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원만 정도 광명 5

대원만 정도 광명 5

(티베트 불교 닝마파)

츠총로주 캔포 (강설), 지엄 (편역)
문진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원만 정도 광명 5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원만 정도 광명 5 (티베트 불교 닝마파)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티베트 불교 > 티베트 불교 일반
· ISBN : 9791194049098
· 쪽수 : 522쪽
· 출판일 : 2024-11-15

책 소개

십여 년 동안 중국 및 동남아시아의 밀교 수행자와 신도들을 대상으로 중국어로 법문하신 내용을 제자들이 녹음하고 정리하여 8권의 법문집으로 편집하여 『혜등지광』의 제목으로 출간한 책을 번역하여 재구성한 책이다.

목차

머리말

Ⅰ. 정혜쌍수定慧雙修의 전행前行
1. 유상정有相定
1) 나무토막이나 돌을 의지해 선정을 수행함
(1) 정행正行
(2) 명점明點을 관함
2) 청정한 불상을 의지해 수행함
(1) 몸
(2) 글자
3) 기와 의식을 나누지 않고 오직 마음임을 유지하여 닦음
(1) 기와 식이 구별 없이 오직 마음임
(2) 보병기 수행법
(3) 3자 무생 금강송
2. 무상정
3. 삼마지를 얻음
4. 선정의 병통
5. 수승한 관행 방편의 전행
1) 마음의 본성을 관함
2) 마음의 ‘생·주·멸’에서 찾음
(1) 마음을 찾음
(2) 마음은 하나인가 나뉘는가?
(3) 형상과 색깔을 관함
(4) 낙·명·무념의 증험
(5) 산란과 안주함을 관함

Ⅱ. 직지각성直指覺性 적견자해赤見自解
심성을 바로 보임
한마음[一心]
명상名相
명공각성明空覺性
삼신三身
본래심성本來心性
심성론心性論
심외무법心外無法
성광性光
자생自生
견見·수修·행行·과果

Ⅲ. 직지심성
각수覺受에 빠짐을 경계함
마무리

Ⅳ. ‘아(ཨོཾ་ཨཱཿཧཱུྃ། 옴아훙 / 옴아훔)’ 자관

Ⅴ. 직단[Trekcho] 수행 요결

Ⅵ. 연용상사부모年龍上師父母 약전略傳

1. 남튤 린포체[年龍上師] 약전
2. 다레라모 린포체 약전
3. 연용 상사부모 인연
4. 상사부모 린포체의 교화사업
5. 상사부모 린포체 보장법

Ⅶ. 영원한 하나인 남튤 린포체와 타레 라모의 편지
홀리 게일리 교수 약력
타레 라모 편지
남튤 린포체 편지

Ⅷ. 남튤 린포체 교언敎言
1. 스승을 의지함
2. 외가행外加行 수행
3. 내가행內加行 수행
1) 귀의
2) 발심
3) 참회
4) 자량 쌓기
5) 상사유가上師瑜伽
4. 상사유가 수행 방법
1) 귀의와 발심
2) 참회 및 자량 쌓기
3) 상사상응上師相應
4) 사종관정
5. 상사유가 수행의 수승함
6. 심도육법深道六法의 수행
7. 직단直斷[Trekcho]과 돈초頓超[Togal] 수행
8. 밀승 인연의 수승함과 수행인의 자세
9. 세 가지 수행 요결
10. 계율을 지킴과 문사수問思修 수행의 중요성
11. 대원만 해탈법 - ‘닦지 않고 성불하는 법’
12. 무구참회속 염송과 회공 기도의 수승함
13. 마무리

Ⅸ. 현명취사顯明取捨

Ⅹ. 상사유가上師瑜伽의 의의

XI. 회공薈供 약설

1. 회공의 기본 자세
2. 회공에 대해 꼭 알아야 하는 것들
3. 공양물
4. 회공 수행의 공덕

XII. 자신의 근본스승과 상응하는 법
1. 스승님께 의지하는 공덕
2. 스승님께 정중하게 의지하지 아니한 죄업
3. 출리심出離心을 얻는 것이 상사 상응의 기초임
4. 자심自心에 내재한 스승을 믿으며 다른 종파의 스승에
  대해서도 사견을 내지 아니함
5. 항시 스승의 은덕을 생각함
6. 아만을 버리고 의심 없이 스승님께 헌신함
7. 부처님과 같은 조사인 스승님의 결점을 찾지 않음
8. 진심으로 스승께 공양하여 스승님을 기쁘게 함
9. 스승님을 비난하는 사람과 멀리함
10. 신심이 생기지 않을 때 어찌하는가?
11. 사견이 생길 때 어떻게 대처하는가?

