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91195622221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9-03-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무엇이 은둔의 나라 조선을 21세기 초일류국가로 바꾸었는가?
01 복음, 한글 옷을 입고 찾아오다
조선 후기, 한글이 빛을 보다 / 귀츨라프 선교사에 의해 한문 성경이 전해지다 / 복음이 들어오기 전, 주체성 없던 조선 왕실 / 복음과 민중, 그리고 한글 번역 / 한국을 사랑하고 한글을 자랑한 게일 선교사 / 한글을 지킨 조선의 기독인들
02 복음, 500년 묵은 백정 차별제도를 철폐하다
백정, 가장 차별받는 사람들 / 백정 박성춘의 유일한 꿈, ‘자식의 출세’ / 박성춘, 무어 ·에비슨 선교사를 만나다 / 복음이 박성춘을 통째로 바꿔놓다 / 백정 아들, 세브란스 최초의 의사가 되다 / 복음으로 시작된 ‘차별 철폐’, 전국으로 번지다
03 복음, 조선 여성을 해방시키다
선교사들의 눈에 비친 조선 / 조선에서 여성은? / 선교사들, 축첩제도에 메스를 들이대다 / 최초의 여성 의사이자 최초의 여성 과학자 ‘김점동’/ 김세지, 여성 사회참여의 길을 열다 / 기독교 평등사상이 여성 차별 풍습을 철폐하다
04 누가 나환자의 손을 잡아 줄까?
문둥병, 나병, 천포창으로 불리는 ‘한센병’ / 나환자 병원, 전쟁고아 진료 … 호주 선교사들의 대를 이은 한국사랑 / 나환자를 위한 헌신, 여수 애양원의 씨앗이 되다/나환자를 인격적으로 대하다 / 애양원, 한센인들의 생활공동체가 되다
05 서양 의술, 조선을 치료하다
갑신정변, 서양 의술에 눈뜨게 하다 / 최초의 병원 제중원 개원하다 / 제중원, 세브란스로 새출발하다 / 세브란스 병원과 3·1운동 / 정동병원(시병원), 민중들의 희망이 되다 / 한강 이남 최초의 의사 마티 잉골드, 예수병원을 설립하다 / 제중원과 시병원, 치료를 통해 조선을 혁신하다
06 선교사, 결핵 퇴치에 앞장서다
암보다 무서운 병, 결핵 / 결핵 퇴치 위해 생명을 건 셔우드 홀 선교사 일가 / 심각한 북한의 결핵 / 유진벨재단 이사장 스테판 린턴 / 4대에 걸친 끝없는 선교와 봉사활동을 한 ‘유진 벨 선교사와 린턴 가문’
07 조선을 불 밝힌 언론
조선 후기에 제대로 된 언론이 있었다면? / 출판, 근대화에 초석을 놓은 올링거 선교사 /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헐버트, 출판과 언론을 통한 국민계몽과 독립운동을 펼치다 / 독립신문과 출판에 공헌한 헐버트 선교사 / 베델, “내가 한국을 위해 싸운 것은 하나님의 소명” /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 땅에 묻히기를 원하노라”
08 미션스쿨, 근대교육의 서광을 비추다
최초의 서양식 근대 학교, 배재학당을 세우다 / 민주주의 산 교육장, 배재학당 / 여성 해 당의 마중물, 이화학당 / 기독교 배척운동과 영아 소동 /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 고 / 이 땅에 자유·사랑·평화의 여성 교육이 열매를 맺다 / 고아들을 위한 학교, 언더우 드 학당을 세우다 / 겨레의 스승을 배출하다 / 확산되는 미션스쿨 / 한국 최초의 신학교, 평양 장로회신학교
09 공주 영명학교, 독립운동의 산실이 되다
로버트 샤프 선교사, 젊음을 이 땅에 묻다 / 유관순을 양녀로 삼아 독립투사로 양육한 앨리스 샤프 선교사 / 영명학교가 배출한 독립운동 영웅들 / 한국을 잊지 못한 선교 사, 프랭크 윌리엄스 / 대한민국 건국의 메신저, 조지 윌리엄스
10 선교사를 통해 감자와 과일이 들어오다
귀츨라프 선교사를 통해 들어온 감자 / 선교사를 통해 사과가 이땅에 들어오다 / 의 료선교사(마티 잉골드)를 통해 들어온 딸기 재배법 / 언더우드의 노력
에필로그 - 대한민국은 하나님께서 쓰시려고 빚으신 절묘한 작품입니다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글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폭발적인 확산은 아이러니하게도 서양 선교사들로부터 시작됐습니다.
선교사를 통해 전해진 복음은 이 땅의 가장 낮고 어두운 곳에 처해 있던 백정들에게도 전해졌고, 복음으로 무장된 그들은 500년간 꿈쩍도 않던 조선 사회를 흔들어 깨우는 엄청난 나팔수가 되었던 것입니다. 복음 전파로 인해 암울했던 조선에 새 날의 여명이 서서히 밝아오고 있었던 것입니다.
복음은 여성들이 마땅히 누려야할 권리를 되찾게 해주었습니다. 여성의 곡소리가 줄어든 만큼 우리 사회는 본연의 자리로 돌아간 것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