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태평양전쟁과 고고학

태평양전쟁과 고고학

사카즈메 히데이 (지은이), 이기성 (옮긴이)
생각과종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태평양전쟁과 고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태평양전쟁과 고고학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91195597772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1-06-08

책 소개

‘공백의 시간’처럼 다루어지는 태평양전쟁 시기에 일본열도의 안과 밖에서 이루어진 일본 고고학계의 활동과 그 과정을 소상히 보여줌으로써 격동의 시대를 겪은 일본 고고학계의 전모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한국 고고학사 태동을 살펴볼 수 있는 책.

목차

수년간 침체되었던 고고학

1부 관과 민간의 고고학

‘외지’를 지향한 관의 고고학 / 12
민간 고고학의 발흥 / 35

2부 “대동아공영권”의 고고학
일본 고고학사의 결락 / 78
서쪽으로 ? 한반도 / 82
더 서쪽으로 ? ‘만주국’ / 103
그리고 서남쪽으로 ? 중국 대륙과 ‘타이완’ / 124
남쪽으로 ? ‘남양’과 그 주변 / 137
북쪽으로 ? 사할린 / 151
파도 끝의 고고학 ? 브라질 이민과 고고학 / 156

3부 건국의 고고학
건국의 사적과 고고학 / 164
일본고대문화학회의 탄생과 활동 / 173
고고학자와 ‘일본 정신’ / 193

참고문헌 / 202
후기 / 205
찾아보기 / 210

저자소개

사카즈메 히데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6년 도쿄에서 출생했다. 1960년 릿쇼 대학 대학원立正大?大?院 문학연구과(국사학 전공) 석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릿쇼 대학 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고대학협회古代?協? 전무이사를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역사고고학의 구상과 전개歷史考古?の構想と展開』, 『역사고고학의 시각과 실천歷史考古?の視角と??』, 『일본 고고학의 조류日本考古?の潮流』, 『독서의 고고학?書の考古?』 등이 있다.
펼치기
이기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일본 리츠메이칸 대학 대학원立命館大?大?院 문학연구과에서 고고학을 전공했고, 현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융합고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 『거대한 고분에 새겨진 고대인들의 죽음에 관한 관념』(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일본 고고학사에서 이 시기는 마치 ‘공백의 시간’처럼 다루어져왔다. 하지만 ‘내지’에서도 ‘외지’에서도 각각 고고학의 움직임은 있었다. (…) 나는 ‘외지’의 ‘식민지’ 고고학, ‘내지’의 ‘건국’의 고고학에 관해 이쯤에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 후기


“우리나라의 현재 외교 방침은 이 황도皇道의 대정신大精神에 따라 우선 일본, 만주, 중국을 그 일환으로 하는 대동아공영권의 확립에 노력하는 것이다”라고 말한 마쓰오카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은 이후 일본의 진로를 결정짓는다. 그 ‘대동아공영권’의 형성, 전개와 붕괴는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15년 전쟁’과 오버랩된다.


메이지시대부터 다이쇼시대 그리고 쇼와시대에 수행된 일본의 ‘외지’ 고고학은 바로 ‘식민지’ 고고학 그 자체로, 영국이 인도에서 수행한 결과에 비견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메이지 43년(1910) 8월 22일의 ‘병합’ 이후, 다이쇼시대를 거쳐 쇼와시대 전반까지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식민지’ 지배하의 고고학 연구 실태는 그 전형이라고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동아고고학’으로 범칭되는 분야는 ‘동아신질서’와 ‘대동아공영권’ 구상과 함께 진전되었다. ‘대동아공영권’의 고고학은 국책?策 그 자체로 ‘식민지’에서 웅비했던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