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인을 위한 언약신학

현대인을 위한 언약신학

피터 골딩 (지은이), 박동근 (옮긴이)
그나라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인을 위한 언약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인을 위한 언약신학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5286614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15-03-13

목차

추천사 5
역자서문 10
저자서문 17
서론 21

1장 언약신학의 기원 ― 교회 역사의 기원 27
1. 종교개혁 이전 저작들 교부들 27
2. 16세기 종교개혁자들 30
a.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vs. 종교개혁자들
b. 울리히 쯔빙글리
c. 하인리히 불링거
d. 존 칼빈
3. 독일의 종교개혁자들 50
a.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
b. 캐스퍼 올레비아누스
4. 영국의 종교개혁자들 57
a. 윌리엄 틴데일
b. 존 브레드포드
c. 제네바 성경
d. 로버트 롤록
e. 추기: 언약 신학의 기원은 칼빈주의와 개혁주의에 있는가 혹은 멜랑히톤주의와 루터주의에 있는가

2장 계속된 발전과 17세기 동안의 체계화 ― 언약 신학의 황금기 87
1. 요하네스 코케이우스 87
2. 영국 청교도 92
3. 스코틀랜드 언약신학 100
4.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06
5. 헤르만 윗시우스 111
추기 : 언약에 대한 청교도 가르침에 대한 밀러의 비평 116

3장 언약 개념의 현대적 이해 125
1. 고대 사회의 언약들 126
2. 언약에 대한 성경적 용어와 용례 133
3. 디다케 147

4장 언약의 의미 - 세 가지 관점들 153
1. 상호 언약으로서의 의미 153
2. 하나님의 하사로서의 의미 158
3. 유언적 성격으로서의 의미 171

5장 행위언약 187
1. 행위언약 개념에 대한 비평 188
a. 좀 더 자유주의적인 진영으로부터의 비평
b. 보수진영으로부터의 행위언약 개념에 대한 비평
1) 헤르만 후크마 ∥ 2) 존 머레이
2. 개념의 계보 196
추기 : 칼빈 신학에 행위언약이 존재하는가? 200
3. 행위언약 개념의 정당성 203
4. 행위언약 개념에 대한 긍정적 견해 211

6장 은혜언약 217
1. 은혜언약의 필연성과 성격
2. 은혜언약에 관한 역사 신학

7장 성경에서의 은혜언약의 발전 : 성경 신학과 개혁 신학 연구 259
1. 서론적 진술 259
2. 언약의 연속된 세대들과 그 관계 268
부록 1 : 모세 언약에 대한 개혁신학의 해석 296
부록 2 : 이스라엘 안에 언약 공동체 314

8장 언약신학 - 결론적 관점들과 반영들 319
1. 최근의 연구들 : 평가 319
a. 존 머레이 ∥ b. 메리디스 클라인 ∥ c. 토마스 에드워드 맥코미스키
d. 윌리엄 덤브렐 ∥ e. 팔머 로벗슨
2. 언약신학: 그것의 변하지 않는 가치와 현대의 적절성 333
참고문헌 350

저자소개

피터 골딩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3년에 잉글랜드 ‘켄트 주의 사람’으로 태어난 피터 골딩은 1953년 웨스트민스터 채플에서 마틴 로이드 존스의 설교를 듣고 회심하였다. 이후 런던 바이블 칼리지에서 기독교 사역을 위한 준비를 하고 1968년부터 1998년까지 헤이즈 타운(Hayes Town) 회중 교회에서 목회하였다. 골딩 박사는 언약신학에 관한 논문으로 그리니치 신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 다. 1984년 이후에 런던 신학교에서 운영위원회에서 봉사하였다. 힐러리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둔 그는 북 서머셋에 살고있으며, 설교와 저술에 관여하고 있다.
펼치기
박동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학사(B.A.), 동 대학교 목회학 석사(M. Div.) 과정을 마친 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신학 석사(Th. M.) 과정을 마치고, 동 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조직신학으로 철학박사 학위(Ph. D.)를 받았다. 그는 박사 논문을 통해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을 주장한 톰 라이트(N. T. Wright)의 칭의론을 개혁주의 언약신학적 관점에서 비판하였다(은혜 언약의 조건성: N. T. 라이트의 칭의론 비평; The Covenant of Grace and the Conditionality: Critics on N. T. Wright's Justification). 그는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몇 년간 몇몇 신학대학원과 신학교에서 강사로 강의하였고, "목회를 위한 신학, 신학이 있는 목회"를 실천하고자 2015년 1월 11일 안양 관양동에 "한길교회"(대한예수교장로회, 합신)를 개척하여 목회에 전념하고 있다. 저서 『칭의의 복음: N. T. 라이트의 칭의론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 『언약과 구원: 오직 믿음과 순종의 입맞춤』, 『올인원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등 다수 역서 Peter Golding, 『현대인을 위한 언약신학: 개혁주의 사상과 전통의 흐름에서 본 신학의 열쇠』, Louis Berkhof, 『자유주의 강연: "만일에 [모든 진리의] 기초가 파괴된다면"』 등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추천사 중에서

