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헌법
· ISBN : 9791193707678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4-12-10
책 소개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여기서는 대한민국 헌법에서 통일에 관해서 무엇을 말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특히 헌법 제4조를 비롯한 통일과 관련한 헌법규정들을 꼼꼼히 해석하려고 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헌법에 바탕을 둔 헌법 논의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서 일단 대한민국 헌법을 면밀히 해석하여 체계를 세우는 데 집중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헌법의 기본원리와 대한민국 헌법사에 관한 고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고 노력하였다.
목차
■ 머리말 / 6
제1장 통일조항인 헌법 제4조 / 15
Ⅰ. 통일 논의의 출발점인 헌법 제4조 / 16
Ⅱ. 헌법 제4조의 법적 성격 / 16
Ⅲ. 헌법체계 속에서 살펴본 ‘통일’ / 33
Ⅳ. 통일의 가치적・내용적 한계: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 49
Ⅴ. 통일의 방법적 한계: 평화통일 / 74
제2장 통일의 근거 / 79
Ⅰ. 국호 ‘대한민국’ / 80
Ⅱ. 통일의 기본원리로서 민족국가원리 / 104
제3장 통일한국의 국가형태로서 민주공화국 / 163
Ⅰ. 공화국의 의의 / 164
Ⅱ. 공화국원리의 의의 / 185
Ⅲ. 공화국원리의 내용 / 191
Ⅳ. 통일의 구심점으로서 공화국원리 / 205
제4장 통일의 범위 / 207
Ⅰ. 대한국민 / 208
Ⅱ. 고유영토 / 211
보론(補論): 독일통일 과정의 헌법적 문제 / 263
Ⅰ. 독일통일 과정에서 헌법적 가치를 관철한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 264
Ⅱ. 통일과 관련한 헌법의 적용 범위 / 265
Ⅲ. 분단국 사이의 관계 / 268
Ⅳ. 통일을 위한 분단국 사이의 합의 / 272
Ⅴ. 국경 문제 / 275
Ⅵ. 통일의회 구성 / 278
Ⅶ. 통일 이후 서로 다른 법령 통합 / 281
Ⅷ. 통일에 따른 화폐 교환 / 283
Ⅸ. 통일에 따른 토지 재산권 처리 / 287
Ⅹ. 통일에 따른 공무원 정리 / 289
Ⅺ. 통일 전 간첩 처벌 / 291
Ⅻ. 맺음말: 통일을 준비하며 미리 검토하여야 할 최소한의 헌법적 문제 / 294
■ 참고문헌 / 295
■ 찾아보기 / 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