌법적 상상
⑵ 역사적 재현과 구체화 및 개념
⑶ ‘경험공간’과 ‘기대지평’ - ‘성찰개념’(Reflexionsbegriff)으로서 역사
5. 결국 왜 ‘역사와 헌법’인가?
Ⅲ. 역사와 헌법의 만남 – 헌법의 ‘역사맞이’
1. 당위명제로서 ‘실존적 만남’ - ‘역사 속의 헌법’과 ‘헌법 속의 역사’
2. 헌법(학)은 왜 역사를 필요로 하는가 – ‘과잉요구’(Uberforderung)?
⑴ 자연주의와 도덕성 – 자연주의적 오류?
⑵ 문화 및 문화학으로서 헌법과 헌법학
⑶ 헌법적 이성에 대한 역사의 ‘과잉요구’?
3. 역사의 의미 – 역사의 진리
⑴ ‘역사맞이’의 관점 및 관심사 재정리
⑵ ‘역사의 의미’의 의미 – 역사의 진리
⑶ ‘역사의 진리’와 객관성 – 상대주의 및 ‘상대적 진리’(relative truth)
⑷ 객관주의와 주관주의 – 절대주의와 상대주의
⑸ 법의 객관성과 ‘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
4. ‘헌법 속의 역사’와 상대주의 및 상대적 진리
⑴ 헌법해석론과 상대주의 및 상대적 진리
⑵ (절대적) 진리 없는 헌법과 헌법해석
⑶ 소결 – 관점과 태도 선택
5. “역사의 의미”(The Meaning of History)
Ⅳ. 헌법이론, 헌법해석방법론 및 헌법 도그마틱과 역사
1. 헌법학과 역사학의 방법론 교집합 – 의미와 가치 및 목적
⑴ Hayden White의 Metahistory와 역사적 상상
⑵ 메타헌법(해석)의 명제로서 ‘계몽의 계몽’
⑶ 헌법적 불가지론(constitutional agnosticism)
2. 헌법 도그마틱과 역사
⑴ 문제의 제기
⑵ 헌법적 논증과 역사 – 역사의 문법
3. 헌법 도그마틱 속에서 ‘역사맞이’ - 태도와 방침
⑴ 문제 제기
⑵ ‘역사맞이’의 세 가지 구체적인 방침
4. 과잉금지심사, 특히 ‘비례성심사’와 역사
⑴ 문제의 제기
⑵ 비용-편익심사로서 균형성(비례성)심사의 본질과 구조
⑶ 균형성심사 및 논증과 역사
1) 개요 – 역사의 ‘소박한 사용’
2) 가치형량의 합리성과 역사
3) ‘결의론(決疑論; Kasuistik)과 도그마틱의 화해’와 역사
5. 헌법 도그마틱의 개념과 기능적 효용 및 한계
⑴ 개 요
⑵ ‘헌법 도그마틱’의 현황 – 용어사용과 논의의 맥락
⑶ ‘헌법 도그마틱’의 기능적 효용과 한계
1) ‘헌법 도그마틱’ 문제의 맥락 - 규범성의 한계
2) ‘헌법인식원’으로서 헌법 도그마틱? - 헌법해석론상 ‘가치다원주의’ 및 ‘방법다원주의’의 필수성
3) 소 결
⑷ 헌법 도그마틱과 언어, 힘 및 이데올로기
1) ‘계몽된 법도그마틱’과 헌법 도그마틱
2) 헌법해석과 힘·이데올로기
3) 헌법해석과 언어
6. ‘초문법?’(meta-grammar)과 해석학 - ‘개방(계몽) 후 문제’
⑴ 초문법?
⑵ P. Ricoeur의 ‘해석학’과 은유
⑶ 해석학적 순환과 순환숙명론
Ⅴ. 법치국가의 과제로서 과거청산
1. 개요 – 긴박(緊迫)의 당위
2. 법치국가와 과거청산
3. 과거청산과 책임추궁 - ‘위선론’(僞善論)의 탄핵
4. 국가불법과 과거청산의 대상 및 요목 – 국가범죄의 과거청산
⑴ 국가불법 청산의 대상과 요목(要目)
⑵ ‘국가범죄’의 과거청산
1) ‘국가범죄’의 개념
2) 과거청산의 모델
Ⅵ. 과거청산 관련 판례평석과 비평
1. 개 요
2. ‘장두노미’(藏頭露尾) - ‘타조효과’(ostrich effect)
3. Florida 남부연합 군기게양 논란 – 함의와 시사점
⑴ 함 의
⑵ 비 평
4. 판례평석 및 비평
[Ⅰ] 헌재 1995.12.15. 95헌마221 등 병합
