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95454570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15-04-20
목차
간행사(강보유)
축시(유은종)
한국어 어휘체계에 대한 연구(강은국)
제1부 일반언어학 연구
共時的 언어기술과 通時性의 몇 문제(송철의)
語彙意味의 홀론(holon)的 意味屬性 硏究(최상진)
북한 「조선말규범집」의 2010년 개정과 그 의미(최호철)
朝鮮時代 漢文·吏讀文·諺文의 位相과 相互間 飜譯에 관한 몇 考察(이현희)
‘구결’에 반영된 한문 이해와 번역 관련 연구(김영수)
디지털 언어 소통 시대와 화법(임칠성)
중국 조선족 사회의 의사소통 방식(강보유)
중국조선족 사회의 어휘변화 고찰(김광수)
제2부 한국어 어휘.문법 연구
양보의 ‘-어도’와 대립의 ‘-어도’(윤평현)
남북한 언어의 문법범주 대조와 표준화(권재일)
한국어 동작이나 사건의 횟수를 세는 동작단위사에 대하여(채옥자)
한국어 담화문의 생략현상에 대한 화용론적 연구(김경숙)
의존명사 ‘것’의 대용적 기능에 대하여(여춘연·장문강)
범주의 극한성과 체언 뒤 보조적 동사 범주의 재정립(조신건·마회하)
연변지역어의 종결어미 ‘-재’에 대한 일고찰(오선화)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명사구 접근성 계층(NPAH) 논의(최혜령)
중국조선어의 어휘적 특성 형성배경에 대하여(강용택)
‘안깐’과 ‘나그내’의 어원적 고찰과 그에 대한 의미 평가(김철준)
한국어 감각형용사의 낱말 형성 과정 및 제약(곽일성)
제3부 언어 대조.대비 연구
동아시아 3국의 문화접촉과 문자변이의 특징(태평무)
한중 언어대비연구 논평(최웅권)
중한 언어 대조의 시각과 방법론에 대하여(김기석)
한중 목적어 구문의 어순대조(김충실)
한국어 [얼굴]과 중국어 [?]의 의미 확장 비교 연구(민영란)
문체론연구에서 보이는 남북한 차이(강영)
중·한 동형 어휘 의미 차이 원인에 대한 고찰(유적)
제4부 한국어 교육 연구
한국의 이해 - 한국적 다문화 사회의 형성과 대책을 중심으로(박창원)
한국어교육의 성장 전략과 문화(이삼형)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연구와 비교문학(윤여탁)
한국어 경어법 교육 방안 연구(문영자)
비교문화적 화용론과 한국어 교육(이해영)
중국 유학생의 한국 대학 생활 적응 결정 요인 분석(김중섭·최재수)
구어 문법 기반 한국어 듣기 교재의 지향성 論議(최정순)
한국어교육에서의 사자성어에 대하여(유춘희)
중국 한국어학과에서의 한국문학 교육내용 및 교육방식 고찰(윤윤진)
화용론 시각에서 본 한국 문학작품 분석과 교육 방법 연구(황현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오류란 무엇인가?(전영근·양건령)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2인칭 대명사 화용적 의미의 대조 분석(왕 단)
후기(강은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