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연극인/연극이야기
· ISBN : 9791195567935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5-08-15
책 소개
목차
추 천 사 - 무대미술을 독창적 예술로 끌어올린 독보적 명장
발 간 사 - ‘어른’이 거의 전무한 시대,
진솔하고 향기롭게 살아온 여성 원로들의 이야기
프롤로그 - 자신의 목소리로 자기만의 세계를 일군 진짜 어른을 만나고 싶었다
1장 만석꾼의 손녀, 10남매의 장녀
만석꾼 집안의 작고 사랑스런 보물
영천 이씨 만석꾼 집안의 내력
꿈 많은 도시 큰애기씨의 유년시절
1930년대 서울 관수동 이야기 | 북촌 교동소학교라는 상류사회
자유, 사랑, 아름다운 소녀가 키운 꿈
저거 어디다 치워먹겠느냐 | 대가족을 이끈 사업가 그리고 아버지, 이홍 선생
백지동맹, 반에서 유일하게 백지를 낸 학생 |일제 말기 창씨개명을 거부한 양반 가문
그래도 청춘, 수학여행에서 꽃핀 한여름의 첫사랑
영천 이씨 집안의 장녀로 살아간다는 것
장녀의 책임과 그리운 아버지를 위한 술상 | 첫사랑 남자친구의 뜻밖의 결혼 소식
순수한 감성을 키운 아름답고 따뜻한 영천 집 | 시집, 시집, 시집 규수 노릇하기
2장 여성의 몸으로 살아낸 대한민국 근현대사
예고도 없이 찾아온 해방 그리고
하루아침에 바뀐 세상에서 | ‘여자도 배워야 된다’ 할머니의 뒷받침
청춘은 눈부시게 빨리 지나간다
소리 소문 없이 번지는 좌익 세력 | 단짝친구 조갑주와 최규하 전 대통령과의 만남
10.1 사건 이후 영천을 영원히 떠나다
연극? 부잣집 딸내미가 호강에 받쳐가지고 | 연극보다 더 극적인 첫사랑의 인연
동족상잔의 비극, 6.25의 시작
끝까지 서울에서 가족과 함께 남은 아버지 | 서울시인민위원회 직원,
그리고 아 버지의 마지막 | 전쟁의 비극, 집도 가족도 모든 것이 무너지다
수복과 부역, 현대사의 굴곡을 살아가다
목숨을 건 필사의 탈주 | 졸지에 사형수가 되다 |
즉결처분 전날, ‘죽기에는 나이가 아깝네요.’ | 목숨을 건 도망자로 살다
서울수복, 그러나 또 다른 비극의 서막
명색이 양반인데, 죽어도 못 먹는다 | 1.4후퇴, 집안에서도 빨갱이로 몰리다 |
도망자의 족쇄를 벗어버리다 | 운명을 뒤바꾼 부산 피난생활의 시작
3장 예술가 부부의 고단한 삶
대구에서 만난 재미있는 화가
만날 수밖에 없는 인연 | 흑인 신사 켈리와의 아름다운 우정 |
피난지에서 치른 이색적인 결혼식
초량동 시집에서 신혼살림
대신동의 고급 주택, 켈리의 결혼 선물 |
군고구마 한 알로 사느냐 헤어지느냐의 갈림길에 서다
부산진 피엑스에서의 직장 생활
재산 형성의 계기가 된 광복동 피엑스 근무 | 부산에서 첫 아이를 출산하다 |
악착같은 부산 또순이
드디어 다시 서울로
약수동에 밀크홀을 열다 | 장충동 벽돌집과 프랑스 유학의 꿈
단 둘이 떠난 프랑스 유학 생활
가난한 유학생 부부의 고단함 | 중도에 서울로 돌아오다
4장. 걸었던 모든 길이 처음이었던 예술가
네오 의상실에서 만난 세상
충무로 네오 의상실 시대의 시작 | 파리에서 배운 장인의 손바느질 |
파격에 파격 네오 컬렉션 패션쇼
대사님, 당신이 사는 것처럼 해주세요
화가 권옥연의 부산 첫 전시회를 기억하며 |예술가 이병복을 잉태한 광희동 |
늦둥이 효자 복덩이를 보다
무대예술의 시작, 극단 자유와 카페 떼아뜨르
극단 자유, 나의 자유를 찾아서 | 소극장 카페 떼아뜨르를 만들다 |
카페 떼아뜨르 개관을 위한 진정서 | 극단 자유와 카페 떼아뜨르를 지키며 |
카페 떼아뜨르를 닫다
5장. 무대미술의 길을 열다
이름도 생소한 무대미술
무대미술가 이병복의 세계 | 무대미술을 예술적 차원으로 승화시키다
무대미술가협회 회장이 되다
한국 연극, 국제무대를 흔들다 |무대미술가협회장 이병복의 업적
40년을 지켜온 극단 자유를 해체하며
6장. 아내, 그리고 엄마 이병복
예술가의 아내 이병복식 내조
남편 도움 없이 꾸린 경제적 자립 | 따로, 또 같이 예술가 부부가 사는 법
그 무엇보다 소중한 어머니로서의 삶
장남 권태진을 보내며 | 장녀 권이나의 성장과 지병 | 차남 권유진의 성장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이야기
한평생을 함께한 시어머니
권옥연 화가의 아내로 살다
7장. 3막 3장, 무의자 박물관에서 새로운 미래를 만들며
남양주 금곡 무의자 박물관 건립
전통가옥, 기와, 팔각정을 구입하다 | 금곡에 전통 한옥마을을 조성한 이유 |
무의자 박물관을 건립하다 | 무의자 박물관에서 올린 첫 작품 [왕자 호동]
생생 문화제와 이병복 없다
누구를 위한 문화재인가 | 아주 특별한 헤어짐, [이병복 없다]
3막 3장, 언론에 비친 연극인 이병복
이병복 여사 소장 자료 2470여 점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에 수증 _뉴시스
“아이고, 염치없어라. 젊은 사람이 받아야지 이 무슨… 그저 송구할 뿐입니다” _조선일보
에필로그-후배들에게 바라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