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독교 신학과 교회 교리의 형성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5854967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8-12-08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5854967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8-12-08
책 소개
하르낙은 가장 어려울 수 있는 난제들을 가장 쉽게 해명해 나간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자신의 학문적 탁월성을 스스로 드러낸다.
목차
추천사
서문
들어가면서
1 장 - 유대교로부터 기독교의 분리와 교회의 탄생
2 장 - 선포, 신학 그리고 교리들의 근거와 권위
3 장 - 신학과 교리의 전제조건인 선포에 관한 개요
4 장 - 그리스도교신학의 형성
5 장 - 교회 교리의 형성
나오면서
번역을 마치면서
부록 - 교리, 복음을 토대로 한 그리스 정신의 작품? - 하르낙의 『교리사 교본I』을
통해 본 교리와 복음의 이해-
리뷰
책속에서
하르낙이 추구했던 것은 신학과 교리가 지닌 독단론적 성격을 제거하고, 여기에 역사적 특성과 실천을 살려놓는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교회의 제도와 외형적 모습에 너무도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 오늘날 교회에게도 커다란 도전으로 다가옵니다.
그리스도교 교회는 부활하신 주에 대한 믿음이 제자들의 무리를 지배했을 때, 그리고 제자들이 오순절 사건을 경험했을 때 역사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이 교회는 시공간적인 실체가 아니라 변모되신 그리스도께 속하고, 하늘에 시민권을 둔 채 소망 가운데 살아가는 공동체를 의미합니다.
사람이 하나님께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복음에도 의존합니다. 개신교와 가톨릭에서 신앙의 확신을 뒷받침하는 근거들 사이에 중요한 차이가 생기는 지점이 바로 이곳입니다. 가톨릭은 형식적인 권위를 버릴 수 없다고 생각하며, 이것을 “교회”와 “책”으로 요약합니다. 반면에 개신교는 역사적인 복음을 증거하고 효과적으로 보존하는 “성령”에 기초합니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