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91193796153
· 쪽수 : 507쪽
· 출판일 : 2025-03-25
목차
01. 진나라의 31대 왕이자 중국 최초의 황제
ㆍ 13세의 나이에 진나라 왕에 즉위하다 / 34
ㆍ 여불위 아들이라는 출생의 비밀이 있다 / 40
ㆍ 왕위를 승계받고 22세에 모든 권력을 장악하다 / 43
ㆍ 유일하게 황후를 두지 않았다 / 46
ㆍ 통일 전쟁을 위한 체제 정비를 하다 / 50
ㆍ 중앙 집권제를 강화하다 / 53
ㆍ 군제를 개혁하고 오랑캐를 정벌하다 / 54
ㆍ 경제개혁을 단행하고 인재를 등용하다 / 55
ㆍ 여불위와 손잡고 왕이 되다 / 60
ㆍ 친족을 후대하고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풀다 / 64
ㆍ 춘추 전국 시대를 끝내고 중국을 통일하다 / 66
ㆍ 삼황오제서 황과 제를 합쳐서 황제라 칭하다 / 68
ㆍ 불로불사의 꿈을 꾸다 비참한 결과를 낳다 / 70
ㆍ 미신에 집착하다 / 71
ㆍ 태자를 지명하지 않다 / 72
ㆍ 영부소를 박대하다 / 72
ㆍ 시황제가 전국을 다섯 번 순행하다 / 73
ㆍ 순행 길에서 죽음과 환관이 유서를 조작하다 / 75
ㆍ 킹메이커 여불위를 만나다 / 77
ㆍ 여불위는 위나라 복양 출신이다 / 78
ㆍ 여불위가 영정을 왕으로 만들다 / 82
ㆍ 여불위가 승상보다 높은 상방의 자리에 오르다 / 86
ㆍ 여불위가 자살하기 전 땅을 왕관 삼아 머리가 아래로 향하도록 수직으로 몸을 세워 몸의 반만 묻어달라고 유언했다 / 89
ㆍ 여불위가 정말 진시황의 아버지였을까? / 93
ㆍ 여불위의 장례식에 참여한 사람들을 추방하거나 면직시키는 처벌을 내렸다 / 95
ㆍ 여불위는 떨거지 왕족을 일국의 왕으로 만들었다 / 98
02. 진나라의 통일 과정
ㆍ 진나라의 정치, 군사 정책이 변화를 맞이하다 / 112
ㆍ 분서갱유와 초한 쟁패를 거치며 소실된 기록이 굉장히 많다 / 115
ㆍ 진시황에게 천하통일의 계책을 진언한 울료는 위나라 사람이다 / 116
ㆍ 백기는 명장 중 하나지만, 동시에 수없이 많은 적과 포로를 죽여 학살자로 불리는 인물이다 / 120
ㆍ 백기가 포로 45만 명을 학살하다 / 125
ㆍ 포로 학살은 진나라에 이득이 되었는가? / 128
ㆍ 장평대전 이후 백기가 몰락하다 / 133
ㆍ 백기는 춘추 전국 시대 최고의 명장들 중 한 명이었다 / 139
ㆍ 백기가 죽다 / 144
03. 통일 전쟁의 시작
ㆍ 조나라를 1차 공격하다 / 150
ㆍ 조나라를 2차, 3차 공격하다 / 153
ㆍ 조나라를 4차 공격하다 / 156
ㆍ 기원전 230년 한나라가 멸망하다 / 158
ㆍ 기원전 228년 조나라가 멸망하다 / 162
ㆍ 기원전 225년 위나라가 멸망하다 / 174
ㆍ 기원전 223년 초나라가 멸망하다 / 179
ㆍ 기원전 222년 연나라가 멸망하다 / 190
04. 암살 시도를 세 번 당한 시황제 암살 미수 사건
ㆍ 시황제는 황제 즉위 전에도 많은 암살 시도를 받았다 / 198
ㆍ 형가가 시황제의 암살 시도가 실패하다 / 200
ㆍ 형가는 위나라에서 태어나 연나라에서 살았다 / 200
