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5286614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15-03-13
목차
추천사 5
역자서문 10
저자서문 17
서론 21
1장 언약신학의 기원 ― 교회 역사의 기원 27
1. 종교개혁 이전 저작들 교부들 27
2. 16세기 종교개혁자들 30
a.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vs. 종교개혁자들
b. 울리히 쯔빙글리
c. 하인리히 불링거
d. 존 칼빈
3. 독일의 종교개혁자들 50
a.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
b. 캐스퍼 올레비아누스
4. 영국의 종교개혁자들 57
a. 윌리엄 틴데일
b. 존 브레드포드
c. 제네바 성경
d. 로버트 롤록
e. 추기: 언약 신학의 기원은 칼빈주의와 개혁주의에 있는가 혹은 멜랑히톤주의와 루터주의에 있는가
2장 계속된 발전과 17세기 동안의 체계화 ― 언약 신학의 황금기 87
1. 요하네스 코케이우스 87
2. 영국 청교도 92
3. 스코틀랜드 언약신학 100
4.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06
5. 헤르만 윗시우스 111
추기 : 언약에 대한 청교도 가르침에 대한 밀러의 비평 116
3장 언약 개념의 현대적 이해 125
1. 고대 사회의 언약들 126
2. 언약에 대한 성경적 용어와 용례 133
3. 디다케 147
4장 언약의 의미 - 세 가지 관점들 153
1. 상호 언약으로서의 의미 153
2. 하나님의 하사로서의 의미 158
3. 유언적 성격으로서의 의미 171
5장 행위언약 187
1. 행위언약 개념에 대한 비평 188
a. 좀 더 자유주의적인 진영으로부터의 비평
b. 보수진영으로부터의 행위언약 개념에 대한 비평
1) 헤르만 후크마 ∥ 2) 존 머레이
2. 개념의 계보 196
추기 : 칼빈 신학에 행위언약이 존재하는가? 200
3. 행위언약 개념의 정당성 203
4. 행위언약 개념에 대한 긍정적 견해 211
6장 은혜언약 217
1. 은혜언약의 필연성과 성격
2. 은혜언약에 관한 역사 신학
7장 성경에서의 은혜언약의 발전 : 성경 신학과 개혁 신학 연구 259
1. 서론적 진술 259
2. 언약의 연속된 세대들과 그 관계 268
부록 1 : 모세 언약에 대한 개혁신학의 해석 296
부록 2 : 이스라엘 안에 언약 공동체 314
8장 언약신학 - 결론적 관점들과 반영들 319
1. 최근의 연구들 : 평가 319
a. 존 머레이 ∥ b. 메리디스 클라인 ∥ c. 토마스 에드워드 맥코미스키
d. 윌리엄 덤브렐 ∥ e. 팔머 로벗슨
2. 언약신학: 그것의 변하지 않는 가치와 현대의 적절성 333
참고문헌 350
책속에서
추천사 중에서
…일군의 개혁자들이 성경을 언약을 중심으로 읽고 정리하여 이른바 “언약신학”(covenant theology)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래서 오래 전부터 개혁신학은 언약신학이라고 해왔던 것입니다. 성경에 충실한 사람들은 항상 이런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원했고, 그런 이해를 잘 진전시켜 왔습니다. 특히 개혁신학을 하시는 분들은 언약신학을 잘 정리하기 원했습니다. 게르할더스 보스가 그런 정리 작업을 하기도 했고, 머레이도 그런 작업을 하였으나 이 책은 상당히 폭 넓게 언약신학을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하고 있습니다. 많은 개혁신학자들은 이런 책과 같은 정리를 자신들이 했으면 하고 바랄 터인데, 피터 골딩 목사님께서 성실하게 나름의 정리를 해 주신 것입니다.
그 정리가 고전적 개혁신학, 고전적 언약신학에 매우 충실하다는 점에서 우리는 이 책을 귀하게 여기게 됩니다. 오늘날에 그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나아가려는 시도에 반(反)해서 행위언약을 아주 분명히 하고 그 내용을 잘 제시해 주신 것에 대해서 우리는 감사해야 합니다. 또한 1981년에 나온 릴백 교수의 논문에 동의하면서 칼빈의 생각에도 이런 개념이 있음을 잘 드러내주신 것도 귀한 일입니다. 또한 은혜언약의 은혜 언약으로서의 성질을 잘 드러내어 주신 것에 대해서도 감사해야 합니다. 벌코프의 논의를 따르면서 창세기 3:15부터 시작되는 은혜 언약의 진전(아담적 언약, 노아 언약, 아브라함 언약, 다윗 언약, 새 언약의 약속, 새 언약의 실현)을 잘 드러내어 준 것에 대해서도 감사해야 합니다. 이를 더 발전시키는 것이 언약신학을 하려는 우리들의 책임임을 의식하면서 말입니다. 요하네스 코케이우스(1603-69)의 하나님의 언약과 약속에 대한 교리 요해(1648) 이전에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언약에 대한 정리가 제시되었음(1645)을 드러내면서 흔히 코케이우스가 언약신학의 아버지라고 하는 일반적 논의를 잘 논박한 것도 큰 기여의 하나입니다. 머레이, 클라인, 맥코미스키, 덤브렐, 팔머 로벗슨 등의 근자의 논의를 정리한 것도 좀 더 확대 되어야 하지만 좋은 기여입니다.
역자서문 중에서
피터 골딩의 저서는 언약신학이라는 숲의 윤곽을 파악하고 생소한 언약신학에 입문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친절한 안내서가 되리라 믿는다. 그의 저서는 역사신학, 성경신학, 조직신학을 망라하여 언약신학에 종합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언약신학과 관련해 그 기원으로부터 언약신학이 체계화되던 16-17세기의 여정 그리고 이와 관련된 현대의 논쟁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시대를 총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언약신학에서 발생한 여러 논쟁들과 이슈들이 탁월하게 간결하면서도 정확하게 이 책 안에 총망라 되어있다. 역자는 특별히 칭의와 성화의 관계에 있어, 언약의 조건성(conditionality)이란 이슈가 이 책 속에서 매우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 성경의 타깃으로서 은혜언약 안에 두 가지 중심 주제 칭의와 성화의 관계, 곧 언약의 조건성 문제가 이 책에서 몹시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고무적이다.
1장 언약신학의 기원 중에서
칼빈에게, 언약 개념은 구원 역사에 있어 열쇠이다. 불트만(Bultmann)과 같은 현대 신학자들은, 성경 계시가 토대를 두는 역사적 정황을 상대적으로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치부하는 반면 칼빈은, 하나님의 언약이 실재하는 시공의 역사 안에서 실제 백성들과 맺어졌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칼빈이 언약 신학에 끼친 가장 큰 기여는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약속(commitment)으로서 언약의 본질에 대한 그의 해설 안에 있다.” 칼빈은 언약을 다룰 때,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언약신학은, 율법의 심판 사역에 반대되는 은혜언약이었다. 그는, 성경에서 인간과 언약 관계가 수립될 때, 그 시초를 점하는 분이 하나님이시라는 것을 매우 명확히 인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