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91195893812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6-10-01
책 소개
목차
1장. 기록 이전의 역사
[구석기 시대] 24
- 상상력으로 만든 주먹도끼
- 구석기인이 사는 방법
[신석기 시대] 32
- 풍요를 비는 목소리
- 신석기인의 잘 먹고 잘 사는 법
[청동기 시대] 40
- 화염이 만들어낸 기적 청동기
- 농사와 계급의 상관 관계
2장. 고조선의 등장과 여러 나라의 성장
[고조선의 성립과 멸망] 58
- 고조선 건국 이야기 단군 설화
- 철기 시대로 진입한 고조선
- 위만조선의 멸망과 새 시대의 시작
[여러 나라의 성장] 72
- 만주에서 성장한 부여와 고구려
- 동해안의 작은 두 나라 옥저와 동예
- 풍요로운 남쪽의 세 연맹왕국 삼한
3장. 삼국의 성립
[고구려와 백제의 성립] 94
- 부여에서 고구려로 활을 잘 쏘는 주몽
- 비류와 온조 엇갈린 두 왕자의 운명
[고구려의 성장] 108
- 외로운 유리왕의 홀로서기
- 어려움을 극복한 고구려 왕들
[신라의 성립] 120
- 알에서 태어난 신라의 시조들
- 마립간 시대를 연 내물왕
- 황금의 나라 신라
[가야의 성립] 130
- 거북아 거북아 나오지 않으면 구워 먹으리
- 가야의 대표 철기 유물
4장. 끝날 줄 모르는 삼국 간의 전쟁
[백제와 고구려의 싸움] 150
- 국가의 체계를 세운 고이왕
- 대세 근초고왕 열세 고국원왕
- 고국원왕의 원수를 갚은 소수림왕과 광개토대왕
- 남쪽으로 진출한 장수왕
- 다시 일어선 백제 무령왕
[신라의 성장] 178
- 마립간에서 왕으로 지증왕
- 이차돈의 순교와 법흥왕
- 백제의 불꽃 성왕과 진격하는 신라 진흥왕
5장. 신라의 삼국통일
[고구려와 수, 당의 충돌] 204
- 수나라의 통일과 고구려의 대응
- 수나라와 고구려의 운명을 가른 전쟁
- 연개소문과 당 태종의 한 판 승부
[백제의 부흥과 코너에 몰린 신라] 216
- 백제의 부활을 이끈 무왕
- 김춘추와 선덕여왕의 고군분투
- 통일로 가는 길 나당동맹의 결성
[고구려와 백제의 멸망] 228
- 나당연합군의 공격과 백제의 멸망
- 연개소문의 죽음과 고구려의 멸망
[신라의 삼국통일] 238
- 신라의 마지막 과제 나당전쟁
- 마지막 관문 매소성, 기벌포 전투
6장. 너나들이 역사 여행
[선사시대 맥가이버 칼, 주먹도끼] 258
- 전곡선사박물관
- 인터뷰 : 전시기획자 이성연
- 전곡리 선사 유적지
- 연천 통현리 고인돌 공원
- 에세이 : 경계를 허무는 공간
[한강이 품은 삼국시대] 284
- 한성백제박물관
- 인터뷰 : 전시기획자 김기섭
- 석촌동고분군
- 고구려 대장간 마을
- 에세이 : 한강이 기억하는 이야기
[은은한 물빛이 빛나는 공주, 부여] 310
- 무령왕릉(송산리고분군)
- 국립부여박물관
- 인터뷰 : 학예연구사 김선영
- 정림사지
- 에세이 : 멸망의 역사와 선입견
주제 확인하기 / 쟁점 토론하기 / 역사 해보기
[1장. 기록 이전의 시대]
♦ 왜 돌로 시대를 구분할까?
♦ 수렵, 채집으로 먹고 산 구석기인들의 삶은 현대인의 삶보다 풍요로웠다.
♦ 청동기 시대 생겨난 계급은 인류에게 커다란 비극의 시작이었다.
♦ 제시문을 참고하여, 농경과 목축이 인류 사회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서술하시오.
[2장. 고조선의 등장과 여러 나라의 성장]
♦ 지역마다 풍습이 다른 이유는?
♦ 위만조선은 연나라 사람이 세운 나라이므로 중국 역사에 포함된다.
♦ 내가 부여의 권력자라면 기꺼이 나의 죽음에 함께 할 순장조 100인을 뽑겠다.
♦ 당신은 고대왕국의 권력자이다. 당신이 도읍지로 정할 수 있는 땅은 아래의 네 유형뿐이다. 어디를 선택할지 고르고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
[3장. 삼국의 성립]
♦ 설화로써 역사적 진실에 얼마나 다가갈 수 있을까?
♦ 풍납토성의 발굴과 복원을 위해 풍납동 주민들은 국가의 토지보상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
♦ 주몽이 유리에게 왕위를 물려준 행위는 현명했다.
♦ 봉상왕이 폐위된 이유를 제시문 중 하나를 인용하여 밝히고,
좋은 지도자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가치관은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4장. 끝날 줄 모르는 삼국 간의 전쟁]
♦ 삼국은 왜 불교를 받아들였을까?
♦ 고구려사는 한국사이다.
♦ 국익을 위해서라면 국가 간의 외교관계는 파기해도 된다.
♦ 2~4세기 고구려의 왕권강화에 관해 서술한 (가) 제시문을 (나)~(라)의 사료를 참고하여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서술하시오.
[5장. 신라의 삼국통일]
♦ 고구려와 백제는 왜 멸망했나?
♦ 연개소문은 고구려를 구한 영웅이었다.
♦ 화랑 반굴과 관창의 죽음은 명예로운 희생이었다.
♦ (가), (나) 제시문을 읽고,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한 두 제시문의 태도를 대조한 후, (다)를 참고하여 두 제시문의 입장이 다른 이유를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