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티베트 불교 > 티베트 불교 일반
· ISBN : 9791194049043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4-07-03
책 소개
목차
서언
저자서언
입중론일광소
1. 서론
1.1. 법의 개론
1.1.1. 법의 체상 體相
1.1.2. 법의 분류
1.1.2.1.
법의 10가지 종류
1.1.2.2.
교전敎典을 설함
1.1.2.2.1.
교전의 체상體相
1.1.2.2.2.
교전의 분류
1.2. 상사께서 전법하시는 모습[傳法相]
1.2.1. 인도사引導師 부처님이 전법하는 모습
1.2.2. 아사리 나한이 전법하는 모습
1.2.3. 반지달班智達이 전법하는 모습
1.2.3.1.
계향사의 전법상傳法相
1.2.3.2.
나란타사의 전법상
1.2.3.2.1.
저자
1.2.3.2.2.
어느 경론에 속하는가
1.2.3.2.3.
종합적인 뜻
1.2.3.2.4.
누구를 위하여 논을 짓는가
1.2.3.2.5.
논을 짓는 필요성
1.3. 제자弟子가 법을 듣는 모습[聞法相]
1.3.1. 발심發心
1.3.2. 행위
1.3.2.1.
응당 세 가지 과실을 끊어야 함
1.3.2.1.1.
법기로서 응당 끊어야 하는 세 가지 과실
1.3.2.1.2.
응당 끊어야 하는 여섯 가지 오염
1.3.2.1.3.
응당 취하지 말아야 할 다섯 가지
1.3.2.2.
응당 세 가지 행위를 구족해야 함
1.3.2.2.1.
사상四相을 의지함
1.3.2.2.2.
육바라밀을 구족함
1.3.2.2.3.
스승을 의지함에 위의威儀를 갖춤
2. 입중론 강의
2.1. 명의名義(이름과 뜻)
2.1.1. 『중론』에 합치됨[入]의 판단 기준
2.1.2. 이름을 붙이는 필요성과 그 방법
2.2. 번역의 예[釋禮]
2.3. 논의 뜻[論義]
2.3.1. 보리의 삼인三因을 찬탄함
2.3.2. 대비를 예찬함
2.3.2.1.
종합적으로 대비심을 찬탄함
2.3.2.2.
대비심을 나누어서 찬탄함
2.3.2.2.1.
“중생을 인연하는 대비심”을 찬탄함
2.3.2.2.2.
“법을 인연하는 대비심”과 “인연함이 없는 대비심”을 찬탄함
3. 승의 보리심 해설
3.1. 제1 승의보리심: 극희지極喜地
3.1.1. 1지를 간략히 설함
3.1.2. 1지의 공덕을 자세히 설함
3.1.2.1.
자체 상속을 장엄하는 공덕
3.1.2.1.1.
뜻을 갖춘 이름을 얻는 공덕
3.1.2.1.2.
부처의 가족으로 태어나는 공덕
3.1.2.1.2.1.
종성 공덕種姓功德
3.1.2.1.2.2.
소단 공덕所斷功德
3.1.2.1.2.3.
소증 공덕所證功德
3.1.2.1.2.4.
능력 공덕能力功德
3.1.2.1.2.5.
증상 공덕增上功德
3.1.2.1.3.
악취惡趣를 소멸하는 공덕
3.1.2.1.3.1.
실제
3.1.2.1.3.2.
비유 설명
3.1.2.2.
타 상속을 초월하는 공덕
3.1.2.2.1.
진실
3.1.2.2.2.
별도의 뜻
3.1.2.3.
1지에서 증가하는 공덕
3.1.2.3.1.
보시바라밀이 증가함
3.1.2.3.2.
보시를 찬탄贊嘆함
3.1.2.3.2.1.
진실로 보시를 찬탄함
3.1.2.3.2.1.1.
하열한 보시를 찬탄함
3.1.2.3.2.1.1.1.
진실
3.1.2.3.2.1.1.2.
보시 공덕
3.1.2.3.2.1.1.2.1.
보시를 행하면 윤회 중의 행복을 얻음
3.1.2.3.2.1.1.2.2.
보시를 행하여 열반락을 얻음
3.1.2.3.2.1.2.
보살의 보시를 찬탄함
3.1.2.3.2.1.3.
이같이 찬탄을 결론지음
3.1.2.3.2.2.
보살이 보시를 행하면 환희가 생김
3.1.2.3.2.2.1.
보시를 행하면 환희가 생기는 내용
3.1.2.3.2.2.2.
이와 같이 몸을 보시함
3.1.2.3.3.
보시의 분류
3.1.3. 극희지의 공덕을 결론지어 말함
3.2. 제2 승의보리심第二勝義菩提心: 무구지無垢地
3.2.1. 지의 체득을 차별로 해석한 문구
3.2.2. 지地의 차별
3.2.2.1.
이 지는 정계바라밀을 증상시킴
3.2.2.1.1.
진실
3.2.2.1.2.
청정계상을 설함
3.2.2.2.