1. 개 요
2. 헌정사적 함의 – 시대상황과 사실관계
⑴ 헌정사적 함의
⑵ 일종의 ‘서사’인 설시기록으로 본 당시 상황과 사태
3. 불기소이유의 요지
4. 평 석
⑴ 성공한 내란의 가벌성을 인정한 반대의견 요지
⑵ 사실인식의 정확성과 서사구성
⑶ 서사구성의 당부와 정치적·역사적 상상
⑷ 결 론
[Ⅱ] 법도그마틱과 역사
1. 개 요
2. 법도그마틱의 역동성 - ‘계몽된 도그마틱’의 가능성과 한계
3. 법도그마틱과 역사의 교섭 – 사법(司法)과 ‘역사기술’(historical writing)
4. 소 결
[Ⅲ] 법관의 법왜곡 문제 - 과거청산의 대상으로서의 사법사의 반성에 부쳐
1. 들어가면서
2. 범죄로서의 법관에 의한 법왜곡: 독일 형법 제336조
⑴ 연혁 및 사법사적 의의
⑵ 법치국가의 ‘책임사법’과 법왜곡죄
⑶ 법왜곡죄의 적용범위
1) 행위자
2) 구성요건 : 법관의 법왜곡 행위
3) 미필적 고의 인정 문제
4) 법왜곡죄의 법관 보호기능
⑷ 법관에 의한 법왜곡죄의 실제 적용 - 법왜곡죄의 왜곡사
3. 맺음에 대신하여
[Ⅳ] 동의대사건 각하결정(헌재 2005.10.27. 2002헌마425)
1. 머리말
2. 결정요지
⑴ 다수-각하의견
⑵ 소수-위헌의견
3. 평 석
4. 맺는말
[Ⅴ] ‘거창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2008.5.29. 2004다33469) 평석 - ‘견벽청야’(堅壁淸野)의 군사작전과 법리구성의 구조적 유사점을 주목하며
1. 머리말
2. 사건의 개요와 청구취지
⑴ ‘거창사건’의 전말과 추이
⑵ 청구취지
3. 판결의 요지
4. 평 석
⑴ 개 요
⑵ ‘견벽청야’(堅壁淸野)의 법이론 - 사태파악과 법해석방법론상의 문제점
⑶ ‘역사와 법의 관계’로 본 사법(司法)의 중립성과 객관성
1) 맥락을 일탈한 ‘법적 안정성’의 설시
2) 사법(司法)의 중립성과 객관성
㈎ 논점의 정리
㈏ 법해석론상 전제로서 중립성, 객관성 및 공정성의 적실성
㈐ ‘윤리적 존재’로서 법관의 양심과 법이성
5. 맺는말 - ‘문경사건’과 관련한 보론
[Ⅵ] 긴급조치와 국가배상책임 – 대법원판결(2015.3.26. 2012다48824)에 대한 법해석방법론 및 헌법적 검토
1. 개요 - 문제의 제기
2. 대상판결의 요지
3. 평 석
4. 맺으며
5. 추가 보론 - ‘헌법지향적 국가배상법해석’의 가능성과 당위성
⑴ 논의 확장 및 심화의 초점과 문제의 제기
⑵ ‘헌법지향적 국가배상법 해석’의 가능성과 한계
⑶ 법해석방법론상 비판적 검토
Ⅶ. 맺는말

[참고문헌]
[사항색인]

저자소개

이덕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동 대학원(법학사, 법학석사) 독일 Bonn대학교(비교법학석사, 법학박사) 공주대학교 법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경대학 법학과 교수 강원도 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법제연구원 재정법제 자문교수 공법학회, 헌법학회 부회장 헌법재판연구원 초빙연구위원 한국헌법판례연구학회장 국회 입법지원위원(현)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현)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596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