XIII. 금강밀승 14조 근본 계율

XIV. 스승을 섬기는 50항 게송[事師五十頌]

1. 정례구
2. 귀의 및 종지를 세움
3. 본문
4. 종결구

XV. 스승의 가피를 받아들이는 것의 중요성

XVI. 승도보만勝道寶鬘 - 수승한 길의 보석 화환

1. 애석한 일 열 가지를 그리워하다
2. 필요한 일 열 가지
3. 의지할 열 가지 일
4. 버려야 할 열 가지 일
5. 버려서는 안될 열 가지 일
6. 알아야 할 열 가지 일
7. 실천해야 할 열 가지 일
8. 열 가지 성실히 노력해야 하는 일
  9. 스스로 격려할 열 가지 일
10. 잘못되는 열 가지
11. 다양한 혼란 열 가지
12. 틀리지 않는 열 가지 일
13. 무의미한 열 네 가지의 일
14. 불법을 배우는 자의 잘못 열여덟 가지
15. 없을 수 없는 법 열두 가지
16. 성현의 특징 열 한가지
17. 이익이 없는 열 가지 일
18. 자기 고통은 자기가 지은 일 열 가지
19. 자신에게 큰 은혜가 있는 일 열 가지
20. 열 가지 진실한 법
21. 불법 배우는 자의 착란 열 가지
22. 열 가지 필요한 일
23. 열 가지 불필요한 일
24. 열 가지 수승한 일
25. 어떻게 해도 좋은 열 가지 일
26. 정법의 공덕 열 가지
27. 이름뿐인 일 열 가지
28. 대락으로 자연 성취하는 일 열 가지

XVII. 명현본래성明現本來性
1. 대수인 지관 수행
1) 사마타
(1) 상이 있는 사마타
(2) 상이 없는 사마타
2) 위빠사나
(1) 마음과 각종 현상의 본질을 결택함
(2) 본체·현현의 허구적인 증익增益을 끊음
3) 지관쌍운
(1) 실제로 본유本有임
(2) 허물을 제거하고 명상을 인식함
2. 명상 수행의 장애
1) 벗어난 길(공성에 대하여 벗어난 길 넷을 말함)
2) 틀린 길
3. 무생의 궁극적 확정과 증익
1) 궁극적으로 확정(구경 확정)하는 때
2) 생각과 현상을 탐구함
3) 명상과 명상가의 마음을 탐구함
4) 무생을 직접 실제적으로 구경 확정함
5) 방석의 명상과 방석을 떠난 뒤의 명상을 융합
4. 도의 활용으로 전환함
1) 도의 활용으로 전환되는 시기와 행위
2) 생각을 도의 활용으로 전환행위를 통하여 수행력을
  증장함
3) 번뇌를 도의 활용으로 전환한다
4) 귀신을 도의 활용으로 전환함
5) 고통을 도의 활용으로 전환함
6) 질병을 도의 활용으로 전환함
7) 죽음을 도의 활용으로 전환함
5. 어떻게 깨달음을 일으키고 수행을 증진시키는가?
1) 깨달음을 일으키는 다른 방식들 사이의 차이
2) 전일과 그 발전
(1) 전일의 하 단계
(2) 전일의 중간 단계
(3) 전일의 상 단계
3) 희론을 떠남과 그 발전
(1) 희론을 떠남의 하 단계
(2) 희론을 떠남의 중간 단계
(3) 희론을 떠남의 상단계
4) 희론을 떠남과 요가 수행의 요점 세 가지
6. 일미一味와 그 발전
1) 일미의 하 단계
2) 일미의 중간 단계
3) 일미의 상 단계
4) 일미 요가 수행의 요점
7. 명상 없음과 그 발전
1) 명상 없음의 하 단계
2) 명상 없음의 중간 단계
3) 명상 없음의 상 단계
4) 명상 없음 요가 수행의 요점
5) 마무리

저자소개

지엄 (편역)    정보 더보기
1956년 전북 김제 출생. 19세에 구례 화엄사에 종견화상을 은사로 입산 출가하여, 월하 화상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하고 화엄사 강원을 졸업하였다. 봉암사 등에서 14안거를 성만하였으며, 화엄사 강원 강주, 운암사 도감을 역임하였다. 1995년 중국에 유학, 남경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사천성 오명불학원에서도 수학하였으며, 해인사 승가대 교수로 재직하였다. 『입보살행론광석』, 『입보리행론 강해』, 『대원만수행요결』, 『불자행 37송 강설』, 『친우서』, 『입중론강해』, 『대원만정도광명』, 『정해보등론강의』 등을 번역하였다. 중국 유학중이던 1999년 운명적으로 만난 대성취자 연용상사를 근본스승으로 모시고 수행하며 전법을 받았으며, 현재는 서울 미륵정사에서 법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츠총로주 캔포 (강설)    정보 더보기
1962년 중국 사천성 간쯔장족자치주 루훠현 출생. 1984년 사천성 써다현 오명불학원에서 출가하여, 당대 티베트 불교 닝마파의 대성취자이신 진매이펑춰 법왕을 근본스승으로 모시고 경학과 수행을 병행하였고, 오랜 시간 동안 각고의 노력 끝에 현교의 5부대론과 밀교의 속부에 모두 정통하여 캔포의 지위를 받고, 선을 수행하여 성취를 얻어 법왕으로부터 인가를 받았다. 오명불학원에서 20여년 넘게 교학을 담당하면서, 90년대부터 싱가폴, 말레이시아, 중국, 대만 등에서 전통적인 교학과 현대의 과학, 철학을 통섭하여 현대인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불법을 전하고 있다. 저서로는 『츠총로주 캔포 전집 4권』, 『윤회 이야기』, 『티베트 불교의 신묘한 비밀 강설』, 『불교, 미신 or 지신智信』, 『티벳어-중국어-영어 불교용어 사전』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