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4366119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4-10-16
책 소개
목차
김추산
신풍종묘사
몽돌의 노래
사진(似眞)에의 유감
별이 된 화백
척, 척한 기억
잉걸불
박인애
엄마라는 이름으로
사랑의 손길
고구와 구마
해바라기
작가라는 이름으로
조우
백경혜
화해
게임하는 엄마
닭볶음탕 팡파르
바람을 들이다
백련사 가는 길
필모그래피
이지원
새로운 도전
김치볶음밥
새들의 초대
첫 손녀 하린이
시각의 차이
한류의 신호탄
전명혜
늘목산장에서 별을 보다
Pocky
찻집 주인
민망한 기억
화가를 꿈꾸며
고래를 만나다
정만진
새장골의 여름
추억 속의 한강 에어쇼
LNG와 첫 만남
홍합 파스타
우리 가락 좋을시고
페루 여행기
정은희
고모의 청국장
왕발 공주
네 번째 아내
첫아들
접지
우정이 꽃피던 시절
작가 소개
추천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 작가의 말
삶의 궤적 속에서 말이나 글에 담을 수 있는 순간이 얼마나 될까. 눈으로 보는 것, 귀로 듣는 것, 만져지는 것, 가슴에 닿는 것이 다 글의 대상임을 부쩍 느낀다. 하여 떠돌던 말을 허우적거리며 끌어당겨 가뭇없이 사라져가는 시간 속에서 기억하고자 하는 순간, 상황, 사건, 사람 등을 글로 남긴다. 일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이라 여겨져 설렌다. 눈으로 스캔하고 머리에서 기억하고 가슴으로 느낀 생의 찰나들이 글 속에서 활어처럼 숨 고르다가 혹여 웅크린 어떤 마음에 여울로 가 닿는 꿈을 꾸어본다. 여기까지 인도하신 주님께 감사드린다.
- 김추산
수필가라는 공통 분모를 가진 일곱 작가가 책을 엮었다. 미니 수필집을 한데 모으니 비 갠 하늘에 걸린 무지개 같다. 일곱 색깔로 조화롭게 간격을 나눠 거대한 띠를 이룬 것만으로도 신비로워 가슴 설레는 무지개. 결이 다른 우리의 이야기도 그런 감동을 선물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먼 이국에서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며 문장과 문장 사이에 눌러 담은 작가의 진심이 전해지고, 공감해 준다면 바랄 게 없겠다. 우리의 소소한 이야기가 읽는이에게 따뜻한 선물이 되길 소망하며 세상으로 보낸다.
- 박인애
글은 살아있는 것이 아닐까, 때때로 생각합니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미세하게 흔들리다 그 자리에 새로운 돌기가 나오고 돌기가 자라나 전혀 새 글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붙박이로 인쇄해 두기가 가끔은 망설여집니다. 그건 사진처럼 찰나를 간직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수필집 한 칸에 제 글을 올렸습니다. 글은 부드러운 숨을 쉬며 나를 다독이고 너의 혼돈이 갈무리되어갈 거라고 위로합니다. 이제 한밤중에 깨어도 이불 속으로 숨지 않습니다. 좋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소망도 품게 되었습니다. 그 고마운 글쓰기를 알리고 싶습니다. 망설이던 한 분이 용기 내 쓰기 시작한다면 부끄러운 내 글도 세상에 나온 보람이 있을 것 같습니다.
- 백경혜
삶 속에서 느끼는 크고 작은 순간들을 글로 옮기는 일이 결코 쉬운 작업은 아니지만, 동시대를 살아가는 독자들과 소통하고자 용기를 내어 수필에 담아 보았습니다. 만남과 선택이 운명을 만들기도 하고, 평화를 깨는 장애물이 지나고 나면 성장의 밑거름이 되기도 하기에 세상은 살 만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글 쓰는 일이 제 삶의 일부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 이지원
종심(從心) 지나 글을 쓰게 되었다. 친정아버님이 시인이셨지만, 나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었다. 하여 오랫동안 생각지도 않았던 글을 쓰려니 아직은 뭔가 어색하고 부담스럽다. 나름대로 보람 있고 성실한 삶을 살아왔기에 딱히 후회되는 일은 없었다. 그러나 작가로 입문하고 보니 늦게 눈뜬 자신을 자주 책망하게 된다. 이렇게 즐겁고 설레는 길을 왜 이제야 걷기 시작했을까. 누군가의 가슴에 남을 수 있는 글을 남기고 싶다. 단 한 문장이어도 좋으니 그럴 수 있었으면 좋겠다. 너무 늦었다고 생각하지 않겠다.
- 전명혜
칠십이 다 되어 글쓰기를 시작했다. 늦깎이가 고희 기념 자전 에세이『LNG와 함께한 山水有情 人間有愛』를 출간한 지도 어느새 다섯 해가 지났다. 평생 엔지니어로 살아온 사람의 딱딱한 글을 촉촉하고 말랑해지도록 지도해 주신 박 선생님과의 인연도 어언 십여 년이 되어간다. 돌이켜보면 모든 게 감사하고 소중하다. 각기 자신이 지나온 삶을 나누고 공감했던 문우들이 있었기에 칠인 칠색의 작품집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어떤 책이 나올지 벌써부터 기대된다. 아직도 문재(文才)가 매우 부족하지만, 더욱 정진하겠다는 각오를 다시 한번 마음에 새겨본다.
- 정만진
처음 나간 성경 공부 모임에서 ‘천국 공주님’이라는 멋진 별명을 선물 받았습니다. 내 작은 심장에서 피워낸 이야기꽃들이 누군가의 마음 밭에 떨어져 넉넉한 열매를 맺는 생명의 꽃으로 다시 피어났으면 좋겠습니다. 부족하지만 읽는이가 행복해지는 글을 낳고 싶습니다. 혹여라도 권태기에 빠져 함부로 멈춰 서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나와 등을 맞대고 살아가는 좋은 인연들 덕분에 오늘까지 넘어지지 않고 서 있을 수 있었습니다. 그분들께 온 마음 다해 사랑을 전합니다.
- 정은희
비에 젖은 바닷바람을 타고 몽돌의 노래가 들려오는 듯했다. 몽돌은 오랜 세월 부대끼며 제 살을 깎고 거친 숨을 가라앉히며 그렇게 둥글어졌을 것이다.
통곡이 노래가 될 때까지.
- 김추산, 「몽돌의 노래」 중에서
사람은 누구나 자기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한다. 자기 이야기를 들어주는 친구가 한 명만 있어도 삭막했던 인생이 살만해진다. 작가는 글로 써서 소통하면 되니 얼마나 좋은가. …(중략)… 편지는 암울하고 힘들었던 젊은 날을 견디게 해 준 힘이었고 위로의 메시지였다. 어딘가에 내 이야기를 들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온통 세상이 밝았다.
- 박인애, 「작가라는 이름으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