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과학기술로 북한 읽기 1

과학기술로 북한 읽기 1

(북한 새롭게 통일 가깝게)

강호제 (지은이)
알피사이언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과학기술로 북한 읽기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과학기술로 북한 읽기 1 (북한 새롭게 통일 가깝게)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91195826407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6-08-15

책 소개

최근 북한의 변화를 과학 기술을 이해하고 있는 역사학자가 현실 북한을 새롭게 이해하자는 취지에서 ‘프레시안, 통일뉴스, 오마이뉴스' 등에 기고했던 칼럼을 고쳐 실은 것들로, 북한의 현재와 미래를 과학기술을 통해 읽고 있다.

목차

0 글을 시작하며

Ⅰ 에피소드로 본 북한 과학기술의 역사

1. 과학기술을 아는 공산주의자가 되라. 12
2. 북 과학기술계의 초석, 월북 과학기술자 16
3. 북 과학기술 활동의 중심, 과학원 설립 22
4. 과학기술의 독자노선 시작은 1952년부터 26
5. 천리마운동이 시작되던 날 30
6. 자체의 힘으로 복구한황해제철소 37
7. “과학기술자들은 현지에 나가서 연구하라.” 44
8. 집단적 기술혁신운동 : 북한 경제 발전의 핵심 원동력 48
9. 천리마작업반 운동 : 북한식 기술혁신운동 56
10. 주체과학의 태동 : 연료의 자립 64
11. 주체의 시작은 정치사상이 아니라 과학기술로부터 68
12. “공산주의 교양에 대하여”의 진정한 의미는 기술혁신운동 강화 72
13. 공장대학 : 현장 중심의 기술교육 강화 78
14. 나의 공구함 갖추기 운동 : 작업방법의 효율화 85
15. 기계공업의 자립 : 트랙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다. 89
16. 북 최초의 컴퓨터 ‘9.11형 만능 전자계산기’ 93
17. 2·8 비날론 공장 건설 97
18. 설계통일을 통한 기술혁신 : 조선식 변압기의 탄생 101
19. 금속가공법 개발- 각막이식수술용 칼 제작 105
20. 북 화학공업의 중심지, 함흥화학공업도시의 형성 109
21. 북 과학연구의 메카, 평성과학원도시의 형성 116
22. 1972년 청와대를 충격에 빠뜨린 기록영화 123
23. 과학기술정책의 후퇴 128
24. 처음으로 강성대국 대문에 들어선 마을 '3월5일청년광산' 132

Ⅱ 북한 과학자 인물열전
1. 강영창-김일성이 가장 신뢰한 테크노크라트 138
2. 리승기-비날론 신화의 주인공 142
3. 도상록-북한핵물리학의 아버지 146
4. 계응상-1호 박사 151
5. 마형옥-갈섬유생산연구 155
6. 김봉한-경락의 대발견 161
7. 주종명-“대담하게 생각하고 대담하게 실천하자.” 166
8. 박성욱-새로운 과학기술자들의 대표, 1:20만 지질도 작성사업 171

Ⅲ 과학기술로 북한의 오늘과 내일 읽기
1. 북한을 이해하는 프로토콜, ‘과학기술' 176
2. 준비는 과학기술 정책부터 179
3. 은하과학자거리 : 과학중시정책의 계승 188
4. 전쟁의 이중 용도, 과학기술의 이중 용도 193
5. 자신감의 근거 : 새 세기 산업혁명은 본질적으로 과학기술혁명 200
6. 북한이 IT기술을 개발하는 이유 207
7. 자동수자조종장치(CNC)와 경제발전전략 214
8. 북한의 기계공업 발전사 : 우주발사체 제작기술을 습득하기까지 218
9. 광명성 3호(2012.4)는 다시 발사된다 227
10. 광명성 3-2호(2012.12) : 과학기술 논리로 정치를 읽다. 241
11. 김정은의 평양초청 정치 : 광명성 3-2호 관련자 초청 249
12. 제대로 밝히는 북한 핵물리학(원자력 연구)의 역사 256
13. 비핵화는 없다 : 불확실성의 정치 264
14. 이미 전쟁은 시작되었다. 핵전, EMP탄 그리고 경제발전전략 수정 271
15. 4차 핵시험(2016.1)의 핵심 277
16. ‘과학기술’로 미래 비전을 제시한 7차 당대회(2016.5) 293

Ⅳ 부록
1. 북한 기술을 활용한 남북경협2.0 제안 304

저자소개

강호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를린자유대 한국학과Freie Universita Berlin, Institute of Korean Studies에서 북한학과 관련한 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역사적 관점에 충실하면서도 최근의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며 북한에 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물리학을 전공한 후(BA), 역사학으로 전공을 바꾸고 북한 과학기술 정책사(MA, PhD)로 학위논문을 썼다. 권력 투쟁이 아니라 혁신체제를 비롯한 국가 시스템이 갖추어지는 과정으로 북한 역사 전체를 새롭게 쓰고 있다. 북한 (국가) 과학원, 천리마(작업반) 운동 등 ‘북한식 기술혁신운동’을 연구했다. 최근에는 교육, 전문연구 그리고 생산현장을 통합하여 북한의 ‘국가혁신체제’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나아가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가 갖추어지는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논저로 『북한 과학기술 형성사 I』, 「현지연구사업과 북한식 과학기술의 형성」, 「북한의 핵무력 완성 선언에 대한 과학기술적 타당성 검토 및 비핵화를 위한 대안 모색」, 「Company-Level Technological Innovation in DPR Korea: Focusing on Kumkhop General Foodstuff Factory for Sportspeople」, 「생존의 수단이자 번영의 수단, 북한의 과학기술」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