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8896319486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10-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한 가지가 아닌 다양한 삶의 발견과 개척을 위하여
1. 수요시위 vs 금요행동
― 피해자의 투쟁과 가해국 시민의 양심
역사 부정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
2. 오윤 vs 도미야마 다에코
― 힘없는 서민의 삶에 주목한 화가
3. 김대중 vs 류샤오보
―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민주화 운동의 거목
4. 박헌영 vs 저우언라이
― 서로 다른 운명의 이인자
5. 호찌민 vs 수카르노
― 독립을 이끈 이들의 서로 다른 길
6. 양칠성 vs 탁경현
― 국가와 국가, 가해와 피해의 경계에 선 사람
7. 하세가와 데루 vs 오노다 히로
― 나라를 위한 애국, 나라가 원한 애국
8. 박열 vs 가네코 후미코
― 억압 없는 세상을 위해 투쟁한 연인
정의의 편에 선 변호사 후세 다쓰지
9. 형평사 vs 수평사
― 차별과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한 국제 연대의 움직임
10. 김마리아 vs 추근
― 독립을 위해 평생을 바친 여성들
11. 룽훙 vs 윤치호
― 미국 유학길에 오른 두 사람의 다른 삶
12. 박상진 vs 판보이쩌우
― 국민이 주인이 되는 자주 국가를 꿈꾼 사람들
동아시아의 베스트셀러 《월남망국사》
13 이홍장 vs 이토 히로부미
― 중국과 일본이 선택한 근대화의 길
14. 이와쿠라 사절단 vs 보빙 사절단
― 일본과 조선의 외교 사절단이 만난 서양
15. 고종 황제 vs 메이지 덴노
― 동갑내기 국왕, 조국의 근대화를 추진하다
16. 이삼평 vs 김충선
― 전쟁으로 바뀐 삶을 산 사람들
17. 고려왕 왕만 vs 심왕 왕고
― 몽골과 관계 속 고려왕실의 내부 투쟁
18. 배중손 vs 쩐흥다오
― 몽골에 맞선 두 무장에 대한 역사의 평가
19. 현장 vs 엔닌
― 불법을 찾아 여행을 떠난 스님들
신라의 구법승, 혜초
20. 선덕 여왕 vs 무측천
― 고대 동아시아의 여성 군주들
21. 공자 vs 관우
― 동아시아 문무의 대표로 추앙받은 사람들
22. 중화 vs 오랑캐
― 세상의 중심과 주변, 그 명백한 허구성
동아시아 각국의 독자적 천하 의식
찾아보기
참고문헌
이미지 출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인도주의’라는 ‘인간의 보루’ 말고는 기댈 곳이 없는 사람들은 또다시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 미쓰비시 중공업 본사 앞에 섭니다. 인도주의에 기반한 공동체가 일본 정부의 정치 논리와 전범 기업의 배상 거부, 그리고 역사 부정주의에 맞서 승리하는 날이 언제쯤 올까요?
세계 민중 판화 전시회에서 오윤과 도미야마 다에코는 ‘해당 시대와 그 시대를 살았던 약자의 삶을 판화에 담아 세상에 말을 건넨 예술가’로 소개되었습니다. 1921년에 태어나 2021년 100년간의 생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국경을 초월해 날카로운 비판 의식으로 세상의 부조리를 보여 주었던 도미야마 다에코. 1946년에 태어나 6·25 전쟁을 겪고 박정희, 전두환 두 정권의 군사 독재를 지나며 혹독한 현실을 온몸으로 받아 내면서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예술로 승화한 오윤. 두 사람이 작품을 통해 세상에 하고 싶었던 말은 무엇이었을까요?
민족문제연구소는 사천에서 탁경현 위령비 논란이 일어나던 당시 위령비의 건립 연기를 건의하며, ‘탁경현을 비롯한 조선인 특공대원에 대한 진상 규명과 역사적 평가를 통해 적절한 방식으로’ 그들을 위로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탁경현과 같은 이들을 야스쿠니 신사와 같은 또 다른 ‘망자의 식민지’에 가두지 않는 ‘적절한 방식’의 위로는 과연 무엇일까요?