ㆍ 태자 단은 시황제에 대한 증오심이 깊었다 / 203
ㆍ 우리나라 고조선도 진나라에 스스로 신하라고 자처하였다 / 211
ㆍ 형가가 협객으로 평가되다 / 213
ㆍ 고점리가 암살을 시도하다 / 217
ㆍ 장량은 한나라의 귀족 가문 출신이다 / 218
ㆍ 장량이 진시황 암살을 계획하다 / 221
ㆍ 장량이 하비에서 황석공을 만나다 / 226
ㆍ 장량이 항백을 만나다 / 229
ㆍ 장량이 유방을 만나다 / 231
ㆍ 장량이 조국 한나라 부흥을 위해 노력하다 / 234
ㆍ 장량이 다시 유방에게 가다 / 236
ㆍ 유방이 장량에게 인심을 사게 하다 / 238
ㆍ 홍문연은 진나라의 수도 함양 근처의 홍문이라는 곳에서 있었던 사건이다 / 240
ㆍ 유방이 위기에 빠지다 / 245
ㆍ 번캐가 난입하다 / 247
ㆍ 유방이 도주하다 / 250
ㆍ 유방은 항우의 결정으로 천하의 벽지인 파촉에 처박히는 신세가 되다 / 251
ㆍ 장량이 천하를 논하다 / 253
ㆍ 장량이 젓가락으로 천하를 설명하다 / 255
ㆍ 장량이 제후들을 움직여 천하대세를 종결짓다 / 267
ㆍ 장량은 유방에게 무엇을 달라고 먼저 요구하지 않았고, 유방을 떠나지 않았다 / 270
ㆍ 폐하께서 가장 미워하는 사람이 누구입니까? / 273
ㆍ 유방이 제국의 수도를 고민하다 / 275
ㆍ 장량은 밥도 거의 먹지 않고 집 밖으로도 나서는 일이 드물었다 / 278
ㆍ 장량은 장자제 지역에서 신선처럼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 281
ㆍ 장량 자신은 재산이나 지위에 초탈했다 / 284
ㆍ 기원전 221년 제나라가 멸망하다 / 291
ㆍ 진시황이 마침내 천하통일을 이루다 / 296
ㆍ 진시황이 백월을 정벌하다 / 299
ㆍ 제국을 통치할 ‘황제’ 칭호를 만들다 / 301
05. 시황제의 정책과 분서갱유
ㆍ 정체성과 체계를 하나로 통합하다 / 306
ㆍ 분서갱유로 진나라 멸망을 초래하다 / 308
ㆍ 분서갱유는 사상 탄압의 단초가 되었다 / 311
ㆍ 분서갱유의 원인은 법가 통치에 저항한 시도였다 / 313
ㆍ 분서갱유는 과장인가? / 317
ㆍ 분서갱유는 유가를 위축시킨 사건이다 / 318
ㆍ 진시황의 말년은 갑작스럽고 또 폭압적으로 이루어지는 바람에 부작용이 심했다 / 325
ㆍ 진시황이 수은에 중독되었는가? / 327
ㆍ 미신에 집착하다 / 329
ㆍ 진시황이 사구에서 삶을 마감하다 / 330
ㆍ 사구 정변은 두 차례 있었다 / 333
ㆍ 분가가 본가를 몰아내는 조나라의 사구 정변이 일어나다 / 333
ㆍ 공자 장이 반란을 일으키다 / 334
ㆍ 공자 장이 살해당하다 / 335
ㆍ 분가가 본가를 몰아내는 조나라의 사구 정변이 일어나다 / 336
ㆍ 시황제의 죽음을 은폐하다 / 338
ㆍ 유서 조작과 부소가 자살하다 / 339
ㆍ 몽씨 형제가 죽다 / 340
ㆍ 분노한 사람들이 부소나 항연을 사칭하며 반란을 일으키다 / 342
ㆍ 시황제가 순행 중 위독해지자 부소를 처형한 후 승하했다고? / 345
ㆍ 만약에 부소가 황위를 계승했다면? / 349
ㆍ 진나라 멸망설? / 355
ㆍ 전국 시대의 재시작설? / 358
06. 무리한 대규모 토목공사
ㆍ 만리장성을 축조하다 / 366