…일군의 개혁자들이 성경을 언약을 중심으로 읽고 정리하여 이른바 “언약신학”(covenant theology)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래서 오래 전부터 개혁신학은 언약신학이라고 해왔던 것입니다. 성경에 충실한 사람들은 항상 이런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원했고, 그런 이해를 잘 진전시켜 왔습니다. 특히 개혁신학을 하시는 분들은 언약신학을 잘 정리하기 원했습니다. 게르할더스 보스가 그런 정리 작업을 하기도 했고, 머레이도 그런 작업을 하였으나 이 책은 상당히 폭 넓게 언약신학을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하고 있습니다. 많은 개혁신학자들은 이런 책과 같은 정리를 자신들이 했으면 하고 바랄 터인데, 피터 골딩 목사님께서 성실하게 나름의 정리를 해 주신 것입니다.
그 정리가 고전적 개혁신학, 고전적 언약신학에 매우 충실하다는 점에서 우리는 이 책을 귀하게 여기게 됩니다. 오늘날에 그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나아가려는 시도에 반(反)해서 행위언약을 아주 분명히 하고 그 내용을 잘 제시해 주신 것에 대해서 우리는 감사해야 합니다. 또한 1981년에 나온 릴백 교수의 논문에 동의하면서 칼빈의 생각에도 이런 개념이 있음을 잘 드러내주신 것도 귀한 일입니다. 또한 은혜언약의 은혜 언약으로서의 성질을 잘 드러내어 주신 것에 대해서도 감사해야 합니다. 벌코프의 논의를 따르면서 창세기 3:15부터 시작되는 은혜 언약의 진전(아담적 언약, 노아 언약, 아브라함 언약, 다윗 언약, 새 언약의 약속, 새 언약의 실현)을 잘 드러내어 준 것에 대해서도 감사해야 합니다. 이를 더 발전시키는 것이 언약신학을 하려는 우리들의 책임임을 의식하면서 말입니다. 요하네스 코케이우스(1603-69)의 하나님의 언약과 약속에 대한 교리 요해(1648) 이전에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언약에 대한 정리가 제시되었음(1645)을 드러내면서 흔히 코케이우스가 언약신학의 아버지라고 하는 일반적 논의를 잘 논박한 것도 큰 기여의 하나입니다. 머레이, 클라인, 맥코미스키, 덤브렐, 팔머 로벗슨 등의 근자의 논의를 정리한 것도 좀 더 확대 되어야 하지만 좋은 기여입니다.


역자서문 중에서

피터 골딩의 저서는 언약신학이라는 숲의 윤곽을 파악하고 생소한 언약신학에 입문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친절한 안내서가 되리라 믿는다. 그의 저서는 역사신학, 성경신학, 조직신학을 망라하여 언약신학에 종합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언약신학과 관련해 그 기원으로부터 언약신학이 체계화되던 16-17세기의 여정 그리고 이와 관련된 현대의 논쟁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시대를 총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언약신학에서 발생한 여러 논쟁들과 이슈들이 탁월하게 간결하면서도 정확하게 이 책 안에 총망라 되어있다. 역자는 특별히 칭의와 성화의 관계에 있어, 언약의 조건성(conditionality)이란 이슈가 이 책 속에서 매우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 성경의 타깃으로서 은혜언약 안에 두 가지 중심 주제 칭의와 성화의 관계, 곧 언약의 조건성 문제가 이 책에서 몹시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고무적이다.


1장 언약신학의 기원 중에서

칼빈에게, 언약 개념은 구원 역사에 있어 열쇠이다. 불트만(Bultmann)과 같은 현대 신학자들은, 성경 계시가 토대를 두는 역사적 정황을 상대적으로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치부하는 반면 칼빈은, 하나님의 언약이 실재하는 시공의 역사 안에서 실제 백성들과 맺어졌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칼빈이 언약 신학에 끼친 가장 큰 기여는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약속(commitment)으로서 언약의 본질에 대한 그의 해설 안에 있다.” 칼빈은 언약을 다룰 때,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언약신학은, 율법의 심판 사역에 반대되는 은혜언약이었다. 그는, 성경에서 인간과 언약 관계가 수립될 때, 그 시초를 점하는 분이 하나님이시라는 것을 매우 명확히 인식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