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94795544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5-08-21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 5
서문 / 8
제1편 지역복지란 무엇인가
PART 1 지역복지란 무엇인가
chapter 1 지역복지의 구성요소와 지역복지연구의 이론적 검토 틀 / 27
chapter 2 지역복지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위치와 중층적 권역 및 복지 접근성 / 41
chapter 3 지역포괄케어와 사회복지법인의 지역사회공헌 / 49
chapter 4 지역복지의 주체 형성과 자원봉사론 및 복지교육론 / 63
chapter 5 지역복지계획의 구성과 수립 방법 / 77
PART 2 지역에서의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ICF의 관점에 근거한 케어메니지먼트와 복지기기를 활용한 소셜케어
chapter 6 인간의 존엄과 행복 추구권을 토대로 한 ‘돌봄관’의 창조 / 93
chapter 7 개별 케어를 기반으로 한 ‘유니트케어’의 발상·철학과 어세스먼트의 중요성 / 101
chapter 8 ICF의 관점 / 109
마지막으로 / 217
PART 3 지역복지의 이념을 구체화하는 방법론 : 커뮤니티 소셜워크
chapter 13 지역복지 방법론으로써의 커뮤니티 오가니제이션 이념과 변천 / 133
chapter 14 지역 만들기 방법론으로써의 지역조직화와 복지조직화 /143
chapter 15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 번째 단락’으로서의 ‘지역공생사회실현정책’ / 149
chapter 16 지역공생사회실현에는 주민과 행정의 협력이 불가결 / 159
chapter 17 개정 사회복지법에서 ‘지역생활과제’와 ‘사회생활모델’에 근거한 지원 / 169
chapter 18 고령자, 지역 이주 장애인 등 독거 생활자의 증대와 생활자의 주체성을 보호하는 의사 확인과 의사 결정 지원 / 185
chapter 19 사회생활에서 상처받기 쉬운, 취약성이 있는 사람과 아웃리치의 필요성 / 191
chapter 20 커뮤니티 소셜워크의 기능과 전개 시스템 / 197
chapter 9 자립생활지원의 개념과 ICF에 근거한 복지기기의 활용 / 113
chapter 10 자립생활지원의 개념과 소셜워크 실천 / 119
chapter 11 자립생활지원에서 복지기기의 위치와 향후 과제 / 123
chapter 12 ICF의 관점에서 복지기기를 활용한 개별 케어와 ‘케어의 과학화’ / 127
제2편 보론(補論)
PART 1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사회사업에서 ‘교육’의 위치
서론 / 228
chapter 1 메이지 시기(1868~1912)의 부국강병정책과 풍화행정 / 233
chapter 2 사회사업의 과학화와 오가와 시게지로 / 247
chapter 3 ‘사회문제의 교육적 고찰’과 구제 / 255
chapter 4 전환기 사회사업의 교육관 / 277
PART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지역복지의 실천 계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위치
chapter 5 지역복지와 사회복지협의회의 활동 목적 / 291
chapter 6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지역복지 실천의 유산 / 295
chapter 7 사회복지사업법으로 보는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유산과 인보관의 위치 / 309
chapter 8 대도시 및 도쿄에서의 사회복지협의회 활동의 위치와 향후 과제 / 315
PART 3 복지교육의 이념과 실천적 관점
chapter 9 복지교육의 필요성과 아동·청소년의 발달 / 323
chapter 10 복지교육의 이념과 구조 / 341
역자 후기 /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