계바라밀을 칭찬함
3.2.2.2.1.
진실로 계를 찬탄함
3.2.2.2.1.1.
하열한 체도 계 갖춤이 필요함
3.2.2.2.1.1.1.
계를 여읜 과환
3.2.2.2.1.1.1.1.
계를 여읜 자는 선취를 얻지 못하는 과환
3.2.2.2.1.1.1.2.
한 번 받으면 욕락이 다하는 과환
3.2.2.2.1.1.1.3.
악취 중에서 해탈을 얻지 못하는 과환
3.2.2.2.1.1.1.4.
모든 허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보시한 후에 계율을 설함
3.2.2.2.1.1.2.
계를 갖추는 것의 이익
3.2.2.2.1.2.
계는 모든 공덕의 의지처가 됨
3.2.2.2.2.
모든 보살이 이같이 계를 지니고 상에 주함
3.2.2.3.
계바라밀의 분류
3.2.3. 무구지의 공덕을 결론지어 말함
3.3. 제3 승의보리심第三勝義菩提心: 발광지發光地
3.3.1. 이 지의 차이를 해석함
3.3.2. 이 지와 다른 지의 차이
3.3.2.1.
이 지에서 인욕바라밀이 증가함을 설함
3.3.2.1.1.
이 지에서 인욕바라밀이 증가함
3.3.2.1.2.
인욕의 수행법
3.3.2.1.2.1.
승의를 의지한 수행법
3.3.2.1.2.2.
세속을 의지한 수행법
3.3.2.1.2.2.1.
진에의 과실을 관하며 인욕을 수행함
3.3.2.1.2.2.1.1.
무의미함을 관하여 화냄 없이 인욕을 닦음
3.3.2.1.2.2.1.2.
가해자가 피해자를 바꾸지 못함을 관하고 인욕을 닦음
3.3.2.1.2.2.1.3.
진에의 죄업이 지대함을 관하며 인욕을 수행함
3.3.2.1.2.2.1.4.
현세와 내세의 여러 가지 과실을 관하여 인욕을 수행함
3.3.2.1.2.2.2.
인욕바라밀 공덕을 관하며 인욕을 수행함
3.3.2.1.2.2.3.
공동으로 결론을 맺음
3.3.2.1.3.
인욕바라밀의 분류
3.3.2.2.
이 지에서 기타 공덕이 생김을 설함
3.3.3.
이 지의 공덕을 결론지어 설함
3.3.3.1.
앞의 세 가지 바라밀의 공통적인 결론
3.3.3.2.
3지를 분별하여 결론지음
3.4. 제4 승의보리심第四勝義菩提心: 염혜지焰慧地
3.4.1. 이 4지에서 정진바라밀이 증상함
3.4.2. 이 지의 해석
3.4.3. 끊는 바의 차이
3.5. 제5 승의보리심第五勝義菩提心: 난승지難勝地
3.5.1. 차별지의 해석문구
3.5.2. 차별지의 공덕
3.6. 제6 승의보리심第六勝義菩提心: 현전지現前地
3.6.1. 능경지의 체성을 간략히 설함
3.6.2. 소경 공성所境空性을 널리 설함
3.6.2.1.
공성의 깊은 뜻을 설함
3.6.2.2.
진실로 깊은 뜻을 갖춘 공성을 설함
3.6.2.2.1.
어떻게 상을 전할 것인가
3.6.2.2.2.
관정과 전법
3.6.2.2.2.1.
전법하고 강의해줄 법기를 인정함
3.6.2.2.2.2.
법기에게 공성이 공덕을 생기게 함을 설해 듣기를 권함
3.6.2.2.2.2.1.
세속방편을 생기게 하는 공덕
3.6.2.2.2.2.2.
승의지혜를 생기게 하는 공덕
3.6.2.2.3.
법을 강설함
3.6.2.2.3.1.
이증으로 공성을 결택함
3.6.2.2.3.1.1.
이치로 법무아를 결택함
3.6.2.2.3.1.1.1.
이치로써 자성이 생김을 파함
3.6.2.2.3.1.1.1.1.
이제 중에 사변으로 생김을 파함
3.6.2.2.3.1.1.1.1.1.
파할 법을 확정함
3.6.2.2.3.1.1.1.1.1.1.
타종
3.6.2.2.3.1.1.1.1.1.2.
자종(닝마파 자종)
3.6.2.2.3.1.1.1.1.2.
능히 파하는 승의 이론의 이치로써 어떻게 소파법所破法을 제거해서 중관 정견을 수립하는가
3.6.2.2.3.1.1.1.1.2.1.
공동오대인共同五大因
3.6.2.2.3.1.1.1.1.2.1.1.
금강설인金剛屑因
3.6.2.2.3.1.1.1.1.2.1.2.
파유무생인破有無生因
3.6.2.2.3.1.1.1.1.2.1.3.
파사구생인破四句生因
3.6.2.2.3.1.1.1.1.2.1.4.
이일다인離一多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