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상고사
· ISBN : 9791195326495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5-09-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장 고조선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
1. 고조선 연구의 필요성
2. 고조선 관계 사료
3. 고조선 연구의 방법
제1편 고조선 연구 총론
제1장 고대 조선의 지리와 개념
Ⅰ. 고대 문헌에 보이는 조선
Ⅱ. 고조선이라는 명칭의 개념
제2장 고조선의 건국과 민족 형성
Ⅰ. 사회진화상의 고조선 위치
Ⅱ. 한민족의 형성과 출현
제3장 고조선의 강역과 국경
Ⅰ. 고조선의 서쪽 경계
Ⅱ. 고조선시대의 패수
Ⅲ. 고조선의 남북 국경
제4장 고조선의 연대와 중심지
Ⅰ. 고조선의 연대 문제
Ⅱ. 고조선의 중심지 변천
제5장 위만조선?한사군?창해군
Ⅰ. 위만조선과 한사군의 위치
Ⅱ. 창해군의 위치와 성격
한국사 연대 도표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고조선은 원래 단군조선(壇君朝鮮)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런데 일부 학자들은 단군조선의 존재를 부인하고 기자조선을 고조선이라 부르는가 하면, 중국의 이주민과 토착세력이 연합하여 어떤 나라를 세웠을 것으로 가정하고 그것을 고조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단군조선의 존재를 인정하는 학자들까지도 단군조선과 위만조선(衛滿朝鮮), 한사군(漢四郡)을 합해 고조선이라 부름으로써 고조선이라는 용어는 그 의미가 선명하지 못하게 사용되고 있다. …… 어떤 이유로도 역사가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 고조선의 역사가 가볍게 취급되어서도 안 된다. 만약 고조선의 역사가 왜곡되거나 가볍게 다루어진다면 지난날 한민족의 민족의식을 말살하기 위해 고조선의 실체를 부인하고 한국사를 왜곡했던 일제의 교육 정책과 똑같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다. - 머리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