ㆍ 중국 최초의 장성은 초나라가 쌓은 장성이다 / 368
ㆍ 조 ㆍ 연 ㆍ 진나라 등 세 나라가 쌓은 장성을 진시황이 통일 이후 연결해 지은 것이 시초였다 / 371
ㆍ 시황제가 만리장성을 무리하게 축조하다 / 376
ㆍ 명나라는 헌종 성화제의 치세 때인 1473년부터 산시 일대에서 40,000여 명을 동원하여 장성을 쌓기 시작했다 / 379
ㆍ 20세기에도 만리장성은 중국 현대사에 영향을 미쳤다 / 381
07. 진승오광의 난과 진나라의 멸망
ㆍ 진승과 오광의 난이 일어나다 / 388
ㆍ 진나라가 붕괴하기 시작하다 / 389
ㆍ 진승과 오광이 군사를 모으다 / 392
ㆍ 진승이 왕이 되다 / 396
ㆍ 진여가 또 다른 제안을 하다 / 397
ㆍ 장한이 등장하다 / 402
ㆍ 장초가 패망하기 시작하다 / 404
ㆍ 진나라가 역사 속으로 사리지다 / 414
08, 시황제의 평가
ㆍ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다 / 420
ㆍ 통치 체계를 확립하다 / 425
ㆍ 한나라는 진나라에 대한 부정적인 기록이 많은 편이다 / 426
ㆍ 황제들이 2대 황제, 3대 황제를 칭할 것을 기대었건만 이세 황제의 폭정으로 진나라가 멸망하다 / 433
ㆍ 후계자가 잘못 선정되다 / 437
ㆍ 시황제 본인이 바라던 하나된 중국을 이루지는 못했다 / 442
ㆍ 시황제는 법가사상을 신봉하다 못해 맹신했다 / 445
09. 만리장성과 진시황릉
ㆍ 만리장성은 연간 셀 수 없는 숫자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여행 명소다 / 454
ㆍ 현재 전체 장성 중 50%는 예전의 모습이 사라지고 다 파괴되었다 / 461
ㆍ 장성에는 각 지형에 맞는 건축 공법이 적용되었다 / 467
ㆍ 장성에 대해 중국 정부는 각각의 구간을 두어 관리한다 / 467
ㆍ 고북구(구베이커우) 장성 / 470
ㆍ 가욕관(자위관) 장성 / 471
ㆍ 둔황의 한 대장성 / 472
ㆍ 중국의 동북공정과 한반도 포함 시도를 하다 / 473
ㆍ 2012년 기준 만리장성의 길이가 기존의 두 배 이상 늘어난 21,196.18㎞라고 발표하다 / 476
ㆍ 만리장성이 우주에서 보인다? / 476
ㆍ 전국 곳곳에 연결되는 치도馳道와 군사 전용 도로인 직도直道라는 도로를 만들다 / 478
ㆍ 아직 릉이 출토되지 않은 황제는 진나라 밖에 없다 / 479
ㆍ 진시황릉은 진나라의 멸망 이후 긴 세월 동안 정확한 위치를 아는 사람이 없었다 / 480
ㆍ 시양 마을 청년 6명이 우물을 만들고자 땅을 파던 중 도기 조각을 발견했다 / 485
ㆍ 시황제 릉은 산 전체가 하나의 무덤이다 / 488
ㆍ 부장품은 아직 제대로 발굴을 시작하지도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세계적인 수준이다 / 489
ㆍ 병마용갱은 황릉이 아니라 황릉 주변에 있는 부장품이다 / 495
ㆍ 병마용의 주인은 진시황이 아니다? / 498
ㆍ 상나라 시대부터 청나라 시대까지의 제왕릉들을 비교하면 진시황릉의 능원이 가장 크다 / 501
찾아보기 / 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