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95632459
· 쪽수 : 490쪽
· 출판일 : 2017-01-01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시리즈 서문
감사의 글
일러두기
선별된 약어표
레위기
선별된 참고 문헌
레위기 서론
I. 제사에 대한 율법(1:1-7:38)
A. 백성을 위한 제사 규례(1:1-6:7[5:26])
B. 제사장을 위한 제사 지침(6:8[6:1]-7:38)
II. 성막에서 예배가 시작됨(8:1-10:20)
A. 아론과 아들들의 제사장 임직(8:1-36)
B. 성막에서 예배와 제사가 시작됨(9:1-24)
C. 나답과 아비후의 죽음(10:1-20)
III. 정결과 부정(11:1-15:33)
A.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11:1-47)
B. 출산으로 인한 유출(12:1-8)
C. 피부병 진단(13:1-59)
D. 피부병 완치와 정결(14:1-57)
E. 유출병(15:1-33)
IV. 속죄일(16:1-34)
A. 서론(16:1-2)
B. 제물과 예복 준비(16:3-5)
C. 속죄일 절차 요약(16:6-10)
D. 속죄일 제사(16:11-28)
E. 결론(16:29-34)
V. 성결 법전(17:1-26:46)
A. 거룩한 예배(17:1-9)
B. 거룩한 식생활(17:10-16)
C. 거룩한 성생활(18:1-30)
D. 거룩한 사회윤리(19:1-37)
E. 거룩한 예배(20:1-8)
F. 거룩한 가족 관계(20:9-21)
G. 거룩한 땅의 소유(20:22-27)
H. 거룩한 제사장직(21:1-22:16)
I. 거룩한 제물(22:17-33)
J. 거룩한 절기(23:1-44)
K. 거룩한 불과 떡(24:1-9)
L. 거룩한 이름(24:10-23)
M. 거룩한 땅의 경작(25:1-38)
N. 거룩한 주-종 관계(25:39-55)
O. 거룩한 언약(26:1-46)
VI. 하나님과의 만남: 축복과 저주(27:1-34)
A. 사람 서원(27:1-8)
B. 짐승 서원(27:9-13)
C. 집 서원(27:14-15)
D. 밭 서원(27:16-25)
E. 첫 짐승(27:26-27)
F. 온전히 바친 물건들(27:28-29)
G. 십일조(27:30-34)
저자소개
책속에서
레위기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책이 아니라, 출애굽기에서 시작된 이스라엘의 시내 산 여정 중 모세가 하나님께로부터 받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전달해 준 율법을 기록하고 있다. 출애굽기 19:1은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떠난 지 세 달 만에 시내 산에 도착했으며, 출애굽기가 끝날 무렵에는 이스라엘이 장막과 장막에서 사용하는 도구들을 모두 완성했다고 한다. 장막과 기구들이 완성된 때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를 떠난 지 2년째 되던 해 첫째 달 1일이었다(출 40:17).
_ “제사에 대한 율법” 중에서(1부 서론)
구약에서 예수님의 희생을 가장 잘 상징하는 것이 바로 번제이다(Hess). 그리스도의 죽음이 가장 완벽한 제물이 되어 주님 안에 사는 사람들의 죄를 모두 씻었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시켰기 때문이다(히 9:11-22). 또한 그리스도의 희생은 영원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구약의 번제처럼 반복될 필요가 없다(히 9:23-10:18). 신약 저자들은 번제를 직접 언급하기도 한다(막 12:33; 히 10:6-8).
_ “비둘기 번제” 중에서(1:14-17)
2-4절은 제물을 속죄제-번제-화목제-소제 순서로 나열하는데, 이 제물들의 순서를 신학적으로 생각해 보면 용서의 필요성(속죄제), 헌신된 삶(번제), 하나님과 교제(화목제), 우리의 노력으로 얻은 것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소제)을 상징한다(Hess). 그리스도인에게는 구속(롬 3:23; 6:23)이 헌신으로(롬 12:1-2), 교제로(요일 1:7), 봉사의 삶으로(롬 12:4-13) 이어진다(Rooker). 이러한 삶은 참예배로 연결된다(Kellogg). 그러므로 기독교의 제자도는 구약의 제사 제도에 근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Hess).
_ “아론이 첫 제사를 준비함” 중에서(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